일지테크 로고

일지테크 (019540) 주가 및 종목 정보

일지테크 실시간 주가

일지테크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4,020 원
변동량 ▼ 5.00 원
변동률 -0.12%
거래량 29,755
거래대금 119,567,240 원

일지테크 일별 주가

일지테크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13/2025 3,900 3,925 3,850 3,900 18,399 71,493,435
11/16/2025 4,000 4,000 3,885 3,895 43,928 171,922,335
11/17/2025 3,930 3,930 3,780 3,785 28,868 110,575,405
11/18/2025 3,785 4,140 3,735 4,070 215,725 863,506,183
11/19/2025 4,100 4,150 4,050 4,050 115,986 475,715,183
11/20/2025 4,010 4,085 3,910 4,045 89,552 358,752,830
11/23/2025 4,045 4,090 4,010 4,055 31,551 127,418,029
11/24/2025 4,000 4,040 3,960 3,975 36,822 146,520,580
11/25/2025 3,975 4,040 3,945 4,025 19,974 80,030,240
11/26/2025 4,005 4,135 3,965 4,020 29,755 119,567,240

관련 테마

  • 수소차 : 수소연료차 넥쏘에 DASH 외 1종 부품 납품 중인 기업
  • 일본불매/수출규제 : 자동차 차체 부품 제조 및 판매 업체로 CFRP(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 신소재 기술 확보를 추진함에 따라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탄소섬유 관련주로 부각됨
  • 지소미아 : 자동차 자체 부품 제조 및 판매 업체로 일본 탄소섬유 수출규제 반사 이익으로 관련주로 분류됨
  • 최재형 : 나태영 사외이사가 최재형 감사원장과 같은 사법 연수원 13기로 알려짐
  • 자동차부품 : 자동차 차제 부품(REINF SIDE COMPL, Dash Compl 등 각종 Pannel류) 제조 및 판매 업체로 현대자동차 1차 부품 협력 업체임
  • 화학섬유 : 현대 자동차의 차량 제작 기획, 제품 설계, 금형 제작, 치공구 설계 및 제작에 참여하는 1차 협력사이며,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클래드 메탈 등을 연구 개발하는 기업

일지테크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543억 1189위 13,513,500 3.85% 자동차 자동차부품 4,700 3,410

일지테크 기업 개요

일지테크는 1986년 설립된 기업으로 차량 차체 부품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북경일지차과기가 있다. 주요 매출은 차량 PANNEL류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연구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고객사 맞춤형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최신 일지테크 관련 뉴스

장동혁(오른쪽)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오전 경남 창원시 성산구 지엠비(GMB) 코리아에서 열린 '미국 관세 정책 대응 수출기업 민생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가 지난달 22일 경북 경산시 자동차부품제조 중소기업인 일

