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로고

한국전력 (015760) 주가 및 종목 정보

한국전력 실시간 주가

한국전력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51,500 원
변동량 ▲ 3300.00 원
변동률 6.85%
거래량 9,230,819
거래대금 465,687,359,500 원

한국전력 일별 주가

한국전력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11/2025 50,000 50,100 47,400 47,650 9,321,253 452,618,337,350
11/12/2025 47,650 50,400 46,750 49,250 11,123,270 539,962,999,800
11/13/2025 48,450 49,150 47,150 47,400 6,308,481 303,015,084,700
11/16/2025 47,750 49,700 47,750 49,300 5,679,980 278,497,076,200
11/17/2025 48,750 52,000 48,400 49,500 9,858,105 498,787,326,675
11/18/2025 50,400 50,500 46,350 47,250 8,189,247 388,171,777,200
11/19/2025 48,150 49,500 47,900 48,950 5,882,230 287,405,651,300
11/20/2025 47,200 49,300 47,200 48,150 4,979,413 241,190,419,875
11/23/2025 49,100 49,100 47,250 48,200 3,489,993 167,787,931,625
11/24/2025 49,300 51,900 48,650 51,500 9,230,819 465,687,359,500

관련 테마

  • 원전 : 국내 발전 및 송전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 판매, 원자력 발전, 화력 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 사업을 영위
  • 전력설비 : 국내 발전 및 송전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 판매, 원자력 발전, 화력 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 사업을 영위
  • 풍력 :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제주 한림 해상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발전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인 기업
  • LNG :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화력발전부문에서 종속회사 한국남동/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이 LNG 등을 원료로 전력 생산 중
  • 태양광 : 美콜로라도 30MW 태양광 발전소를 운영 중이며, 한국 전력-LGCNS 컨소시엄이 美괌 태양광 발전 60㎿, ESS 42㎿h 사업 수주
  • 셰일가스 : 셰일가스 개발로 천연가스 발전용 배열 회수 보일러 부문의 수혜가 예상
  • 환율하락 : 국내 발전 및 송전 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 판매, 원자력 발전, 화력 발전 등의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유연탄, LNG 등의 연료가 대부분 환율 변동에 노출되어 있어 환율 하락 시 수혜주로 분류됨
  • 남북경제협력 : 개성공단 대북 송전사업을 영위
  • 전기차인프라 :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
  • 우원식 : 우원식 의장이 탈원전 에너지 전환을 위한 국회의원 모임 공동대표였으며, 한국전력은 탈원전 정책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관련주 편입
  • 재생에너지 : 재생에너지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전력 공기업으로, 태양광, 풍력 등 다양한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보유하며 지속적인 에너지 전환 투자를 진행하는 기업
  • 데이터센터 :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따라 대형 전력 공급 인프라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신규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

한국전력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330,611억 18위 641,964,077 22.34% 에너지 전기 52,000 19,400

한국전력 기업 개요

한국전력은 1982년 설립된 기업으로 전기, 전력자원개발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동남발전, 한전KPS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전기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전력판매 부문에서 독점적 지위를 점유하고 있지만 전력 요금 산정에는 정부의 규제를 받고 있다.

최신 한국전력 관련 뉴스

남자 프로배구 대한항공의 카일 러셀(32·미국)이 극적으로 시즌 개인 2번째이자 통산 12번째 '트리플크라운(서브 에이스·블로킹·후위 공격 각 3개 이상)'을 달성했다. 마지막 남은 퍼즐이었던 서브 에이스를 팀 승리를 확정짓는 '매치 포인트'로 채운 뒤 포효했다. 러셀은 25일 인천계양체육관에서 열린 진에어 2025~2026 프로배구 V-리그 남자부 홈경기 KB손해보험전에서 후위공격 8개와 서브 에이스 3개, 블로킹 5개로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다. 공교롭게도 러셀의 이번 시즌 첫 트리플크라운 역시 지난달 KB손해보험전(후위공격 10개·서브에이스 5개·블로킹 3개)에서 나왔는데, 이번에도 KB손해보험을 상대로 펄펄 날았다....

