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전자 로고

삼화전자 (011230) 주가 및 종목 정보

삼화전자 실시간 주가

삼화전자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5,080 원
변동량 ▼ 280.00 원
변동률 -5.22%
거래량 491,305
거래대금 2,598,140,010 원

삼화전자 일별 주가

삼화전자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7/31/2025 5,290 5,290 4,970 5,200 161,397 817,465,410
8/3/2025 5,200 5,210 5,020 5,110 56,106 286,333,740
8/4/2025 5,110 5,330 5,080 5,280 58,717 306,518,300
8/5/2025 5,330 5,350 5,120 5,190 74,572 389,742,575
8/6/2025 5,190 5,560 5,110 5,370 165,729 896,302,830
8/7/2025 5,370 5,600 5,280 5,510 135,701 739,274,850
8/10/2025 5,510 5,580 5,380 5,390 55,453 300,864,485
8/11/2025 5,530 5,660 5,330 5,350 53,027 288,253,420
8/12/2025 5,425 5,470 5,330 5,360 50,185 270,045,475
8/13/2025 5,370 5,830 4,980 5,080 491,305 2,598,140,010

관련 테마

  • 수소차 : 친환경자동차에서 필수적인 LDC 및 OBC 모듈에 적용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생산, 공급 중인 기업으로 페라이트 코어는 현대모비스와 공동 개발하고 있음
  • 전기차 : 삼화 콘덴서 그룹 계열사로 TV, 모니터, 통신 기기 등 각종 전자 기기 핵심 부품인 페라이트 코어 전문 생산과 함께 전장 부품용, EMI/EMC용, 산업용 제품 관련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희귀금속 : 페라이트 코어 전문 생산업체로 페라이트 코어는 파우더(산화철, 니켈, 망간)를 일정 모양으로 성형해 만듦
  • 희토류 : 페라이트 코어 전문 생산업체
  • 페라이트 : 페라이트 코어 등 전자기기부품을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 개헌 : 전자 부품 제조 기업으로, 세종시의 정보통신 및 전자산업 발전과 함께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

삼화전자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858억 715위 16,902,700 5.53% 하드웨어/IT장비 전자장비/기기 6,400 2,490

삼화전자 기업 개요

삼화전자는 1976년 설립된 기업으로 페라이트 코어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QINGDAO SAMWHA ELECTRIC CO LTD가 있다. 주요 매출은 페라이트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용 충전기, 5G 통신망에 페라이트 코어가 활용됨에 따라 페라이트 연구를 위해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최신 삼화전자 관련 뉴스

◆ 주체별 매매동향- 외국인, 기관 각각 3일, 5일 연속 순매수지난 한달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39.4만주를 순매수했고, 기관도 10.3만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들은 56.4만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이 종목의 거래비중은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7.5%, 68.1%로 비중이 높다.한편 외국인과 기관은 이 종목에 대해서 각각 최근 3일, 5일 연속 사자 행진을 벌이고 있다.[그래프]삼화전자 외국인/기관 매매동향한경로보뉴스이 기사는 한국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인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12% 상승한 2950.30에 마감했다.밤사이 뉴욕증시가 이스라엘-이란 갈등 완화 기대감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반등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2959.93으로 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2960선 부근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상승폭을 더욱 확대하며 오전 중 2998.62에서 고점을 형성했다. 이후 점차 상승폭을 축소했고, 오후 장중 하락세로 돌아서며 2925.79에서 저점을 형성했다. 장후반으로 갈수록 낙폭을 만회하던 지수는 장 막판 반등에 성공하

◆ 주체별 매매동향- 기관 4일 연속 순매수(3.8만주)지난 한달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15.7만주를 순매수했고, 기관도 7.6만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들은 29.5만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이 종목의 거래비중은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8.5%, 65.9%로 비중이 높다.한편 기관은 이 종목에 대해서 최근 4일 연속 3.8만주 순매수를 하고 있다.[그래프]삼화전자 외국인/기관 매매동향한경로보뉴스이 기사는 한국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포스탁데일리=허준범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20% 상승한 2488.42에 마감했다.지난 주말 뉴욕증시와 유럽 주요국 증시가 성 금요일(Good Friday)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피지수는 2486.38로 강보합 출발했다. 장초반 약보합세로 돌아선 지수는 2480선을 하회하기도 했지만 반등에 성공한 뒤 상승폭을 키워 2498.8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다. 오전 중 상승폭을 줄여 2480선 초중반대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후 들어 재차 하락세로 돌아섰고 2479.23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했다. 이내 반등

● 핵심 포인트 -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중국은 희토류를 통제 카드로 활용 중임. - 미국은 희토류 확보를 위해 다른 지역을 모색 중이나 아직 시간이 필요함. - 한국은 18개월까지 비축량을 늘리며 대응 중이며,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즈, 삼화전자 등의 희토류 관련주가 주목받고 있음. - 이들 종목은 변동성이 크므로 트레이딩 관점에서 접근 필요. 장기 투자보다는 관세에서 자유로운 섹터를 찾는 것이 좋음. ● 미중 무역전쟁 속 주목받는 희토류 관련주, 투자 전략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이 지속되면서 중국이 희토류를 무기화하고 있다. 미국은 대안책을 모색 중이지만 당장의 해결책은 없는 상황이다. 한국은 대응책으로 18개월까지의 비축량을 마련했고, 유니온, 유니온머티리얼즈, 삼화전자 등의 희토류 관련주가 주목받고 있다. 다만 이들 종목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트레이딩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으며,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장기투자보다는 관세에서 자유로운 섹터를 찾는 것이 유리하다는 조언이다. ※ 본 기사는 한국경제T

