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운용, ‘TIGER 차이나 ETF’ 2종 순자산 합계 5000억 돌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올해 5월 신규 상장한 ‘TIGER 차이나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순자산 합계가 4개월 만에 5000억 원을 ...
항목 | 값 |
---|---|
현재가 | 14,955 원 |
변동량 | ▲ 445.00 원 |
변동률 | 3.07% |
거래량 | 2,076,577 |
거래대금 | 30,651,166,489 원 |
날짜 | 시가 | 고가 | 저가 | 종가 | 거래량 | 거래대금 |
---|---|---|---|---|---|---|
9/18/2025 | 13,745 | 13,850 | 13,200 | 13,320 | 4,301,435 | 58,062,332,372 |
9/21/2025 | 13,440 | 13,700 | 13,280 | 13,645 | 3,778,478 | 51,080,343,425 |
9/22/2025 | 13,735 | 13,830 | 13,290 | 13,450 | 2,246,995 | 30,481,350,815 |
9/23/2025 | 13,680 | 13,880 | 13,400 | 13,840 | 2,833,294 | 38,720,283,367 |
9/24/2025 | 13,950 | 14,260 | 13,905 | 14,145 | 2,958,900 | 41,709,371,187 |
9/25/2025 | 14,080 | 14,185 | 13,760 | 13,760 | 3,264,171 | 45,743,519,041 |
9/28/2025 | 13,770 | 14,100 | 13,590 | 14,030 | 2,865,869 | 39,616,859,694 |
9/29/2025 | 14,130 | 14,500 | 14,060 | 14,460 | 2,962,690 | 42,299,773,936 |
9/30/2025 | 14,490 | 14,605 | 14,470 | 14,510 | 1,482,690 | 21,577,892,578 |
10/1/2025 | 14,560 | 14,955 | 14,540 | 14,955 | 2,076,577 | 30,651,166,489 |
이 ETF는 주식을 주된 투자대상자산으로 하며, “Mirae Asset China Humanoid Robot Index(Price Return)(원화환산)”의 수익률 추종을 목적으로 하는 ETF입니다. 이 ETF는 해외 주식에 투자하면서도 환헤지를 하지 않으므로 기초지수의 원화환산 수익률에 연동하게 됩니다. “Mirae Asset China Humanoid Robot Index(Price Return)(원화환산)”는 중국 본토 및 홍콩에 상장된 기업 중 최근 6개월간 하루 평균 거래대금과 유동 시가총액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종목을 대상으로, 유동 시가총액 상위 20종목을 선별하여 산출되는 지수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생산 기업(Humanoid Maker) 및 핵심 부품 공급 기업(Humanoid Essential Components) 등 2개 서브테마에 해당하는 종목을 포함하는 지수입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올해 5월 신규 상장한 ‘TIGER 차이나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순자산 합계가 4개월 만에 5000억 원을 ...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5월 신규 상장한 TIGER 차이나 ETF 2종의 순자산 합계가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종가 기준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 순자산은 2858억원으로 집계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빅테크 기업 10개 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상품으로 알리바바(15.8%)와 CATL(13.6%), SMIC(13.3%)를 비롯해 샤오미, 텐센트 등에 투자한다.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는 홍콩뿐 아니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5월 신규 상장한 TIGER 차이나 상장지수펀드(ETF) 2종의 순자산 합계가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종가 기준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 ...
최근 주 4.5일제 논의, 저출산,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한 노동력 감소를 로봇이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로봇 관련 ETF의 수익률이 고공질주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에 불어닥친 휴머노이드 로봇 열풍과 국내 노란봉투법 시행도 로봇 섹터에 수혜로 작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8일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국내에 상장된 주요 로봇ETF들의 최근 1개월 상승률은 8%에서 25%선이다. 특히 최근 1개월 성과가 가장 좋은 ETF는 중국관련 휴머노이드 기업에 투자하는 미래에셋 'TIGER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과 삼성운용의 'KODEX차이나휴머노이드로봇' 으로 각각 25%, 17% 상승했다. 이와 함께 PLUS 글로벌휴머노이드로봇액티브(+15.54%), KoAct글로벌AI&로봇액티브(+13.91%), RISE AI&로봇(+8.72%)등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펀드매니저들은 최근 테슬라 마스터플랜4 발표 이후 휴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ETF’가 총 순자산 규모 80조원을 돌파했다고 19일 밝혔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8일 종가 기준 TIGER ETF 217종의 순자산 합계는 80조7351억원이다. 올해 6월 70조원을 돌파한 이후 3개월여 만에 80조원을 넘어섰다.TIGER ETF는 국내 ETF 시장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가장 많은 선택을 받고 있다. 19일 기준 현재 국내 전체 ETF 중 개인 투자자 보유 금액(AUM)은 약 73조5천억 원이다. 이 중 TIGER ETF는 30조7천억 원으로 운용사 중 유일하게
해당 종목의 매출 정보가 없습니다.
개인: 529,594
기관: -308,115
외인: -245,013
개인: 529,594
기관: -308,115
외인: -245,013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2025-10-02 | 529,594 | -308,115 | -245,013 |
날짜 | 개인 | 기관 | 외인 |
---|---|---|---|
2025-10-02 | 529,594 | -308,115 | -245,013 |
자산 비율 정보가 없습니다.
매출 구성 정보가 없습니다.
공매도 현황 정보가 없습니다.
업종 내 비교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