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조동아원 로고

사조동아원 (008040) 주가 및 종목 정보

사조동아원 실시간 주가

사조동아원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113 원
변동량 0.00 원
변동률 0.00%
거래량 217,340
거래대금 242,417,624 원

사조동아원 일별 주가

사조동아원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13/2025 1,125 1,136 1,110 1,112 307,789 344,427,190
11/16/2025 1,117 1,147 1,113 1,130 452,922 510,876,682
11/17/2025 1,122 1,138 1,102 1,106 501,815 559,127,574
11/18/2025 1,101 1,183 1,086 1,106 2,886,693 3,279,308,170
11/19/2025 1,101 1,133 1,101 1,122 652,948 730,295,834
11/20/2025 1,120 1,120 1,101 1,112 569,032 630,543,485
11/23/2025 1,122 1,122 1,102 1,111 391,756 434,782,311
11/24/2025 1,106 1,121 1,091 1,092 467,180 514,609,039
11/25/2025 1,092 1,118 1,090 1,113 331,052 366,640,934
11/26/2025 1,117 1,126 1,112 1,113 217,340 242,417,624

관련 테마

  • 1인가구 : 사조오양의 계열사로 HMR시장의 수혜주로 부각된 기업
  • 간편식품 : 관련 주인 사조오양과 같은 계열사로 함께 부각됨
  • 대북식량지원 : 제분 사업(밀가루, 프리믹스, 메밀, 농산물, 유기농 등)과 생물 자원 사업 부문(가축, 양식 어류의 사료 제품)을 영위하고 있음
  • 반려동물 : 사조 그룹의 계열사로 동물 사료를 제조 및 판매하는 생물 자원 사업 부문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 곡물 : 원맥을 수입, 가공하여 판매하는 제분 사업과 가축 및 양식 어류의 사료를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
  • 밀가루 : 밀가루, 프리믹스, 메밀, 농산물 등을 판매하는 제분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

사조동아원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570억 571위 141,144,600 0.96% 기타 사료 1,536 884

사조동아원 기업 개요

사조동아원은 1972년 설립된 기업으로 배합사료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하나에너지가 있다. 주요 매출은 제분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사료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제분 및 생물자원 사업 부문은 안정적인 거래처 확보를 통한 영업활동을 하고 있다.

최신 사조동아원 관련 뉴스

정부가 국내 먹거리 물가 폭등의 주범으로 ‘담합 의혹’을 정조준하며 식품업계가 긴장감에 휩싸였다. 설탕 담합 의혹이 불거진 지 불과 두 달여 만에 제당업계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경영진이 구속되는 등 사태가 급물살을 탔다. 설탕뿐 아니라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의 핵심 원재료인 밀가루와 계란으로까지 조사 대상이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양사는 설탕 가격 담합 의혹을 받는 최낙현 대표이사가 지난 21일 ‘일신상의 형편’을 이유로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직을 사임했다고 공시했다. 최 대표의 사임으로 삼양사는 기존 강호성·최낙현 각자 대표 체제에서 강호성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됐다. 이는 지난 19일 서울중앙지법이 최 대표와 김상익 전 CJ제일제당 식품한국총괄에 대해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구속영장을 발부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지난달 CJ제일제당과 삼양사 임직원 4명의 영장이 기각됐던 것과는 달라진 양상이다.이번 조사는 지난 9월 검찰이 국내 제당 3사(CJ제일제당·삼양사·대한제당)를 동시에 압수수색하며 본격화했다. 안정세를 보였던 국제 원당 가격 흐름과 달리 기업들이 국내 설탕값을 인상한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5년간 설탕 가격은 46.9%, 밀가루 가격도 34.5% 상승했다. 빵·디저트·음료 등 설탕 기반 제품 가격까지 잇따라 오르며 이른바 ‘슈가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됐다.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원당 국제가격이 2023년 t당 600달러에서 최근 357달러까지 하락했는데도 국내 설탕 소매가격은 변동이 없었다”며 “상위 3개사가 90% 내외를 점유하는 과점 구조에서는 독과점력을 남용한 폭리 취득 등 담합 의혹이 있는지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94%에 달한다.구조적 문제도 드러났다. 완제품 설탕(정제당)의 관세율이 기본 30%로 책정돼 있는 반면, 설탕 원료인 원당은 3%의 낮은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 때문에 국내 제당사들이 원당을 수입해 가공·판매하는 방식이 고착됐다. 설탕 완제품 수입은 사실상 시장 경쟁력을 잃었고, 국내 과점 체제가 더욱 강화됐다는 지적이 나온다.공정거래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격 안정과 경쟁 활성화를 위해 관세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기획재정부는 내년도 설탕 할당관세율과 적용 물량을 확정하기 위해 관련 부처와 협의 중이다.다른 업체들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설탕과 함께 빵값 인상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 밀가루 시장은 CJ제일제당·대한제분·사조동아원 등 3개사가 약 70%를 점유하는 구조다. 공정위는 지난달 이들 포함 7개 제분업체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벌이며 가격 협의나 출하 조정 등 담합 여부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대한산란계협회가 회원사에 고시가격을 무조건 따르도록 강제해 계란 가격 상승을 유도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에 착수했다.이다연 기자 ida@kmib.co.kr

