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 로고

남양유업 (003920) 주가 및 종목 정보

남양유업 실시간 주가

남양유업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56,800 원
변동량 ▼ 100.00 원
변동률 -0.18%
거래량 5,556
거래대금 314,034,000 원

남양유업 일별 주가

남양유업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17/2025 60,000 60,000 57,800 58,000 9,148 533,120,900
8/18/2025 59,100 59,300 57,900 58,300 4,024 235,490,850
8/19/2025 58,400 58,900 57,200 58,900 4,488 260,401,500
8/20/2025 58,900 59,400 58,200 58,800 5,605 329,501,950
8/21/2025 58,300 59,300 58,300 58,500 3,829 224,654,750
8/24/2025 58,500 59,000 58,200 58,300 1,949 114,030,300
8/25/2025 58,500 58,500 55,500 56,600 9,409 537,858,850
8/26/2025 56,900 56,900 56,000 56,900 2,566 144,465,650
8/27/2025 56,700 57,000 56,000 56,900 2,198 124,013,900
8/28/2025 57,200 57,200 56,000 56,800 5,556 314,034,000

관련 테마

  • 저출산 : 유가공제품 및 카페믹스, 음료제품 등을 생산/판매하는 업체로 맛있는 우유 GT, 아인슈타인 GT 등 우유류, XO World Class 등의 분유류 등을 판매 중
  • 커피 : 유가공 제품, 커피 관련 음료 제품, 카페믹스 등을 생산 판매하는 기업
  • 낙농업 : 분유, 시유, 발효유, 치즈 등 유가공 제품 및 카페믹스, 음료 제품 등을 생산·판매하고 있음
  • 생수 : 생수 브랜드인 "천연수"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
  • 세종시 : 세종시 청사 근처에 대규모 공장 부지를 보유
  • 중국산아정책 : 중국 시장에서 분유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기업

남양유업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3,408억 393위 6,000,000 6.70% 음식료/식자재 식품 83,800 46,500

남양유업 기업 개요

남양유업은 1964년 설립된 기업으로 유가공제품, 카페믹스, 음료제품 생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건강한사람들, 금양흥업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유제품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분유 판매가 뒤를 잇고 있다. 국내 유아식 생산 기업 중 유일하게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증를 획득하였다.

