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콘덴서 로고

삼화콘덴서 (001820) 주가 및 종목 정보

삼화콘덴서 실시간 주가

삼화콘덴서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30,650 원
변동량 ▲ 2150.00 원
변동률 7.54%
거래량 123,070
거래대금 3,717,326,850 원

삼화콘덴서 일별 주가

삼화콘덴서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11/2025 31,950 32,450 31,550 32,450 41,692 1,340,597,925
11/12/2025 32,450 32,550 31,850 32,350 38,545 1,239,805,175
11/13/2025 31,700 31,800 30,600 30,650 88,742 2,761,666,675
11/16/2025 30,600 30,850 29,750 29,800 99,194 2,986,025,050
11/17/2025 29,650 29,750 28,700 28,850 72,253 2,101,257,825
11/18/2025 28,900 29,500 27,750 28,800 59,319 1,694,708,325
11/19/2025 29,600 30,000 29,400 29,700 45,723 1,359,262,700
11/20/2025 28,700 28,850 28,000 28,300 61,061 1,737,211,350
11/23/2025 28,450 28,800 28,050 28,500 42,150 1,197,793,950
11/24/2025 29,200 30,950 29,100 30,650 123,070 3,717,326,850

관련 테마

  • 지능형전력망 : 한국 전력공사 제주 실증 단지 구축 사업 컨소시엄에 참여한 바 있으며, 스마트그리드 관련 전력용 콘덴서를 개발
  • 전기차 : 현대차, 기아차의 전기차에 전력 변환 콘덴서 납품하고 있는 기업
  • 2차전지 : 리튬이차 전지의 주소재인 리튬티탄산화물(Li4Ti5O12: Lithium Titanate Oxide) 음극 활물질 재료 개발을 통해 2차 전지의 핵심 소재 산업에 진입할 계획
  • 핵융합 :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핵융합 관련 핵심 부품을 생산하고 있는 기업
  • 2차전지-소재부품 : 리튬이차 전지의 주소재인 리튬티탄산화물 음극 활물질 재료 개발을 통해 2차 전지의 핵심 소재 산업에 진입할 계획
  • 적층세라믹콘덴서 :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 관계사인 삼화 전기가 생산 중인 전해 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를 생산하는 기업
  • ESS :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전기차 및 신재생 에너지 인버터용 DC 링크 커패시터(전력 변환 콘덴서) 개발, LTO 복합 소재를 적용한 15C급 급속 충방전 ESS용 배터리 커패시터 개발하는 기업
  • 전고체배터리 : 국내 유일의 콘덴서 종합 메이커로서 관계사인 삼화전기가 생산중인 전해콘덴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콘덴서, 즉 전력용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 등을 생산함

삼화콘덴서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3,186억 398위 10,395,000 8.86% 건설/인프라 전기장비 36,700 21,500

삼화콘덴서 기업 개요

삼화콘덴서는 1956년 설립된 기업으로 콘덴서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전력용 콘덴서, 단층 세라믹 콘덴서, 적층형 콘덴서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국내 유일 콘덴서 종합 제조사이며 해외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매출의 60%이상이 수출에서 발생하고 있다.

최신 삼화콘덴서 관련 뉴스

서울 여의도 넥스트레이드 본사 모습. 연합뉴스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에서 거래할 수 있는 종목이 716개에서 650개로 다시 축소된다. 전체 거래량 한도 30%를 준수하기 위해 거래 가능 종목 66개를 추가로 제외하기로 한 것이다.18일 넥스트레이드는 이달 22일부터

■ 진행 : 정준혜 캐스터 ■ 한국경제TV 마켓인사이트 2부 (오후 12시~) 가을이 성큼 다가오면서 시원해진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미국 고용시장의 둔화와 함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미 증시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증시 역시 이러한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시장입니다. MLCC는 전자제품의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필수적인 부품으로,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AI 서버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됩니다. 최근 AI 서버와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산업의 확산으로 MLCC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시장에서 삼성전기의 움직임이 눈에 띕니다. 삼성전기는 세계 MLCC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AI 서버용 MLCC 시장에서 무라타와 함께 시장을 양분하고 있습니다. 삼성전기는 600층까지 적층할 수 있는 고용량 MLCC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AI 서버 신제품 출시와 함께 800기가 네트워크 침투율 증가로 MLCC 수급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핵심 포인트 [김종배 현대차증권 연구원] - MLCC 수요 증가로 인해 삼성전기, 삼화콘덴서 등 관련 종목 강세 - 관련 업종의 강점(S)은 오랜 양산 경험과 안정적인 공급망, 소재 부품의 다양한 응용처 대응력 - 약점(W)은 스마트폰, PC 등 수요처의 구조적인 성숙기와 대외 환경의 변동성 - 기회(O) 요인은 기술 경쟁력 기반 AI 수요 대응 능력과 차별화된 AI 고성능 기술 기반 판매가 상승 - 위험(T) 요인은 중국과 대만 업체 공급망 진입과 가격 경쟁력 우려, 높은 수치 의존도로 인한 환율 리스크 - AI, 전장 쪽은 여전히 MLCC 업황이 좋으며, AI 서버와 전기차에는 일반 서버, 내연기관 대비 MLCC가 더 많이 들어감 - LG이노텍과 삼성전기는 IT의 구조적인 성숙기로 인해 신사업을 준비 중이며, AI와 관련된 유리기판, 반도체 부품 등이 이에 해당됨 - IT 최선호주로는 삼성전기와 덕산네오룩스를 추천함. - 삼성전기는 MLCC 호황과 기판사업부의 성장세 지속 기대. 특히 반도체 패키징용 기판인 FCB 수요 증가 및 북미 업체들과의 공급 계약 확대 전망. 또한 로봇틱스와 전장 분야로의 사업 확장 계획. - 덕산네오룩스는 폴더블 OLED 패널 시장 개화로