정부가 국내 먹거리 물가 폭등의 주범으로 ‘담합 의혹’을 정조준하며 식품업계가 긴장감에 휩싸였다. 설탕 담합 의혹이 불거진 지 불과 두 달여 만에 제당업계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최고경영층이 구속되는 등 사태가 급물살을 탔다. 설탕뿐 아니라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의 핵심 원재료인 밀가루와 계란으로까지 조사 대상이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며 업계의 불안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양사는 지난 21일 설탕 가격 담합 의혹을 받는 최낙현 대표이사가 ‘일신상의 형편’을 이유로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직을 사임했다고 공시했다. 최 대표의 사임으로 삼양사는 기존 강호성·최낙현 각자 대표 체제에서 강호성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됐다. 이는 앞서 19일 서울중앙지법이 최 대표와 김상익 전 CJ제일제당 식품한국총괄에 대해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구속영장을 발부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지난달 CJ제일제당과 삼양사 임직원 4명의 영장이 기각됐던 것과는 대비된다.이번 조사는 지난 9월 검찰이 국내 제당 3사(CJ제일제당·삼양사·대한제당)를 동시에 압수수색하며 본격화했다. 안정세를 보였던 국제 원당 가격 흐름과 달리 이들이 국내 설탕값을 인상한 정황이 포착됐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5년간 설탕 가격은 46.9%, 밀가루 가격도 34.5% 상승했다. 빵·디저트·음료 등 설탕 기반 제품 가격까지 잇따라 오르며 이른바 ‘슈가플레이션’ 우려가 확산됐다.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원당 국제가격이 2023년 t당 600달러에서 최근 357달러까지 하락했는데도 국내 설탕 소매가격은 변동이 없었다”며 “상위 3개사가 90% 내외를 점유하는 과점 구조에서는 독과점력을 남용한 폭리 취득 등 담합 의혹이 있는지 여부를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이들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94%에 달한다.구조적 문제도 드러났다. 완제품 설탕(정제당)의 관세율이 기본 30%로 책정돼 있는 반면, 설탕 원료인 원당은 3%의 낮은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 때문에 국내 제당사들이 원당을 수입해 가공·판매하는 방식이 고착되면서 완제품 수입은 사실상 시장 경쟁력을 잃었고, 국내 과점 체제가 더욱 강화됐다는 지적이 나온다.공정거래위원회와 농림축산식품부는 가격 안정과 경쟁 활성화를 위해 관세 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기획재정부는 내년도 설탕 할당관세율 및 적용 물량을 확정하기 위해 이들 부처와 협의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지난 9월 국무회의에서 “고삐를 놔주면 담합하고 독점하고 횡포를 부리고 폭리를 취한다”며 강력한 대응 의지를 드러냈다.이에 다른 업체들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설탕과 함께 빵값 인상의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 밀가루 시장은 CJ제일제당·대한제분·사조동아원 등 3개사가 약 70%를 점유하는 구조다. 공정위는 지난달 이들 포함 7개 제분업체를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벌이며 가격 협의나 출하 조정 등 담합 여부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대한산란계협회가 회원사에 고시가격을 무조건 따르도록 강제해 계란 가격 상승을 유도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조사에 착수했다.이다연 기자 ida@kmib.co.kr

국내 빵값만 유독 비싸다는 비판이 계속되자 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주요 밀가루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에 착수했다. 설탕에 이어 밀가루 업계의 가격 담합 여부를 본격적으로 들여다본다. 18일 공정위 등에 따르면 최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대한제분·CJ제일제당·사조동아원·대선제분·삼양사·삼화제분·한탑 등 7개 제분사에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공정

정부가 '고삐 풀린 먹거리 물가'에 대해 본격적으로 칼을 빼 들었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면서 원자재 가격 인상을 이유로 수년째 식품 가격 인상이 이어진 데다 기후변화를 빌미로 농산물 가격마저 널뛰기를 반복했는데, 이 과정에서 유통 기업들이 부당한 이익을 챙긴 정황이 포착되면서다.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세인 가운데 이재명 정부가 예고 없이 단속에 나서면서 유통업계 전반으로 물가 인하 압력이 확대될지 주

사조동아원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678,149,244,374 -0.05% 50,021,201,372 29.47% 24,261,791,036 125.92%
2023.4Q 678,497,886,892 7.43% 38,636,740,353 153.34% 10,738,977,757 937.34%
2022.4Q 631,567,200,000 53.24% 15,251,124,000 -20.19% 1,035,395,600 -54.50%
2021.4Q 412,139,550,000 4.02% 19,110,100,000 14.85% 2,275,542,000 -76.34%