최신 남양유업 관련 뉴스

말차 라테색 옷 위로 짙은 녹색 소품을 걸치고, 음료와 디저트에서도 ‘그린’을 찾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전 세계 Z세대를 중심으로 시작된 ‘말차 코어’(Matcha Core) 트렌드 속 풍경이다. 세계적으로 ‘말차 열풍’이 뜨겁다.31일 기준 인스타그램에서 ‘#말차’ 해시태그 게시물은 40만건, 영어 ‘#matcha’는 930만건을 넘어섰다. 블랙핑크 제니와 젠데이아 등 글로벌 셀럽들까지 이 초록빛 물결에 동참했다. 워싱턴포스트(WP)마저 “말차 라떼와 틱톡 덕분에 글로벌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논평할 만큼, 말차 열풍은 단순한 음료를 넘어 라이프스타일과 산업 전반에 걸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익숙한 맛의 변신” 식음료 업계 ‘초록빛’ 신메뉴 대전민트·카키 등 ‘그린’ 트렌드의 선두에는 말차가 있다. 찻잎을 우려 마시는 녹차와 달리, 곱게 간 찻잎을 물이나 우유에 타 마시는 말차는 진한 풍미와 색감으로 차별점을 둔다. 유명인을 따라 상품을 구매하는 ‘디토 소비’ 현상 속 급증하는 수요에 식음료 업계는 앞다퉈 말차 신제품을 쏟아내고 있다.이달 출시된 남양유업의 ‘말차에몽’은 두 차례 라이브커머스에서 전량 완판되며 말차 열풍을 입증했다. 롯데웰푸드는 아이스크림 월드콘, 설레임, 티코 및 빼빼로, 빈츠 등 인기 제과에도 말차 맛을 입혔다. 해태제과 ‘홈런볼 말차딸기’, 오리온 ‘초코파이 말차 쇼콜라’, 빙그레 ’쿠앤크 말차’ 등 익숙한 제품들도 줄줄이 말차로 변신했다.카페업계 반응은 더욱 뜨겁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올 상반기 ‘제주 말차 라떼’ 등 말차 음료 판매량이 전년 대비 30%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투썸플레이스 역시 지난달 선보인 말차 음료 3종이 2주 만에 50만잔 이상 팔리며 흥행에 성공, 케이크 ‘떠먹는 아박’의 변주판인 ‘떠먹는 말차 아박’을 내놓기도 했다. 뚜레쥬르, 폴바셋, 공차는 올여름 말차 빙수를 새로 선보였다.말차 전문 브랜드들도 눈길을 끈다. 아모레퍼시픽의 티 브랜드 오설록은 제주 티뮤지엄에 프리미엄 티 페어링 다이닝 공간 ‘말차 누들바’를 열었다. 메뉴 개발에는 미쉐린 스타 김도윤 셰프가 함께했다. 유기농 말차 브랜드 슈퍼말차는 최근 동남아 3개국과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섰다.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즉각 대응하는 편의점 업계도 그린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세븐일레븐은 ‘더기와 말차막걸리’, GS25는 스타 셰프 에드워드 리와 손잡고 ‘이균말차막걸리’를 선보이며 말차 열풍을 주류 시장까지 확산시켰다.마시는 것을 넘어 입고, 바르고…패션·뷰티·헬스케어까지 ‘그린’ 전방위 확장식음료뿐만이 아니다. 녹색의 패션 아이템과 네일아트 등 말차를 활용한 패션이 하나의 유행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생활문화기업 LF에 따르면, 올여름 패션계 전반에서 그린 계열 아이템을 중심으로 한 ‘말차 코어 룩’이 떠오르면서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0일까지 LF몰 내 ‘그린·카키·민트’ 키워드 검색량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5배 급증했다.대표적으로 프랑스 럭셔리 브랜드 이자벨마랑은 올 FW 시즌 카키 컬러 제품 물량을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했다. 슈즈 트렌드에서 역시 말차 코어의 강세가 두드러진다. 킨(KEEN) 샌들 ‘하이퍼포트 H2’의 민트 색상은 올 SS 시즌 판매율 70% 이상을 기록하며 최고 판매량을 달성했다. 이탈리아 슈즈 브랜드 프리미아타 역시 빈티지한 녹색 톤의 슈즈를 선보이는 등 패션계 전반에 말차 트렌드가 확장되고 있다.뷰티 업계에서도 말차·민트 등 ‘그린’ 색상의 인기는 뜨겁다. 메종마르지엘라의 ‘마차 메디테이션’, 르라보의 ‘떼마차 26’ 등 향수와 라운드어라운드의 ‘더퍼퓸 캔들 말차’와 같은 향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마몽드는 최근 ‘어메이징 딥 민트 라인’을 확장해 팩 클렌저와 클렌징밤을 출시, 제형 컬러가 변하는 재미도 더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동아제약의 ‘듀오버스터 민트볼’이 강력한 쿨링감을 자랑하며 작은 리프레시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이같은 말차 유행의 배경에는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웰빙 트렌드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소셜미디어에서 주로 건강식품으로 소개되는 말차는 항산화물질과 L-테아닌이 풍부하다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는 말차 시장이 2023년 43억 달러(약 6조원)에서 2030년 74억 달러(약 10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뜨거운 열풍 뒤 공급 불안…말차 트렌드의 숙제그러나 말차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은 점차 심화하고 있다. 말차는 일본과 중국 등 소수 국가에 생산지가 집중돼 있다. 차나무 묘목이 수확까지 최소 5년이 걸리는 데다, 만드는 과정이 복잡해 단기간에 생산량을 늘리기 어렵다. 특히 교토와 아이치 등 프리미엄 말차 산지로 꼽히는 일본 일부 지역은 이미 생산 한계에 부딪혔다.최근 전 세계적인 폭염과 농가 고령화도 일본 말차 생산의 발목을 잡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교토 지역의 덴차(말차 찻잎) 생산량 감소로 올해 수확량 평균 가격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올랐다고 보도했다. 안나 포인 글로벌 일본 차 협회 디렉터는 “올해 봄 수확이 품귀 현상 완화에 일정 부분 도움이 됐지만 연말까지 공급 부족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프리미엄 말차 시장을 둘러싼 브랜드들의 경쟁과 원료 공급 구조 변화가 맞물리며 말차는 트렌디한 소비를 넘어 산업 전반을 흔들고 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말차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고루 사랑받으며 최근 커피의 대체재로 떠올랐다”며 “건강 효능에 대한 신뢰와 특유의 떫은맛, 전통 등이 어우러져 글로벌 인기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다만 말차는 찻잎을 갈아서 그대로 섭취하기 때문에 일반 녹차보다 카페인 함량이 1.5~2배 많아 카페인 민감자나 임산부는 공복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조언도 나온다. 말차는 잎을 우려 마시는 잎차에 비해 잎 전체를 갈아서 먹어 카페인 섭취량이 녹차(25~50㎎)에 비해 높다. 말차 한 티스푼(2g 기준 60~70㎎)의 카페인 함량은 에스프레소 1샷 수준(80~120㎎)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다연 기자 ida@kmib.co.kr