중동·아프리카 4개국 순방에 나선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7박 10일 간의 일정을 마치고 귀국한다. 취임 후 처음으로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을 방문한 이 대통령은 이들 지역의 주요국과 협력 무드를 조성하는 한편 방산과 인공지능(AI), 원전 분야에서의 경제적 수확 또한 기대하게 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다자외교 마무리…'정상국가'에서 '기여하는 국가'로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의 마지막 일정인 국전 참전기념탑 헌화와 현지 동포·지상사 간담회를 마치고 출국했다. 이번 순방은 크게 남아프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과, 아랍에미리트(UAE)·이집트·튀르키예 등 중동 3개국 방문으로 나뉜다. 남아공 G20 정상회의는 이 대통령의 올해 마지막 다자외교 무대였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시작으로 G20 정상회의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다자회의에 참석하거나 회의를 주재하면서 다자 무대를 활발히 누볐다. 다자외교에서의 방점은 정상회의를 지날 때 마다 변했다. 신정부 출범 이후 12.3 내란 극복, 대한민국의 '정상국가화'에 맞춰져 있던 초점은 차츰 국제사회에서의 협력과 역할 강화로 옮겨갔다. 초기 다자 무대에서 민주 대한민국의 귀환을 선언했던 이 대통령은 '연대·평등·지속가능성'을 주제로 열린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는 개발도상국의 성장을 위한 경제선순환, 기후위기 등 글로벌 재난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인공지능(AI) 활용 혜택의 배분, 핵심광물의 공급국과 수요국의 혜택 공유 등을 주장하며 연대와 포용을 강조했다. 이른바 '글로벌 사우스' 전략 또한 본격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보호무역주의의 심화, 미중 간 갈등 지속 등으로 무역 다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는 한국으로서는 아프리카와 중동의 신흥국, 개발도상국과의 협력의 물꼬를 틀 필요가 있다. 다자회의를 계기로 한 주요국 정상들과의 만남도 계속됐다. 남아공에서는 유럽의 선도국인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독일의 프리드리히 슐츠 총리와 양자회담에 나섰으며, 일본의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 중국의 리창 국무원 총리와도 회동했다. G7부터 인연을 이어온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도 만나 해당국으로 초청을 받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순방 중 전용기에서 이뤄진 기내 간담회에서 "다자 협상의 장이라고 하는 것은 그야 말로 양자 협상의 '장이 서는 것'"이라며 "제가 취임한 지 얼마 안 돼서 처음 보는 분들도 계시고 해서 어렵기는 하지만, 정상들과의 접촉면을 넓히고, 정상들과의 라포(유대감)도 형성하고, 좋은 감정들을 유지하면 아무래도 (해당국가들이) 대한민국에 더 나은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생각이 된다"고 말했다. 중동 '맹주' 3개국 순방…나라별 맞춤형으로 성과 기대감이번 순방의 또 하나의 축인 UAE·이집트·튀르키예 중동 3개국 순방은 중동의 맹주격인 국가들을 취임 초기에 연이어 방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 대통령은 "중동은 우리 외교의 한 중요한 축"이라며 "이번에 방문한 3개국은 역시 중동지역의 핵심 국가"라고 강조했다. 3개국 모두에서 방산과 관련한 협력 강화에 나섰지만, 그 외에는 나라별 맞춤형 전략을 구사하기도 했다. 첫 방문국인 UAE에서는 방산과 더불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K-컬처(문화)와 관련한 협력에 힘을 실었다. 이 대통령의 전략경제협력특사로 먼저 UAE에 도착했던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번 순방을 계기로 UAE의 AI 데이터센터 사업인 '스타게이트' 관련 200억 달러, 방산 관련 150억 달러, K-컬처 관련 700억 달러 이상(시장가치 기준)의 경제 효과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집트에서는 현지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이 대통령은 압델 파타 알시시 이집트 대통령이 비공개 단독 회담에서 최대 4조원 규모의 카이로 공항 확장 사업의 본사업은 물론, 공사 후 관리·운영까지 한국 기업이 맡아주면 좋겠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했다. 튀르키예에서는 현지 원전 수주에 공을 들였다. 한국전력과 튀르키예 원자력공사는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원자력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는데, 현재 튀르키예가 시노프 지역에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한국 기업의 수주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이 대통령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함께 나선 공동언론발표에서 "한국의 우수한 원전 기술과 안전 운영 역량이 튀르키예의 원전 개발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직접 힘을 실었다. 튀르키예가 한국전쟁 당시 참전한 유엔 16개국 중 4번째로 많은 병력을 한국에 파병한 점을 고려, 참전용사의 예우를 위한 '보훈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남은 관건은 실질적인 협력을 이끌어낼 후속협의의 성사 여부다. 이 대통령은 외교시 정부 부처나 관계기관 간 소통 부재로 "따로 다 놀고 있다"며 효율적인 외교를 위한 체질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소위 통상국가인데, 제가 해외 순방을 다녀보면서 느낀 건데, 대한민국이 대외관계 관리가 분절적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외교 분야를 정리하고, 타국과의 협력을 좀 더 구체적으로, 좀 더 세밀하게 관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강조했다.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지수코스피 지수는 0.30% 상승한 3857.78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및 AI 관련주 강세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942.36으로 급등 출발했다. 장 초반 3946.6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반납했다. 오후 들어 하락 전환했고, 3833.35에서 저점을 기록한 후 재차 상승 전환했고, 장 후반 3860선 부근에서 움직인 끝에 3857.78에서 거래를 마감했다.Fed 금리 인하