순매수량

개인: -52,836

기관: -302

외인: -12,392

누적 순매수량

개인: 967,968

기관: -278,328

외인: -1,532,911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7 -52,836 -302 -12,392
2025-11-26 -177,607 -26 50,001
2025-11-25 89,833 -4 -121,165
2025-11-24 -135,718 656 -3,674
2025-11-21 -203,287 -3,019 57,688
2025-11-20 -229,680 8,481 223,617
2025-11-19 74,528 -5,752 -71,867
2025-11-18 -21,540 -11,401 32,965
2025-11-17 43,677 217 -43,979
2025-11-14 76,229 451 -73,780
2025-11-13 -25,636 28,249 -288
2025-11-12 -20,334 -36,675 57,009
2025-11-11 101,694 -89,386 -27,712
2025-11-10 -99,141 3,226 97,698
2025-11-07 -2,347 -175,618 176,182
2025-11-06 -38,710 137 38,573
2025-11-05 -11,608 24,470 -22,862
2025-11-04 4,889 -2,558 -2,331
2025-11-03 -21,215 -1,190 26,570
2025-10-31 68,545 -385 -69,160
2025-10-30 -54,326 470 53,856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7 -634,590 -259,959 364,949
2025-11-26 -581,754 -259,657 377,341
2025-11-25 -404,147 -259,631 327,340
2025-11-24 -493,980 -259,627 448,505
2025-11-21 -358,262 -260,283 452,179
2025-11-20 -154,975 -257,264 394,491
2025-11-19 74,705 -265,745 170,874
2025-11-18 177 -259,993 242,741
2025-11-17 21,717 -248,592 209,776
2025-11-14 -21,960 -248,809 253,755
2025-11-13 -98,189 -249,260 327,535
2025-11-12 -72,553 -277,509 327,823
2025-11-11 -52,219 -240,834 270,814
2025-11-10 -153,913 -151,448 298,526
2025-11-07 -54,772 -154,674 200,828
2025-11-06 -52,425 20,944 24,646
2025-11-05 -13,715 20,807 -13,927
2025-11-04 -2,107 -3,663 8,935
2025-11-03 -6,996 -1,105 11,266
2025-10-31 14,219 85 -15,304
2025-10-30 -54,326 470 53,856

사조동아원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488,794,151,869 39.78% 60.22%

사조동아원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소맥분등 [제분부문 제품] 63.34%
배합사료 [생물자원부문 제품] 31.35%
소맥분상품등 [제분부문 상품] 2.68%
배합사료등 [생물자원부문 상품] 2.63%

사조동아원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0,209 (4.7%)

최근 공매도 잔고: 175,428 (0.1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27 1,113 10,209 4.70%
2025-11-26 1,113 13,735 4.15%
2025-11-25 1,092 57,468 12.30%
2025-11-24 1,111 12,815 3.27%
2025-11-21 1,112 9,284 1.63%
2025-11-20 1,122 6,532 1.00%
2025-11-19 1,106 33,145 1.15%
2025-11-18 1,106 12,431 2.48%
2025-11-17 1,130 15,453 3.41%
2025-11-14 1,112 16,390 5.33%
2025-11-13 1,136 31,243 8.76%
2025-11-12 1,138 17,274 3.39%
2025-11-11 1,103 18,372 5.41%
2025-11-10 1,120 33,069 7.51%
2025-11-07 1,106 198,184 32.60%
2025-11-06 1,123 3,417 1.20%
2025-11-05 1,109 20,938 3.27%
2025-11-04 1,118 14,320 1.74%
2025-11-03 1,107 27,108 3.07%
2025-10-31 1,121 21,654 3.92%
2025-10-30 1,130 23,138 3.46%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25 1,092 175,428 0.12%
2025-11-24 1,111 175,428 0.12%
2025-11-21 1,112 175,428 0.12%
2025-11-20 1,122 175,428 0.12%
2025-11-19 1,106 175,428 0.12%
2025-11-18 1,106 175,428 0.12%
2025-11-17 1,130 175,428 0.12%
2025-11-14 1,112 175,428 0.12%
2025-11-13 1,136 175,428 0.12%
2025-11-12 1,138 175,428 0.12%
2025-11-11 1,103 175,428 0.12%
2025-11-10 1,120 175,428 0.12%
2025-11-07 1,106 175,428 0.12%
2025-11-06 1,123 0 0.00%
2025-11-05 1,109 0 0.00%
2025-11-04 1,118 0 0.00%
2025-11-03 1,107 0 0.00%
2025-10-31 1,121 0 0.00%
2025-10-30 1,130 0 0.00%
2025-10-29 1,142 0 0.00%
2025-10-28 1,154 0 0.00%

사조동아원 업종 내 비교

사료 업종(9개) 연간 기준

항목 사조동아원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570.939 1,092.38 3위
PER(최근4분기) 6.307 23.68 4위
PBR 0.543 3.46 7위
ROE(최근4분기) 9.452 1.95 5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797 2.16 5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7.376 -0.41 3위
순이익률(최근연도) 3.578 -4.78 4위
부채비율(최근연도) 68.181 212.04 5위
매출액(최근연도) 6,781.492 4,424.87 2위
영업이익(최근연도) 500.212 174.87 2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242.618 27.42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