올해 분만 예정자가 30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유업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가격이 비싸도 수입 분유를 선택하는 부모들이 늘어나면서 국내 분유 브랜드들의 경쟁력이 약화됐기 때문이다. 유업계는 국내를 벗어나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이마저도 규제 등으로 가로막혀 시장 진입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출생아 수 회복 추세…유업계 모처럼 희소식 30일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올해 분만 예정자는 3

남양유업이 한 병에 단백질 43g을 담은 초고단백 음료 ‘테이크핏 몬스터 고소한맛’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5월 출시된 ‘초코바나나맛’의 흥행에 따른 라인업 확장이다. 신제품은 100% 완전 단백질 음료로, 국산 보리 추출 농축액과 곡물 향을 담았다. 삶은 닭 가슴살 약 145g 또는 달걀 7.6개 분량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담아 하루 권장량의 약 78%를 충족할 수 있다. 필수 아미노산 9종(EAA)은 총 1만8천mg으로, 이 중 근육 대사에 핵심적인 BCAA 3종은 8,500mg을 차지한다. 활력 회복을 돕는 아르기닌도 1,770mg 함유해 국내 시판 단백질 음료 중에서도 높은 수준이다. ‘3저’(저당·저지방·저콜레스테롤) 설계가 적용됐다. 100mL당 당류 0.29g, 지방 0.29g, 콜레스테롤 2.86mg으로, 1병(350mL) 기준 186kcal다. 남양유업은 2022년 단백질 음료 브랜드 ‘테이크핏’을 론칭한 이후, 단백질 수요 확대에 맞춰 총 10종의 라인업을 선보였다. ▲국내 최대 함량 ‘테이크핏 몬스터’ 2종(단백질 43g) ▲운동 전후·식사 대용 ‘테이크핏 맥스’ 4종(단백질 24g) ▲수분+단백질 보충 ‘테이크핏 프로’ 2종(단백질 25g) ▲간편 파우치형 ‘테이크핏

남양유업이 한 병(350㎖)에 단백질 43g을 담은 초고단백 음료 '테이크핏 몬스터 고소한맛'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5월 출시된 '초코바나나맛'의 흥행에 이은 라인업 확장 제품다. 신제품은 100% 완전 단백질 음료로, 국산 보리 추출 농축액과 곡물 향을 담아 고소하면서도 텁텁하지 않은 깔끔한 뒷맛을 구현했다. 특히 같은 브랜드 내 '테이크핏 맥스' 시리즈에서 고소한 맛 제품이 높은 인기를 얻은 점에 착안해 초고단백

세계 곳곳에서 불고 있는 말차 열풍이 국내 식음료 시장까지 강타하고 있다. 음료, 디저트뿐만 아니라 막걸리까지 말차를 넣은 제품이 쏟아지고 있다.스타벅스 코리아는 올해 상반기 '제주 말차 라떼'와 '제주 말차 크림 프라푸치노' 판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현재 스타벅스에서 판매하는 말차 음료는 9종으로 녹차 음료가 한 종류뿐인 것과 대조적이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헬시플레저(Healthy

남양유업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952,794,199,365 -4.41% -9,807,235,105 86.45% 249,980,282 100.37%
2023.4Q 996,763,358,982 3.33% -72,354,443,617 16.65% -67,099,919,179 14.46%
2022.4Q 964,660,040,000 0.90% -86,806,770,000 -11.50% -78,442,350,000 -33.20%
2021.4Q 956,084,060,000 0.75% -77,853,700,000 -0.92% -58,891,080,000 -10.08%