[대전=데일리한국 이영호 기자] 대전시는 서구 괴정동 백운초등학교 통학로의 안전 문제 해소를 위해 시 재정을 긴급 투입해 추진하기로 했다.이장우 대전시장은 24일 오후 개최된 둔산자이아이파크 입주민들과의 대화에서 “어린이 교통안전이 최우선”이라며 “전신주 지중화와 보도 확장 공사를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라고 지원 결정 입장을 밝혔다.백운초 통학로는 보도 폭이 평균 1m 내외로 매우 협소하고 180m 구간에 한국전력 전신주 5개가 위치해 학생들이 나란히 걷기조차 어려운 실정이다.우천 시에는 우산 사용으로 통행 공간이 더 좁아져 등·하교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튀르키예 국빈 방문을 끝으로 7박 10일의 중동·아프리카 순방을 마치고 귀국길에 오른다.남아프리카공화국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튀르키예를 방문한 이 대통령은 이들과 방산, 원전, 바이오, 인프라, 문화 등의 협력 의지를 다지며 외교 무대를 '글로벌사우스(남반구 개발도상국·신흥국)'로 확장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으로 350..

한국전력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93,398,896,000,000 5.87% 8,364,710,000,000 284.18% 3,621,968,000,000 176.80%
2023.4Q 88,219,461,000,000 - -4,541,648,000,000 - -4,716,144,000,000 -
2022.4Q 71,257,860,000,000 17.64% -32,655,152,000,000 -457.24% -24,429,107,000,000 -367.16%
2021.4Q 60,574,818,000,000 3.42% -5,860,143,000,000 -243.41% -5,229,225,000,000 -349.91%