삼화전자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33,397,439,064 -20.31% -7,272,936,114 -45.36% -8,224,043,176 -29.07%
2023.4Q 41,906,999,638 -13.28% -5,003,290,248 -16.48% -6,371,619,997 -5.10%
2022.4Q 48,326,218,000 8.98% -4,295,417,000 -7.74% -6,062,381,600 -47.03%
2021.4Q 44,342,178,000 10.53% -3,986,875,600 -217.25% -4,123,339,000 -79.54%

순매수량

개인: 26,270

기관: -10,813

외인: -15,468

누적 순매수량

개인: -158,209

기관: 88,416

외인: 113,864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14 26,270 -10,813 -15,468
2025-08-13 14,328 -45 -14,287
2025-08-12 11,715 7,500 -19,101
2025-08-11 23,158 8 -32,018
2025-08-08 5,135 4,001 -7,227
2025-08-07 -19,083 9,592 9,309
2025-08-06 11,485 -18 -11,471
2025-08-05 -16,110 - 16,096
2025-08-04 10,260 22 -10,298
2025-08-01 46,473 4,048 -521
2025-07-31 24,438 13,828 -38,278
2025-07-30 1,054 40,976 -45,032
2025-07-29 -15,382 -8 7,386
2025-07-28 8,893 -1 -8,898
2025-07-25 10,762 26 -10,790
2025-07-24 30,221 -33 -26,207
2025-07-23 13,833 6 -17,156
2025-07-22 -21,224 -7 21,407
2025-07-21 1,860 -11 -1,884
2025-07-18 26,489 40 -24,974
2025-07-17 13,557 49 -13,642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14 208,132 69,160 -243,054
2025-08-13 181,862 79,973 -227,586
2025-08-12 167,534 80,018 -213,299
2025-08-11 155,819 72,518 -194,198
2025-08-08 132,661 72,510 -162,180
2025-08-07 127,526 68,509 -154,953
2025-08-06 146,609 58,917 -164,262
2025-08-05 135,124 58,935 -152,791
2025-08-04 151,234 58,935 -168,887
2025-08-01 140,974 58,913 -158,589
2025-07-31 94,501 54,865 -158,068
2025-07-30 70,063 41,037 -119,790
2025-07-29 69,009 61 -74,758
2025-07-28 84,391 69 -82,144
2025-07-25 75,498 70 -73,246
2025-07-24 64,736 44 -62,456
2025-07-23 34,515 77 -36,249
2025-07-22 20,682 71 -19,093
2025-07-21 41,906 78 -40,500
2025-07-18 40,046 89 -38,616
2025-07-17 13,557 49 -13,642

삼화전자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70,744,844,494 74.95% 25.05%

삼화전자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FERRITECORE, 페라이트코어외 92.08%
상품, 자재,부속품, 원료외 7.92%

삼화전자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0,498 (2.14%)

최근 공매도 잔고: 51,567 (0.31%)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14 5,080 10,498 2.14%
2025-08-13 5,360 147 0.29%
2025-08-12 5,350 669 1.26%
2025-08-11 5,390 1,102 1.99%
2025-08-08 5,510 1 0.00%
2025-08-07 5,370 10,134 6.11%
2025-08-06 5,190 19 0.03%
2025-08-05 5,280 0 0.00%
2025-08-04 5,110 10 0.02%
2025-08-01 5,200 4,330 2.68%
2025-07-31 5,290 3,242 3.95%
2025-07-30 5,200 1,027 0.86%
2025-07-29 5,080 10,743 13.01%
2025-07-28 5,000 2 0.00%
2025-07-25 5,080 353 1.05%
2025-07-24 5,100 315 0.51%
2025-07-23 5,290 736 1.06%
2025-07-22 5,040 7 0.01%
2025-07-21 5,160 11 0.02%
2025-07-18 5,190 0 0.00%
2025-07-17 5,430 0 0.00%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12 5,350 51,567 0.31%
2025-08-11 5,390 51,567 0.31%
2025-08-08 5,510 51,567 0.31%
2025-08-07 5,370 51,567 0.31%
2025-08-06 5,190 51,567 0.31%
2025-08-05 5,280 51,567 0.31%
2025-08-04 5,110 52,829 0.31%
2025-08-01 5,200 52,829 0.31%
2025-07-31 5,290 52,829 0.31%
2025-07-30 5,200 52,829 0.31%
2025-07-29 5,080 52,829 0.31%
2025-07-28 5,000 52,981 0.31%
2025-07-25 5,080 52,981 0.31%
2025-07-24 5,100 52,981 0.31%
2025-07-23 5,290 52,981 0.31%
2025-07-22 5,040 52,981 0.31%
2025-07-21 5,160 52,981 0.31%
2025-07-18 5,190 52,981 0.31%
2025-07-17 5,430 52,981 0.31%
2025-07-16 5,430 52,981 0.31%
2025-07-15 5,340 52,981 0.31%

삼화전자 업종 내 비교

전자장비/기기 업종(99개) 연간 기준

항목 삼화전자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905.985 4,876.79 51위
PER(최근4분기) -11.657 34.07 74위
PBR 6.624 2.4 7위
ROE(최근4분기) -38.887 -3.29 9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21.777 -8.91 86위
순이익률(최근연도) -24.625 5.18 90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50.649 93.53 6위
매출액(최근연도) 333.974 5,717.37 7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72.729 177.6 86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82.24 154.34 8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