순매수량

개인: 1,269

기관: -1,106

외인: -163

누적 순매수량

개인: 44,104

기관: -7,651

외인: -22,011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1,269 -1,106 -163
2025-08-28 542 -615 72
2025-08-27 575 -406 -65
2025-08-26 796 -1,660 667
2025-08-25 542 -317 -285
2025-08-22 -23 -9 32
2025-08-21 -1,795 1,293 502
2025-08-20 -562 10 991
2025-08-19 316 -379 307
2025-08-18 2,814 387 -3,347
2025-08-14 1,112 -8 -1,287
2025-08-13 304 -45 -259
2025-08-12 491 825 -1,314
2025-08-11 240 104 -337
2025-08-08 259 -54 -205
2025-08-07 528 -985 455
2025-08-06 -253 -76 328
2025-08-05 231 96 -252
2025-08-04 -1,446 317 1,128
2025-08-01 1,759 337 -2,109
2025-07-31 585 -1,884 1,299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8-29 8,284 -4,175 -3,842
2025-08-28 7,015 -3,069 -3,679
2025-08-27 6,473 -2,454 -3,751
2025-08-26 5,898 -2,048 -3,686
2025-08-25 5,102 -388 -4,353
2025-08-22 4,560 -71 -4,068
2025-08-21 4,583 -62 -4,100
2025-08-20 6,378 -1,355 -4,602
2025-08-19 6,940 -1,365 -5,593
2025-08-18 6,624 -986 -5,900
2025-08-14 3,810 -1,373 -2,553
2025-08-13 2,698 -1,365 -1,266
2025-08-12 2,394 -1,320 -1,007
2025-08-11 1,903 -2,145 307
2025-08-08 1,663 -2,249 644
2025-08-07 1,404 -2,195 849
2025-08-06 876 -1,210 394
2025-08-05 1,129 -1,134 66
2025-08-04 898 -1,230 318
2025-08-01 2,344 -1,547 -810
2025-07-31 585 -1,884 1,299

남양유업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702,553,978,719 13.84% 86.16%

남양유업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맛있는우유GT 외 51.1%
몸이가벼워지는시간17차 외 29.9%
임페리얼 XO 외 19%

남양유업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18 (1.93%)

최근 공매도 잔고: 6,347 (0.11%)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8-29 56,800 118 1.93%
2025-08-28 56,900 16 0.53%
2025-08-27 56,900 46 1.12%
2025-08-26 56,600 31 0.27%
2025-08-25 58,300 115 4.13%
2025-08-22 58,500 42 0.97%
2025-08-21 58,800 294 4.51%
2025-08-20 58,900 11 0.20%
2025-08-19 58,300 6 0.13%
2025-08-18 58,000 432 3.35%
2025-08-14 60,300 342 7.85%
2025-08-13 60,800 140 2.53%
2025-08-12 60,500 106 2.55%
2025-08-11 60,800 1,011 14.52%
2025-08-08 61,100 35 2.36%
2025-08-07 61,700 103 3.32%
2025-08-06 61,700 13 0.51%
2025-08-05 61,100 6 0.19%
2025-08-04 61,000 258 4.21%
2025-08-01 60,300 718 9.54%
2025-07-31 62,400 1,081 12.57%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8-27 56,900 6,347 0.11%
2025-08-26 56,600 6,017 0.10%
2025-08-25 58,300 5,970 0.10%
2025-08-22 58,500 5,936 0.10%
2025-08-21 58,800 5,953 0.10%
2025-08-20 58,900 5,946 0.10%
2025-08-19 58,300 6,042 0.10%
2025-08-18 58,000 6,283 0.10%
2025-08-14 60,300 6,026 0.10%
2025-08-13 60,800 5,895 0.10%
2025-08-12 60,500 5,730 0.10%
2025-08-11 60,800 5,570 0.09%
2025-08-08 61,100 5,537 0.09%
2025-08-07 61,700 5,540 0.09%
2025-08-06 61,700 5,607 0.09%
2025-08-05 61,100 5,816 0.10%
2025-08-04 61,000 5,767 0.10%
2025-08-01 60,300 6,074 0.10%
2025-07-31 62,400 5,402 0.09%
2025-07-30 62,300 3,787 0.06%
2025-07-29 62,100 3,787 0.06%

남양유업 업종 내 비교

식품 업종(41개) 연간 기준

항목 남양유업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3,414 8,659.66 15위
PER(최근4분기) 23.641 6.31 7위
PBR 0.739 1.21 19위
ROE(최근4분기) 0.038 4.11 34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0.176 2.31 31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029 4.98 36위
순이익률(최근연도) 0.026 3.23 33위
부채비율(최근연도) 14.626 111.92 40위
매출액(최근연도) 9,527.942 19,564.96 19위
영업이익(최근연도) -98.072 1,168.25 41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2.5 725.31 3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