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 반도체 및 평판디스플레이용 감광액과 박리액, 세척액, 식각액 및 태양전지용 전극Paste 등 전자재료를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엘지디스플레이 등에 납품하는 업체
LCD 부품/소재 : 감광액과 발포제 생산, 판매업체로 반도체 및 TFT-LCD, PDP 등의 노광 공정에 사용되는 감광약 관련 전자 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솔라루프 : 건물 외벽이나 유리벽에 부착이 가능해 흐린 날도 발전이 가능한 염료 감응 태양전지 개발/자동차용 선루프 형태의 태양전지 시제품 개발 이력 있음
동진쎄미켐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5,912억
31위
51,414,494
9.55%
소재
화학
39,050
20,200
동진쎄미켐 기업 개요
동진쎄미켐은 1967년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및 LCD 노광공정에 사용 되는 발포제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무한동진쎄미켐과기, 대만동진화성고분, 신암정유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TFT-LCD 화학제품, 발포제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전자재료 및 발포제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포제 시장에서 과점체제를 형성하고 있는 기업이다.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4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6거래일 만에 소폭(0.14%) 하락하며 790선으로 밀려났다. 최근 지수의 연일 상승에 따른 피로감이 나타나며 코스피 지수 대비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 특히 외국인들이 코스피 시장에서 현·선물 순매수에 나선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1500억원어치를 쏟아내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기관들의 매도 규모도 400억원 대를 기록했다. 코스닥 업종별로는 제약바이오, 2차전지, 반도체주 등이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고 게임, 통신장비주 등은 하락했다.한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0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1% 가까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앞서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추가 관세서한 발송 예고에도 엔비디아의 장중 시가총액 4조원 달성 등의 영향으로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국내증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시장의 무게중심이 코스피 대형주들로 옮겨가면서 코스닥 지수 상승폭과 거래대금은 코스피에 미치지 못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코스닥 시총 1위인 알테오젠은 전일 대비 6.02% 뛰어오른 44만90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9일 코스닥 지수가 개인과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사흘째 상승하며 790선을 회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압박이 지속됐지만 투자자들이 관세 불확실성에 다소 둔감해진 반면 국내 정책 기대감에 적극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시장의 무게중심이 코스피 대형주들로 옮겨가면서 코스닥 지수 상승폭은 코스피에 미치지 못했고 거래대금도 이틀째 5조원 대에 머물렀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코스닥 시총 1위인 알테오젠은 전일 대비 1.07% 상승한 42만3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HL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7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소폭(0.3%) 상승했다. 지난 금요일(현지시간 4일) 미국증시가 독립기념일로 휴장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와 삼성전자의 2분기 잠정실적 발표 등 양대 빅 이슈 발표에 촉각을 세웠다. 다만 시장의 무게중심이 코스닥 제약바이오 상위주들로 쏠리면서 지수는 올랐지만 하락종목(992개)이 상승종목(627개) 대비 365종목이나 더 많았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코스닥 시총 1위인 알테오젠은 전일 대비 11.05% 치솟은 41만7000원에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4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2%대 급락하며 770선으로 밀려났다. 3일(현지시간) 미국증시에서는 6월 비농업부문 고용지표 호조 속에 S&P500과 나스닥 지수가 또다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다음 주로 예정된 미국의 관세협상 마감 시한에 대한 경계감이 한국증시를 강타했다. 특히 외국인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현물 순매수에 나선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3000억원 대를 쏟아내며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코스닥 업종별로는 제약바이오를 비롯해 2차전지, 반도체, 엔터테인먼트, 게임주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