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투자신탁은 NH투자증권에서 산출하는 iSelect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지수(Price Return)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이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할 계획입니다. ※ 그러나 상기의 투자목적이 반드시 달성된다는 보장은 없으며, 집합투자업자, 신탁업자, 판매회사 등 이 투자신탁과 관련된 어떠한 당사자도 투자원금의 보장 또는 투자목적의 달성을 보장하지 아니합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가 한국 로봇 산업과 협력하겠다고 하면서 31일 증시에서 로봇 관련주가 급등하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40분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는 현대오토에버가 17.91%(2만8900원) 오른 19만300원, 현대글로비스가 9.65%(1만6500원) 오른 18만7500원에 거래됐다. 현대차는 7.17%(1만9000원) 오른 28만4000원, 두산로보틱스는 4.36% 오른 7만4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로봇에 투자하는 ETF(상장지수펀드) RISE AI&로봇도 4.63%(535원) 오른 1만2095원을 나타낸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로봇주가 강세다. 한국피아이엠은 상한가인 3만4700원(29.96% 증가)에 거래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용 액추에이터(관절)를 만드는 뉴로메카 는 20.15%(5350원) 오른 3만1900원, 레인보우로보틱스는 8.10%(2만8500원) 오른 38만500원이다. 자율주행 차량이나 로봇의 '눈'을 만드는 에스오에스랩도 9.95%...
"코스피가 PBR(주가순자산비율) 기준으로 일본 증시만큼만 올라가도 4000포인트는 달성할 것이라고 봅니다. 조금 더 상승한다면 '코스피 5000'도 불가능한 숫자는 아닙니다." 임태혁 삼성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최근 머니투데이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임 본부장은 "지난해까지 미국 대표지수만을 코어(핵심) 자산으로 투자했다면, 올해는 국내 대표지수도 함께 투자해야 한다"고 했다. 삼성자산운용은 이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올해 'KODEX ETF는 국장(국내 주식시장) 맛집'이라는 내용의 마케...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4월 상장한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상장지수펀드)가 순자산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8일 밝혔다. 국내 상장된 휴머노이드 로봇 테마 ETF 최초로 순자산 1000억원을 넘어섰다. 상장 이후 누적 수익률은 38.7%, 개인 순매수 규모는 474억원이다. KODEX 미국휴머노이드로봇 ETF는 테슬라·엔비디아·팔란티어 등 AI(인공지능) 기술력과 자본력을 기반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를 선도하는 미국 테크 기업이 투자한다. 다른 휴머노이드 로봇 ETF 대비 주력 기업 비중을 상대적으로 높게 부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