국민의힘이 '보수의 심장' 대구에서 6년 만에 대규모 장외집회를 열었지만, 강성 지지층 결집 이상의 효과를 내기엔 중도층 확장성이 부족해 동력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신 더불어민주당의 입법 독주를 헌법이 보장한 절차적 수단으로 직접 지연시키는 '무한 필리버스터'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尹어게인' 구호 나오는 국힘 장외집회…"중도층은 더 멀어진다" 국민의힘은 21일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야당탄압·독재정치 규탄대회'를 열었다.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내란전담재판부 설치와 특검 수사의 부당성을 부각하며 정부·여당의 일방적 국정 운영을 규탄하는 자리였다. 당은 이어 25일 대전, 27일 서울에서의 장외 일정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영남권 중심의 강성 투쟁만으로는 중도층의 지지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적잖다. 이미 정치적 입장을 굳힌 당원·보수층 중심이라 여론 확장성이 제한적인 데다, 계속된 당원 동원이 어려워 지속성도 현실적으로 떨어진다는 판단이다. 특히 대구 장외집회 당일 오전 국민의힘 의원 전원이 참여한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는 '야당탄압·독재정치'라는 집회 구호가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비영남권 한 중진 의원은 대화방에 "제 생각에 야당탄압·독재정치라는 이슈(구호)는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정치에 관심 없는 계층, 민주당을 찍었던 사람들의 지지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실제로 대구 집회 현장에서는 'STOP THE STEAL(부정선거 중단하라)', '(윤석열) 대통령을 석방하라' 같은 극우 구호가 적힌 깃발도 등장했다. 당 지도부 중 '강성'으로 분류되는 김민수 최고위원은 연단에 올라 "저는 이재명을 대통령이라 부르지 않는다. 12개 혐의 5개 재판 유죄 취지 파기환송 재판만 속개된다면 당선무효 아니냐"고 말하기도 했다. 또 "이재명 당선 무효"라는 구호를 선창하며 참석자들이 "내려와라"라고 화답하도록 유도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한 국민의힘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윤어게인' 세력이 와서 판을 치는데, '이건 아니다'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황교안 대표 체제 때처럼 우리끼리 모여서 화풀이하는 것밖에 더 되겠느냐"며 "이런 식으로 하면 중도층은 더 멀어진다"고 우려했다. 국회 안에선 '무한 필리버스터' 카드 만지작 이 같은 현실론 속에서 원내 지도부는 본회의에 상정된 모든 법안에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인 의사진행 방해)를 적용하는 방안을 두고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 중이다. 과거 특정 쟁점 법안에 한정해 무제한 토론을 벌였던 것과 달리, 모든 법안으로 대상을 넓히겠다는 구상이다. 국회법상 필리버스터는 법안 하나당 최소 24시간을 소요시키기에 민주당의 입법 추진 속도를 늦추고 국정 운영 전반에 부담을 줄 수 있다. 국민의힘의 경우 의원들이 교대로 3시간씩 발언하고 대기조 한두 명만 둬도 총 10여 명이서 하루를 버틸 수 있다고 본다. 다만 필리버스터를 강제 종결시키기 위해서는 재적의원 5분의 3의 찬성표가 필요하므로 민주당은 범여권 의원 180명이 한꺼번에 모여야 하는 상황이 반복될 수 있어 지역구 활동 등에 차질을 빚는 등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소수 인원으로 다수의 힘을 뺄 수 있다는 얘기다. 한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민주당이 협치 정신을 무시하고 강행하는 행태에 대해 국민께 알리기 위해 모든 법안에 대해 필리버스터를 하자는 의견이 많다"고 설명했다. 다만 필리버스터가 장기화할 경우 역풍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권이 이를 '발목잡기'로 몰아붙일 수 있고, 민생 법안까지 지연될 경우 중도층 이탈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결국 국민의힘의 전략은 장외투쟁으로 단기적 화력을 과시하되, 실질적 힘은 국회 안에서의 '무한 필리버스터'로 집중하는 이중 전략이 될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의 일방적 국정 운영 프레임을 부각시키면서, 상대 당력을 소모시키는 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여전히 과제가 남는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지지율 24% 갖고 선거를 어떻게 하느냐"며 "우리는 지금 '비상계엄 잘못했다, 죄송하다'고 국민에게 진지하게 사과한 뒤 새롭게 출발하겠다는 메시지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반(反)이재명' 구호만으로는 중도층을 설득할 수 없다는 자성이다. 당 지도부는 22일 오전 경북 경산산업단지관리공단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 예정이다. 지난 15일 부산 현장 최고위에 이어 두 번째 현장 최고위 일정으로, 회의 직후에는 인근 중소기업 '일지테크'를 방문한다. 장 대표는 부산 등 영남권을 시작점으로 충청권을 거쳐 수도권까지 올라오는 방식으로 현장 최고위, 장외집회 등 지역 민심 행보를 이어가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경산(경북)=데일리한국 김철희 기자] 국힘 임이자 국회 기획재정위원장(경북 상주·문경)과 조지연 국회의원(경북 경산)이 13일 경북 자동차 부품기업을 찾아 간담회를 가졌다.경산시 진량읍 일대에서 진행한 간담회는 대미 관세 인상에 따른 자동차 부품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뤄졌다.임 위원장과 조 의원은 자동차 부품 회사인 일지테크를 방문해 생산현장을 둘러본 뒤 에스엘(SL)로 이동해 업계 관계자들과의 간담회를 했다.현장에는 경산, 영천, 경주 등 경북에 위치한 자동차 부품 업체들이 참석했다.이날 간담회에서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22일) 주요공시]▲ NH농협은행, 4천억원 규모 유상증자…"경쟁력 강화 목적"▲ 농심[004370] "2030년 매출 7조3천억원·해외사업 비중 61%로"▲ 시알아이, 100억원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일지테크[019540] "미국 종속회사 주식 291억원에 추가 취득"(서울=연합뉴스)(끝)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국채금리 급등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1.22% 하락한 2593.67에 장을 마감했다.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859억, 4320억 순매도했고, 개인은 9453억 순매수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인 5947계약 순매도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790계약, 4011계약 순매수했다.지난밤 美 재무부가 진행한 160억 달러 규모 20년물 입찰에서 발행금리가 5.047%로 결정됐다.

