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로고

미래에셋증권 (006800) 주가 및 종목 정보

미래에셋증권 실시간 주가

미래에셋증권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9,150 원
변동량 ▲ 60.00 원
변동률 0.31%
거래량 2,092,100
거래대금 40,245,644,915 원

미래에셋증권 일별 주가

미래에셋증권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17/2025 18,630 18,650 18,180 18,270 1,555,956 28,453,300,975
8/18/2025 18,310 18,480 17,970 18,200 1,265,932 23,082,333,565
8/19/2025 17,810 17,980 17,100 17,790 2,307,428 40,285,414,060
8/20/2025 17,790 18,070 17,770 17,890 1,179,834 21,118,829,880
8/21/2025 17,810 18,140 17,700 17,790 1,060,925 18,901,524,635
8/24/2025 18,060 18,830 18,060 18,300 3,133,537 57,813,958,130
8/25/2025 18,330 18,330 17,800 17,830 1,573,746 28,199,655,835
8/26/2025 17,930 18,150 17,580 18,040 1,346,006 24,125,047,000
8/27/2025 17,900 19,450 17,830 19,090 5,358,740 102,462,971,315
8/28/2025 19,380 19,440 19,080 19,150 2,092,100 40,245,644,915

관련 테마

  • 증권 : 자산관리, 위탁매매, 트레이딩, 투자은행 업무 등을 영위중인 미래에셋그룹 계열의 업계 상위 증권사

미래에셋증권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09,215억 52위 570,316,408 13.30% 금융 증권 25,350 7,920

미래에셋증권 기업 개요

미래에셋증권은 1970년 설립된 기업으로 투자매매, 투자중개, 집합투자, 신탁 등 금융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미래에셋벤처투자, 미래에셋네이버아시아그로쓰사모투자합자회사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유가증권 평가 및 처분이익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수수료 수익, 환 차익, 이자 수익이 뒤를 잇고 있다. 우수한 자기자본력으로 국내 및 해외 주식 PI, 부동산 투자 등 다각화된 글로벌 투자를 확대하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최신 미래에셋증권 관련 뉴스

이미지투데이중국 반도체 기업을 주로 담고 있는 국내 상장지수펀드(ETF)가 테마형 상품 중 주간 수익률 1위를 차지했다. 최근 중국 정부의 반도체 자립 가속화로 관련 기업 주가가 급등한 영향이다. 반면 국내 대표 테마인 2차전지 ETF는 수익률 최하위권에 머물렀다.31

