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 콘크리트침목, 세그멘트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쉴드터널공법 기술을 보유하여 지하철 및 터널공사 등 지하 구조물 시공에 활용되는 기술력 보유하여 싱크홀 관련주로 분류된 바 있음
부산산업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933억
694위
1,056,000
3.28%
건설/인프라
건축자재
124,700
48,000
부산산업 기업 개요
부산산업은 1976년 설립된 기업으로 레미콘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태명실업, 티엠트랙시스템이 있다. 주요 매출은 레미콘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 생산인증 등 최고의 품질과 공급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부산·경남지역에서 시장 경쟁력 우위 보유하고 있다.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28% 하락한 3245.44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기준금리 동결 속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 기업 실적 기대감 등에 혼조, 유럽 주요국 증시는 유로존 2분기 GDP 2개 분기 연속 성장 등에 상승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3275.78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3288.2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하락 전환했고, 오전 내내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다.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했고, 장 후반 3,227.46(-27.01P, -0.
UNIST(총장 박종래)가 AI를 기반으로 한 지역산업 대전환 전략을 부산에서도 추진한다. 글로벌 AI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UNIST는 오는 9월부터 '부산 AX(인공지능 전환) 최고경영자과정' 1기를 개설한다. 대상은 부산 지역 중소·중견기업 CEO와 공공기관의 리더들이다. 이 프로그램은 부산연구개발특구사업의 하나로, UNIST 우수 교수진의 풍부한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특구 내 기업뿐 아니라, 부산 전역 산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45% 상승한 2920.03에 마감했다.밤사이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 합의·인플레 안도에도 중동 지정학적 긴장 고조, 기술주 부진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하락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2909.99로 강보합 출발했다. 장중 저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상승폭을 다소 키워 오전 중 292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였다. 오후 들어 상승폭을 더욱 키워 2934.3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을 보였다. 장후반 2911선으로 밀려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美 경기둔화 신호 '깜빡'…혼조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협상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토로하면서 미·중 합의에 대한 기대감이 약해진 가운데 미국 경기지표도 악화하자 상승 동력이 약해져.
- 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1.90포인트(0.22%) 내린 42,427.74에 거래를 마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상승한 5,970.81, 나스닥종합지수는 61.53포인트(0.32%) 오른 19,460.49에 장을 마쳐.
- 트럼프가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협상은 험난한 일이라고 밝힌 점은 투자심리를 제약. 두 정상 간 대화를 앞두고 미·중 협상에 대한 우려를 자극했기 때문. 이날 발표된 민간 고용 및 서비스업 업황 지표가 예상을 밑돌며 꺾인 점도 하방 재료. 2) "실용적 시장주의…기업 성장 뒷받침"
- '실용적 시장주의 정부.' "이재명 정부는 통제하고 관리하는 정부가 아니라 지원하고 격려하는 정부가 되겠다"면서 이같이 약속.
- 더불어민주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06% 하락한 2601.80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미국 국가신용등급 강등 소식에도 저가매수세 유입 등에 소폭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2622.68로 상승 출발했다. 장 초반 2622.9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반납해 하락 전환했다. 오전중 재차 상승하기도 했으나 오후 들어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하는 모습을 보였다. 장 후반 2598.1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결국 2601.80에서 거래를 마감
부산산업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24,105,964,709
-11.66%
3,356,780,182
-53.06%
-2,445,219,636
-144.86%
2023.4Q
140,483,423,894
-7.95%
7,151,160,981
35.97%
5,450,934,665
20.10%
2022.4Q
152,610,210,000
19.21%
5,259,376,600
1222.23%
4,538,775,600
239.78%
2021.4Q
128,014,975,000
10.70%
397,767,100
-92.82%
-3,247,162,000
-178.71%
부산산업 투자자별 매매동향
순매수량
개인: 1,173
기관: -1
외인: -1,180
누적 순매수량
개인: 25,791
기관: -2,141
외인: -23,55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8
1,173
-1
-1,180
2025-08-27
2,425
-337
-2,882
2025-08-26
4,963
114
-5,077
2025-08-25
490
-2
-482
2025-08-22
-55
-219
279
2025-08-21
1,620
-1,858
286
2025-08-20
915
1
-921
2025-08-19
-183
73
99
2025-08-18
-326
34
269
2025-08-14
569
30
-619
2025-08-13
629
24
-334
2025-08-12
-270
150
326
2025-08-11
1,619
85
-1,709
2025-08-08
-12,613
1,946
10,024
2025-08-07
-1,546
-2
1,527
2025-08-06
-412
-2
423
2025-08-05
145
-2
-54
2025-08-04
-110
-5
140
2025-08-01
1,372
3
-1,413
2025-07-31
3,258
2
-2,961
2025-07-30
-34
-3
46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8
3,629
31
-4,213
2025-08-27
2,456
32
-3,033
2025-08-26
31
369
-151
2025-08-25
-4,932
255
4,926
2025-08-22
-5,422
257
5,408
2025-08-21
-5,367
476
5,129
2025-08-20
-6,987
2,334
4,843
2025-08-19
-7,902
2,333
5,764
2025-08-18
-7,719
2,260
5,665
2025-08-14
-7,393
2,226
5,396
2025-08-13
-7,962
2,196
6,015
2025-08-12
-8,591
2,172
6,349
2025-08-11
-8,321
2,022
6,023
2025-08-08
-9,940
1,937
7,732
2025-08-07
2,673
-9
-2,292
2025-08-06
4,219
-7
-3,819
2025-08-05
4,631
-5
-4,242
2025-08-04
4,486
-3
-4,188
2025-08-01
4,596
2
-4,328
2025-07-31
3,224
-1
-2,915
2025-07-30
-34
-3
46
부산산업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329,207,146,752
48.00%
52.00%
부산산업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레미콘 [레미콘]
48.9%
PC 침목 외, SEG 3400 외, 건축 PC 외, 호첨 지대, 기타 [콘크리트 침목ㆍ세그멘트ㆍ건축 PCㆍ시멘트 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