일지테크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757,295,076,969 20.50% 24,446,601,603 -30.97% 22,508,316,666 -30.31%
2023.4Q 628,485,714,969 174.27% 35,416,248,406 5645.66% 32,300,041,824 455.16%
2022.4Q 229,144,510,000 17.00% 616,400,450 111.72% -9,094,491,000 -1396.34%
2021.4Q 195,847,450,000 2.18% -5,261,187,600 42.52% -607,781,440 95.18%

순매수량

개인: 4,747

기관: -4,312

외인: -436

누적 순매수량

개인: 117,634

기관: -25,645

외인: -88,08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7 4,747 -4,312 -436
2025-11-26 2,072 -4,014 1,942
2025-11-25 8,017 -2,142 -5,875
2025-11-24 193 -1,990 1,797
2025-11-21 -31,169 9,967 21,202
2025-11-20 -35,303 3,396 31,907
2025-11-19 -28,165 8,050 23,015
2025-11-18 9,733 -2,728 -7,105
2025-11-17 10,862 -3,725 -4,137
2025-11-14 -2,329 -1,559 3,888
2025-11-13 2,709 -1,481 -1,228
2025-11-12 -7,168 943 6,225
2025-11-11 -1,653 2,563 -910
2025-11-10 -11,187 3,942 8,393
2025-11-07 9,585 -812 -8,165
2025-11-06 194 2,135 -2,329
2025-11-05 14,772 -1,901 -12,841
2025-11-04 3,532 3,665 -9,183
2025-11-03 48,677 -28,953 -19,724
2025-10-31 887 -2,490 1,603
2025-10-30 19,123 -3,391 -15,732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7 18,129 -24,837 12,307
2025-11-26 13,382 -20,525 12,743
2025-11-25 11,310 -16,511 10,801
2025-11-24 3,293 -14,369 16,676
2025-11-21 3,100 -12,379 14,879
2025-11-20 34,269 -22,346 -6,323
2025-11-19 69,572 -25,742 -38,230
2025-11-18 97,737 -33,792 -61,245
2025-11-17 88,004 -31,064 -54,140
2025-11-14 77,142 -27,339 -50,003
2025-11-13 79,471 -25,780 -53,891
2025-11-12 76,762 -24,299 -52,663
2025-11-11 83,930 -25,242 -58,888
2025-11-10 85,583 -27,805 -57,978
2025-11-07 96,770 -31,747 -66,371
2025-11-06 87,185 -30,935 -58,206
2025-11-05 86,991 -33,070 -55,877
2025-11-04 72,219 -31,169 -43,036
2025-11-03 68,687 -34,834 -33,853
2025-10-31 20,010 -5,881 -14,129
2025-10-30 19,123 -3,391 -15,732

일지테크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627,719,973,619 73.37% 26.63%

일지테크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차체Parts [자동차부품] 75.02%
부산물설비등 [기 타] 24.98%

일지테크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0 (0%)

최근 공매도 잔고: 0 (0%)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27 4,020 0 0.00%
2025-11-26 4,025 52 0.26%
2025-11-25 3,975 166 0.45%
2025-11-24 4,055 271 0.86%
2025-11-21 4,045 0 0.00%
2025-11-20 4,050 401 0.35%
2025-11-19 4,070 13 0.01%
2025-11-18 3,785 114 0.39%
2025-11-17 3,895 0 0.00%
2025-11-14 3,900 0 0.00%
2025-11-13 3,930 0 0.00%
2025-11-12 3,930 0 0.00%
2025-11-11 3,870 11 0.03%
2025-11-10 3,885 46 0.14%
2025-11-07 3,775 1,238 2.13%
2025-11-06 3,820 611 1.75%
2025-11-05 3,795 800 1.43%
2025-11-04 3,860 3,997 4.19%
2025-11-03 3,920 101 0.11%
2025-10-31 4,005 4 0.01%
2025-10-30 3,965 11 0.01%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25 3,975 0 0.00%
2025-11-24 4,055 0 0.00%
2025-11-21 4,045 0 0.00%
2025-11-20 4,050 0 0.00%
2025-11-19 4,070 0 0.00%
2025-11-18 3,785 0 0.00%
2025-11-17 3,895 0 0.00%
2025-11-14 3,900 0 0.00%
2025-11-13 3,930 0 0.00%
2025-11-12 3,930 0 0.00%
2025-11-11 3,870 0 0.00%
2025-11-10 3,885 0 0.00%
2025-11-07 3,775 0 0.00%
2025-11-06 3,820 0 0.00%
2025-11-05 3,795 0 0.00%
2025-11-04 3,860 0 0.00%
2025-11-03 3,920 0 0.00%
2025-10-31 4,005 0 0.00%
2025-10-30 3,965 0 0.00%
2025-10-29 3,965 0 0.00%
2025-10-28 3,965 0 0.00%

일지테크 업종 내 비교

자동차부품 업종(140개) 연간 기준

항목 일지테크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543.918 4,565.83 94위
PER(최근4분기) 2.602 -0.82 95위
PBR 0.318 0.87 115위
ROE(최근4분기) 16.49 1.81 19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2.484 2.84 35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3.228 2.29 80위
순이익률(최근연도) 2.972 3.75 6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82.75 178.44 22위
매출액(최근연도) 7,572.951 13,406.71 37위
영업이익(최근연도) 244.466 728.87 44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225.083 613.56 3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