상하이 증시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중국 증시가 활황세를 보이면서 이른다 '중학 개미'가 돌아왔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 25일 3888선을 돌파 마감하며 10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했다. 올해 들어 상승률은 지난 28일 기준 14.67%로, 이달 들어서면 7.57% 올랐다. 중국 본토 선전종합지수도 올해 상승률이 13.44%, 이달 들어 9.52% 상승했다. 31일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 통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28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이 중국 상하이에서 1081만달러, 선전에서 2490만달러를 순매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순매수결제 상위 종목에는 전기차 업체인 'BYD(비야디)', 중국 최대의 반도체 장비 제조사 '나우라', 데이터센터와 5G 네트워크용 고속 통신 모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중지' 등이 자리했다. 미래에셋증권 윤재홍 연구원은 25일 글로벌 ETF 시장 동향 보고서에서 중국 시장에 대해 미중 무역분쟁 안정 양상과 개인 투자자 유입을 시장 동인으로 꼽으며, 반도체, 과창판, 5G 로봇과 AI, 클라우드 수익률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국내의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는 최근 수익률 상위권을 휩쓸고 있기도 하다. 코스콤 ETF 체크에 따르면, 최근 한 달 수익률 상위 10개 종목에 중국 상품이 9개를 차지했다. ACE중국과창판STAR50의 기간수익률은 63.83%(1위)다. 이어 SOL 차이나육성산업액티브(합성) 30.88%(2위), TIGER 차이나과창판STAR50(합성) 30.05%(3위), TIGER 차이나반도체FACTSET 29.54%(4위), KODEX 차이나과창판STAR50(합성) 29.28%(5위) 등이 자리했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과창(과학창업)판' ETF가 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것은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첨단 산업 육성에 투자금이 유입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의 엔비디아로 불리는 캠브리콘과 중국 최대 파운드리기업인 SMIC 등이 과창판 상위 50개 기업에 속한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말 '인공지능(AI)+ 이니셔티브'를 공식화하면서 AI를 제조, 소비, 의료, 금융 등 산업 전반에 적용해 대규모 응용 단계로 확장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했다. 신한투자증권 신승웅 연구원은 '중국 AI+ 시대 본격화' 보고서에서 "주식시장에서도 AI 밸류체인을 향한 투자 열기가 확산되고 있다"며 "AI 디바이스와 응용단으로 수급 확산이 기대되며, 실제로 최근 관련 섹터 전반에서 실적 추정치 상향과 주가 상승이 동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삼성증권 전종규 연구원은 "중국 본토 증시의 랠리는 펀더멘털 악화와 대비되는 이례적인 반등으로 평가할 수 있다"며 "부동산 지표 악화와 관세 전쟁 이후 대미 수출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하반기 경기 하강 압력이 심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검이 출범 약 두 달 만에 김건희씨를 구속 기소했다. 각종 의혹에도 불구하고 윤석열 전 대통령 재임 기간 내내 김씨를 한 번도 소환하지 못한 검찰과 수사 개시 약 2개월 만에 김건희씨를 구속기소한 특검이 대비되는 모양새다. 특검, 檢의 '무혐의' 뒤집고 '공모' 판단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전날 특검은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가법상 알선수재 혐의로 김씨를 구속 기소했다. 특검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과 관련해서 "김씨는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 대표 등과 공모하여 2010년 10월경부터 2012년 12월경까지 주가조작 범행을 하여 8억 1천만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득했다"며, 김씨가 단순 '방조'를 넘어 주가조작 일당과 '공모' 관계에 있었다고 판단했다. 이는 주가조작 의혹을 받던 김씨에 대해 검찰이 앞서 내린 불기소 처분을 뒤집은 것이다. 지난해 10월 검찰은 김씨에 대한 소환조사 조차 한 차례도 하지 못한 채, 결국 무혐의 처분을 내린 바 있다. 심지어 당시 검찰은 가장 논란이 됐던 '7초 매매'에 대해서도 "증거가 없다"고 판단했다. 2010년 11월 1일 주가조작 주포가 투자자문사에 '도이치 주식 8만주를 매도하라'는 문자를 보내자 불과 7초 뒤 김씨 명의의 대신증권 계좌에서 정확히 8만주가 팔려나간 것을 두고,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다소 의심스럽다"면서도 주가조작을 인지했다고 볼만한 증거가 없다고 봤다. 하지만 특검의 판단은 달랐다. 특검은 김씨가 단순 전주(錢主)가 아니라 주포들과 공모 관계였다는 증거를 다수 확보했다고 한다. 김건희씨가 주가조작을 인지했다는 사실을 넘어, 주가조작 사건에서 일정 부분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판단이 가능했던 건, 특검이 보강수사를 거쳐 새로운 주가조작 증거를 찾아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특검은 김씨의 은행 계좌에서 2억 7천만 원이 수표로 인출된 정황을 포착했다. 김씨가 블랙펄인베스트 측과 약정한 수익금 40%와 거의 일치하는 금액이었다. 비정상적으로 높게 책정된 약정률을 실제로 김씨가 인출한 것이었는데, 김건희씨는 조사에서 특검이 이같은 정황을 제시하자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특검이 이러한 정황을 포착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서울고검의 재기 수사가 있다. 지난 4월 시작된 재기수사 과정에서 서울고검 수사팀은 김건희씨와 미래에셋증권 직원과의 녹음파일을 다수 입수했는데, 이때 김씨가 증권사 직원과의 통화에서 '계좌를 맡기고 40%의 수익을 주기로 했다', '그쪽에서 주가를 관리하고 있다'고 말한 사실이 드러났다. '건진법사 의혹' 관련 새로운 피의자도 발견 '건진법사 청탁 의혹'과 관련해서도 특검은 검찰이 발견하지 못한 '키맨'인 이모씨를 찾아냈다. 이씨는 건진법사 전성배씨와 20년동안 알고 지낸 가까운 사이다. 특검은 이씨가 전성배씨와 함께 '브로커'로 활동한 것으로 의심하고 알선수재 혐의를 적용해 지난 18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특검은 또 통일교 측과 윤석열·김건희 부부 간 핵심 연결고리였던 통일교 전 간부 윤모씨의 신병도 확보했다. 윤씨는 건진법사에게 직접 샤넬 가방과 다이아몬드 목걸이 등을 건네고, 각종 통일교 측의 요구사항을 전달한 인물이다. 특검은 윤씨를 지난달 30일 구속하고 수차례 소환해 조사중이다. 이렇게 특검이 이씨와 윤씨 등의 신병을 확보한 것은 전성배씨에게 큰 부담이 됐다는 분석이 법조계에서 나왔다. 주변 인물들이 하나 둘씩 구속되면서 전씨도 더 이상 버틸 힘을 잃게 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전씨는 구속 전 피의자 심문도 포기했다. 전씨 변호인은 "본인 때문에 여러 사람들이 고초를 겪는 상황을 견딜 수 없고, 당연히 본인도 잘못되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특검 출범 전 해당 의혹을 수사하던 서울남부지검은 이씨를 피의자로 입건하지 않았다. 또 남부지검은 지난해 12월 전씨의 자택에서 압수한 약 1억 6천만원의 현금 중 관봉권에 해당하는 5천만원에 부착된 띠지와 스티커 등을 분실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기도 했다. 이 때문에 '증거를 인멸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특검은 김건희씨를 구속한 후에도 수사를 이어간다. 특검은 '귀금속 수수 및 매관매직 의혹' 등 남은 의혹 규명에 속도를 올릴 예정이다. 김씨는 서울 남부구치소에 수감된 채 형사재판과 특검 조사를 동시에 받게 될 전망이다.

