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 2차 전지 핵심 소재 관련 사업을 영위 중이며 특히 핵심 소재인 음극재, 양극재 두 가지 모두를 생산하여 주목을 받는 기업
자원개발 : 마그네사이트와 흑연 등 북한 내 광물 자원에 대한 사전조사와 마스터 플랜 수립하는 등 북한 광물자원 개발 준비 중. 2007년 정부 주도하에 추진된 단천지역 자원개발 사업에 참여
2차전지-소재부품 : 2차 전지 핵심 소재 관련 사업을 영위 중이며 특히 핵심 소재인 음극재, 양극재 두 가지 모두를 생산하여 주목을 받는 기업
전고체배터리 : 전고체에 들어가는 인조흑연과 실리콘 복합제를 개발 중인 기업으로 삼성SDI, SK이노베이션에 배터리 재료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납품하고 있으며 LG화학에 2022년까지 약 2조원 규모의 양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함
리튬 : 포스코그룹이 아르헨티나 리튬 호수 보유 및 염수리튬 상용화 공장을 착공한 바 있음
포스코퓨처엠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186,342억
37위
88,946,220
9.40%
소재
화학
260,000
95,478
포스코퓨처엠 기업 개요
포스코퓨처엠은 1971년 설립된 기업으로 이차전지소재사업, 첨단화학소재사업, 산업기초소재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피엠씨텍, 피앤오케미칼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에너지 소재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라임화성, 내화물 부문 매출이 뒤를 잇고 있다. 포스코 그룹의 리튬, 니켈 등 원료, 이차전지소재연구센터 등 R&D 인프라, 글로벌 마케팅 네트워크를 연계해 이차전지소재 분야 사업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3.81% 하락한 4011.57에 장을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경제지표 불확실성 속 Fed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 셧다운 해제 속 차익매물 출회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마감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4061.91로 급락 출발했다. 장 초반 낙폭을 줄였고, 4092.7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으나 오전 내내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오후 들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키웠고, 장 막판 4011.4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4011.57에서 거래를 마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4일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대규모 순매도(투매) 속에 3.8% 폭락하며 4010선으로 주저앉았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종료에도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 후퇴, ▲다음 주부터 발표가 예상되는 미국의 고용·물가 등 경제지표 변수 우려, ▲AI(인공지능) 거품론 확대 등의 이슈 속에 3대 지수가 모두 급락했다는 소식 속에 한국증시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얼어붙었다. 특히 엔비디아 · 마이크론 등 미국 반도체주 급락, 일본 낸드플래시 기업 키옥시아 하
테슬라 주가가 급락한 여파에 14일 국내 이차전지주 주가도 장 초반 주저앉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13분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전장 대비 2.17% 내린 47만4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때 46만7천500원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LG화학(-1.67%), 삼성SDI(-3.74%), 포스코퓨처엠(-2.72%) 등 다른 이차전지주도 동반 약세를 나타내는 중이다. 코스닥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3.70%) 등이 내리고 있다.간밤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가 6.6% 급락했다. 중국 판매량 급감이 주가를 끌어내렸다. 이에 국내 증시에서도 이차전지주에 대한 매도세가 거센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져 금리 인하 기대가 크게 꺾인 영향도 있다.(사진=연합뉴스)
중국의 저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대항할 '한국형 저가 배터리' 양산이 임박했다. 미국 완성차 업체들이 망간을 활용한 국산 양극재 테스트를 마무리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리튬망간리치(LMR) 배터리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이다. LMR 배터리는 정부 지원과 배터리 업계가 의기투합해 10여년에 걸친 연구개발 끝에 나왔다. 삼원계인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내세웠다가 가격 경쟁력에서 밀린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