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투자신탁은 주식을 법 시행령 제94조제2항제4호에서 규정하는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1좌당 순자산가치의 일간변동률을 “KEDI U.S. Robotaxi Index(원화환산)”의 1배수와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또한, 이 투자신탁은 외화표시 자산에의 투자에 따른 환율변동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환헤지 전략을 기본적으로 실시하지 않으므로, 해당 외화표시 자산 투자에 따른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됩니다.
하나자산운용과 한화자산운용은 '1Q 미국메디컬AI' 상장지수펀드(ETF)와 'PLUS 미국로보택시' ETF를 상장하며, 인공지능(AI) 테마 공략에 나섰다. AI 테마 ETF의 투자 영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 기술 인프라 중심에서 벗어나 의료·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는 것이다.◆ 신약 개발·수술까지 ‘메디컬AI’ 주목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하나자산운용은 미국에 상장된 제약, 의료장비 및 소프트웨어 기업 가운데 메디컬AI 분야
[데일리한국 정백현 기자] 국내 자본시장에서 거래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총 개수가 1호 상품 상장 이후 23년 만에 1000개를 넘어섰다.한국거래소는 22일 기준 국내 자본시장에서 거래 중인 ETF의 숫자가 1002개를 기록해 지난 2002년 국내 시장에 ETF가 최초로 상장된 이후 처음으로 ETF 시장 규모가 1000개 수준으로 커졌다고 밝혔다.이날 하루에만 더제이 중소형포커스액티브, KODEX TDF2060액티브, KIWOOM 미국테크100월간목표헤지액티브, 1Q 미국메디컬AI, ACE 미국10년국채액티브, ACE 미국10
한화자산운용이 'PLUS 미국로보택시' ETF(상장지수펀드)를 신규 상장한다고 22일 밝혔다. PLUS 미국로보택시는 로보택시 사업을 직접 영위하는 자율주행 서비스 기업 ▲테슬라 ▲웨이모(알파벳) ▲바이두, 로보택시 산업을 뒷받침하는 핵심 기술 기업 ▲엔비디아 ▲모빌아이(ADAS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위라이드(글로벌 자율주행 상용화) ▲포니AI(세계 최정상급 자율주행 기술 보유) 등에 주로 투자한다. 이밖에도 우버와 리프트, 그랩, 앱티브 등 로보택시를 최종 수요자와 연결시켜줄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을 편입해 로보택시 생태계 전반을 아우른다. 로보택시는 자율주행차의 결정체이자 피지컬AI 시대의 선두주자로 불린다. 피지컬AI는 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로봇 등 실제 물리 세계에서 움직이며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AI(인공지능)다. 젠슨황 엔비디아 CEO는 차세대 AI 트렌드로 ‘피지컬AI’를 언급할 만큼 성장성이 기대되는 분야다. 특히 로보택시 산업은 최근 상업화 단계에 돌입해 가까운 시일 내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 마켓닷어스에 따르면, 글로벌 로보택시 시장은 2033년 4,500억 달러(약 600조 원) 규모로
[인포스탁데일리=김근화 기자] 한화자산운용은 ‘피지컬AI’ 시대를 구현할 로보택시 산업에 투자하는 ‘PLUS 미국로보택시(0078V0)’ ETF를 신규 상장한다고 22일 밝혔다.피지컬AI는 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로봇 등 실제 물리 세계에서 움직이며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AI(인공지능)다PLUS 미국로보택시는 로보택시 사업을 직접 영위하는 자율주행 서비스 기업 △테슬라 △웨이모(알파벳) △바이두를 비롯해 로보택시 산업을 뒷받침하는 핵심 기술 기업 △엔비디아 △모빌아이(ADAS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위라이드(글로벌 자율주행 상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