미래에셋증권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2,242,327,609,027 9.25% 1,188,076,348,199 128.02% 925,470,295,452 173.92%
2023.4Q 20,359,463,366,897 6.25% 521,036,811,624 -37.64% 337,857,808,122 -48.78%
2022.4Q 19,161,174,666,050 45.69% 835,559,587,337 -43.75% 659,659,009,819 -44.26%
2021.4Q 13,152,001,580,324 -21.91% 1,485,475,654,962 32.97% 1,183,438,432,208 41.84%

순매수량

개인: 344,934

기관: 413,335

외인: -764,054

누적 순매수량

개인: -1,356,896

기관: 7,512,005

외인: -1,795,90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344,934 413,335 -764,054
2025-08-28 -313,503 719,062 371,981
2025-08-27 -207,792 9,691 182,193
2025-08-26 201,348 -65,682 -111,357
2025-08-25 -750,491 443,413 304,286
2025-08-22 57,572 -175,697 114,896
2025-08-21 -184,637 -132,641 317,612
2025-08-20 -212,334 -132,841 341,283
2025-08-19 -149,448 -120,291 275,678
2025-08-18 -19,816 -364,177 392,024
2025-08-14 -46,228 -131,725 197,080
2025-08-13 -48,329 26,872 25,823
2025-08-12 -597,003 205,113 394,233
2025-08-11 -164,115 -224,312 462,527
2025-08-08 -78,654 -3,257 83,034
2025-08-07 709,851 47,933 -758,388
2025-08-06 -192,634 345,993 -168,192
2025-08-05 71,442 29,431 -104,214
2025-08-04 157,141 -264,853 107,819
2025-08-01 -210,950 -1,034,607 1,228,536
2025-07-31 -263,218 -68,632 320,937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1,896,864 -477,872 3,213,737
2025-08-28 -2,241,798 -891,207 3,977,791
2025-08-27 -1,928,295 -1,610,269 3,605,810
2025-08-26 -1,720,503 -1,619,960 3,423,617
2025-08-25 -1,921,851 -1,554,278 3,534,974
2025-08-22 -1,171,360 -1,997,691 3,230,688
2025-08-21 -1,228,932 -1,821,994 3,115,792
2025-08-20 -1,044,295 -1,689,353 2,798,180
2025-08-19 -831,961 -1,556,512 2,456,897
2025-08-18 -682,513 -1,436,221 2,181,219
2025-08-14 -662,697 -1,072,044 1,789,195
2025-08-13 -616,469 -940,319 1,592,115
2025-08-12 -568,140 -967,191 1,566,292
2025-08-11 28,863 -1,172,304 1,172,059
2025-08-08 192,978 -947,992 709,532
2025-08-07 271,632 -944,735 626,498
2025-08-06 -438,219 -992,668 1,384,886
2025-08-05 -245,585 -1,338,661 1,553,078
2025-08-04 -317,027 -1,368,092 1,657,292
2025-08-01 -474,168 -1,103,239 1,549,473
2025-07-31 -263,218 -68,632 320,937