순매수량

개인: -2,460,864

기관: 399,868

외인: 2,139,886

누적 순매수량

개인: -10,210,606

기관: -3,728,959

외인: 13,844,281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5 -2,460,864 399,868 2,139,886
2025-11-24 54,299 72,370 -138,243
2025-11-21 -610,462 135,623 504,448
2025-11-20 -1,097,520 15,676 1,085,095
2025-11-19 1,532,015 -446,585 -1,006,706
2025-11-18 -34,034 -164,322 110,367
2025-11-17 -911,363 209,594 695,922
2025-11-14 1,104,398 90,322 -1,194,890
2025-11-13 -455,534 626,837 -90,143
2025-11-12 1,943,940 -675,766 -1,290,773
2025-11-11 -832,929 331,577 505,900
2025-11-10 -1,076,278 596,876 486,901
2025-11-07 1,201,200 -246,659 -1,108,475
2025-11-06 -1,145,878 476,641 584,104
2025-11-05 495,577 -94,959 -415,837
2025-11-04 -10,195 -99,387 114,786
2025-11-03 -716,476 54,181 602,692
2025-10-31 110,652 -169,723 69,271
2025-10-30 400,050 -364,080 -4,015
2025-10-29 -659,698 532,833 86,064
2025-10-28 -240,424 -30,611 187,812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5 -3,409,524 1,250,306 1,924,166
2025-11-24 -948,660 850,438 -215,720
2025-11-21 -1,002,959 778,068 -77,477
2025-11-20 -392,497 642,445 -581,925
2025-11-19 705,023 626,769 -1,667,020
2025-11-18 -826,992 1,073,354 -660,314
2025-11-17 -792,958 1,237,676 -770,681
2025-11-14 118,405 1,028,082 -1,466,603
2025-11-13 -985,993 937,760 -271,713
2025-11-12 -530,459 310,923 -181,570
2025-11-11 -2,474,399 986,689 1,109,203
2025-11-10 -1,641,470 655,112 603,303
2025-11-07 -565,192 58,236 116,402
2025-11-06 -1,766,392 304,895 1,224,877
2025-11-05 -620,514 -171,746 640,773
2025-11-04 -1,116,091 -76,787 1,056,610
2025-11-03 -1,105,896 22,600 941,824
2025-10-31 -389,420 -31,581 339,132
2025-10-30 -500,072 138,142 269,861
2025-10-29 -900,122 502,222 273,876
2025-10-28 -240,424 -30,611 187,812

한국전력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253,091,544,000,000 81.13% 18.87%

한국전력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전기 [전기 사업부분] 62.6%
전기 [원자력발전 사업부문] 7.9%
전기 [화력발전 사업부문] 21.6%
기타 7.9%

한국전력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78,381 (0.85%)

최근 공매도 잔고: 39,412 (0.01%)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25 51,500 78,381 0.85%
2025-11-24 48,200 3,745 0.11%
2025-11-21 48,150 6,067 0.12%
2025-11-20 48,950 9,435 0.16%
2025-11-19 47,250 28,650 0.35%
2025-11-18 49,500 34,427 0.35%
2025-11-17 49,300 36,691 0.65%
2025-11-14 47,400 73,473 1.16%
2025-11-13 49,250 64,053 0.58%
2025-11-12 47,650 52,881 0.57%
2025-11-11 49,550 57,310 0.38%
2025-11-10 46,250 18,034 0.29%
2025-11-07 44,100 83,318 1.37%
2025-11-06 46,100 93,264 0.85%
2025-11-05 43,500 54,912 1.15%
2025-11-04 45,050 77,836 1.78%
2025-11-03 45,100 46,531 0.78%
2025-10-31 42,550 23,442 1.01%
2025-10-30 42,950 54,837 1.19%
2025-10-29 45,500 66,797 1.05%
2025-10-28 44,000 67,200 1.00%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21 48,150 39,412 0.01%
2025-11-20 48,950 39,412 0.01%
2025-11-19 47,250 39,412 0.01%
2025-11-18 49,500 39,412 0.01%
2025-11-17 49,300 39,412 0.01%
2025-11-14 47,400 39,412 0.01%
2025-11-13 49,250 39,412 0.01%
2025-11-12 47,650 83,095 0.01%
2025-11-11 49,550 124,962 0.02%
2025-11-10 46,250 146,749 0.02%
2025-11-07 44,100 146,749 0.02%
2025-11-06 46,100 146,749 0.02%
2025-11-05 43,500 146,749 0.02%
2025-11-04 45,050 146,749 0.02%
2025-11-03 45,100 146,749 0.02%
2025-10-31 42,550 146,843 0.02%
2025-10-30 42,950 146,843 0.02%
2025-10-29 45,500 146,843 0.02%
2025-10-28 44,000 146,329 0.02%
2025-10-27 43,000 210,214 0.03%
2025-10-24 43,300 210,214 0.03%

한국전력 업종 내 비교

전기 업종(7개) 연간 기준

항목 한국전력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309,426.685 54,656.2 1위
PER(최근4분기) 3.757 -12.21 3위
PBR 0.665 1.91 6위
ROE(최근4분기) 9.218 -0.39 5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444 1.65 3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8.956 -9.42 4위
순이익률(최근연도) 3.878 -26.34 4위
부채비율(최근연도) 496.69 164.82 1위
매출액(최근연도) 933,988.96 142,110.51 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83,647.1 12,793.35 1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6,219.68 5,773.9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