삼화콘덴서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95,412,198,601 5.22% 17,842,307,493 -24.69% 22,039,010,684 5.32%
2023.4Q 280,768,545,013 6.57% 23,693,227,777 -22.36% 20,925,722,895 -28.67%
2022.4Q 263,469,140,000 0.50% 30,515,173,000 -8.00% 29,337,123,000 2.51%
2021.4Q 262,159,290,000 8.10% 33,168,937,000 22.41% 28,619,004,000 21.98%

순매수량

개인: -22,769

기관: -28

외인: 23,529

누적 순매수량

개인: 16,162

기관: -47,409

외인: 33,558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5 -22,769 -28 23,529
2025-11-24 -6,897 34 6,818
2025-11-21 1,046 11 -1,283
2025-11-20 -11,225 -24 8,249
2025-11-19 -10,638 -198 10,836
2025-11-18 -13,368 19 13,314
2025-11-17 9,461 -17,981 9,840
2025-11-14 16,002 22 -16,124
2025-11-13 1,801 -203 -1,498
2025-11-12 -5,607 -70 5,277
2025-11-11 -15,554 -2,993 18,547
2025-11-10 -12,583 -399 14,427
2025-11-07 -7,454 -147 11,414
2025-11-06 -20,255 -171 19,801
2025-11-05 36,081 271 -35,610
2025-11-04 13,299 54 -9,475
2025-11-03 -9,024 -211 3,235
2025-10-31 -19,620 7,524 13,196
2025-10-30 5,106 -550 -4,556
2025-10-29 -9,147 -496 9,643
2025-10-28 25,142 -4,430 -21,709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25 -56,203 -19,966 77,871
2025-11-24 -33,434 -19,938 54,342
2025-11-21 -26,537 -19,972 47,524
2025-11-20 -27,583 -19,983 48,807
2025-11-19 -16,358 -19,959 40,558
2025-11-18 -5,720 -19,761 29,722
2025-11-17 7,648 -19,780 16,408
2025-11-14 -1,813 -1,799 6,568
2025-11-13 -17,815 -1,821 22,692
2025-11-12 -19,616 -1,618 24,190
2025-11-11 -14,009 -1,548 18,913
2025-11-10 1,545 1,445 366
2025-11-07 14,128 1,844 -14,061
2025-11-06 21,582 1,991 -25,475
2025-11-05 41,837 2,162 -45,276
2025-11-04 5,756 1,891 -9,666
2025-11-03 -7,543 1,837 -191
2025-10-31 1,481 2,048 -3,426
2025-10-30 21,101 -5,476 -16,622
2025-10-29 15,995 -4,926 -12,066
2025-10-28 25,142 -4,430 -21,709

삼화콘덴서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333,365,172,953 17.69% 82.31%

삼화콘덴서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MLCC 47.8%
DC-LINK 14.5%
기 타 13.7%
F C 13.3%
DCC 9.2%
C I 1.5%

삼화콘덴서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4,666 (3.79%)

최근 공매도 잔고: 64,635 (0.6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25 30,650 4,666 3.79%
2025-11-24 28,500 3,548 8.42%
2025-11-21 28,300 2,108 3.45%
2025-11-20 29,700 1,687 3.69%
2025-11-19 28,800 2,748 4.63%
2025-11-18 28,850 4,672 6.47%
2025-11-17 29,800 3,611 3.64%
2025-11-14 30,650 5,393 6.08%
2025-11-13 32,350 3,573 9.27%
2025-11-12 32,450 2,116 5.08%
2025-11-11 31,850 5,196 6.56%
2025-11-10 31,700 3,700 5.95%
2025-11-07 31,100 3,329 3.19%
2025-11-06 32,100 3,517 4.20%
2025-11-05 32,200 14,759 8.12%
2025-11-04 33,650 4,529 3.59%
2025-11-03 34,500 8,426 4.10%
2025-10-31 33,800 14,338 8.23%
2025-10-30 32,650 5,502 5.03%
2025-10-29 33,700 6,163 3.04%
2025-10-28 33,400 16,177 9.89%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21 28,300 64,635 0.62%
2025-11-20 29,700 63,784 0.61%
2025-11-19 28,800 63,948 0.62%
2025-11-18 28,850 64,284 0.62%
2025-11-17 29,800 73,460 0.71%
2025-11-14 30,650 81,571 0.78%
2025-11-13 32,350 76,073 0.73%
2025-11-12 32,450 75,371 0.73%
2025-11-11 31,850 79,648 0.77%
2025-11-10 31,700 94,872 0.91%
2025-11-07 31,100 104,209 1.00%
2025-11-06 32,100 116,305 1.12%
2025-11-05 32,200 128,100 1.23%
2025-11-04 33,650 99,257 0.95%
2025-11-03 34,500 93,273 0.90%
2025-10-31 33,800 97,517 0.94%
2025-10-30 32,650 88,286 0.85%
2025-10-29 33,700 86,811 0.84%
2025-10-28 33,400 100,087 0.96%
2025-10-27 33,800 76,096 0.73%
2025-10-24 33,650 96,027 0.92%

삼화콘덴서 업종 내 비교

전기장비 업종(82개) 연간 기준

항목 삼화콘덴서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2,962.575 27,854.82 23위
PER(최근4분기) 19.44 56.83 25위
PBR 1.073 2.41 49위
ROE(최근4분기) 8.58 -2.34 28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754 1.63 15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6.04 -2.65 29위
순이익률(최근연도) 7.46 -2.66 2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2.762 93.56 61위
매출액(최근연도) 2,954.122 9,686.15 24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78.423 287.22 20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220.39 224.58 2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