미래에셋증권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140,348,029,000,000 91.15% 8.85%

미래에셋증권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sales & trading 74.12%
WM 13.44%
PI및기타 6.42%
IB 6.02%

미래에셋증권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94,921 (7.28%)

최근 공매도 잔고: 6,816,824 (1.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29 19,150 194,921 7.28%
2025-08-28 19,090 199,203 2.69%
2025-08-27 18,040 163,315 9.33%
2025-08-26 17,830 82,833 4.04%
2025-08-25 18,300 142,640 3.25%
2025-08-22 17,790 150,252 11.29%
2025-08-21 17,890 130,194 8.91%
2025-08-20 17,790 205,972 6.76%
2025-08-19 18,200 80,184 5.07%
2025-08-18 18,270 412,662 20.77%
2025-08-14 18,810 202,979 14.61%
2025-08-13 18,870 175,928 9.39%
2025-08-12 18,720 55,917 1.42%
2025-08-11 18,360 213,463 6.57%
2025-08-08 18,900 115,330 6.33%
2025-08-07 18,900 181,864 3.57%
2025-08-06 18,720 108,585 4.81%
2025-08-05 18,260 82,089 3.41%
2025-08-04 18,120 252,952 9.76%
2025-08-01 17,920 784,250 17.31%
2025-07-31 19,090 580,919 16.81%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27 18,040 6,816,824 1.20%
2025-08-26 17,830 7,044,078 1.24%
2025-08-25 18,300 7,175,923 1.26%
2025-08-22 17,790 7,381,501 1.29%
2025-08-21 17,890 7,506,871 1.32%
2025-08-20 17,790 7,796,836 1.37%
2025-08-19 18,200 8,050,503 1.41%
2025-08-18 18,270 8,205,432 1.44%
2025-08-14 18,810 7,996,093 1.40%
2025-08-13 18,870 8,012,286 1.40%
2025-08-12 18,720 8,064,504 1.41%
2025-08-11 18,360 8,189,868 1.44%
2025-08-08 18,900 8,115,755 1.42%
2025-08-07 18,900 8,175,158 1.43%
2025-08-06 18,720 8,183,673 1.43%
2025-08-05 18,260 8,038,745 1.41%
2025-08-04 18,120 8,072,278 1.42%
2025-08-01 17,920 8,410,844 1.47%
2025-07-31 19,090 8,372,761 1.47%
2025-07-30 19,100 9,007,455 1.58%
2025-07-29 19,360 8,967,979 1.57%

미래에셋증권 업종 내 비교

증권 업종(21개) 연간 기준

항목 미래에셋증권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08,873.402 22,263.82 1위
PER(최근4분기) 11.749 11.92 7위
PBR 0.912 0.55 2위
ROE(최근4분기) 7.951 3.54 6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786 3.42 16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5.342 7.34 8위
순이익률(최근연도) 4.161 7.24 8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018.56 697.22 3위
매출액(최근연도) 222,423.276 39,612.85 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1,880.763 2,906.19 3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9,254.703 2,358.33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