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약품 로고

안국약품 (001540) 주가 및 종목 정보

안국약품 실시간 주가

안국약품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8,590 원
변동량 ▲ 40.00 원
변동률 0.47%
거래량 19,241
거래대금 164,568,605 원

안국약품 일별 주가

안국약품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6/30/2025 7,980 8,110 7,900 8,050 43,187 347,593,065
7/1/2025 8,050 8,120 7,890 8,000 26,375 210,001,440
7/2/2025 8,050 8,100 8,010 8,080 17,417 140,436,550
7/3/2025 8,080 8,160 7,950 8,000 17,154 137,516,550
7/6/2025 8,010 8,170 8,000 8,090 23,095 187,256,410
7/7/2025 8,140 8,140 8,040 8,110 16,215 130,961,165
7/8/2025 8,080 8,180 8,070 8,180 34,855 284,035,240
7/9/2025 8,200 8,320 8,170 8,300 41,781 345,230,525
7/10/2025 8,390 8,390 8,260 8,330 26,909 223,864,135
7/13/2025 8,330 8,560 8,290 8,550 60,028 507,198,645

관련 테마

  • 면역항암제 : 머스트바이오(주)와 이중항체 기술 및 면역항암제 후보물질(AG-B3001 (MST001))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진행한 바 있음
  • 미세먼지/황사 : 중소형 제약업체로 호흡기용제 클리오시럽, 시네츄라시럽 등을 생산
  • 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 약물 메틸프레드니솔론메드닌정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알려짐
  • 진통제 : 아세트아미토펜 성분의 진통제인 라페론 정을 제조하고 있음
  • 제약 : 호흡기용제, 소화기계, 소염진통제, 시력개선제, 순환기용제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제약업체

안국약품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1,115억 744위 13,042,420 5.53% 헬스케어 제약/건강기능식품 8,600 6,230

안국약품 기업 개요

안국약품은 1959년 설립된 기업으로 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안국바이오진단, 안국뉴팜, 메디페르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소화기계용제 및 순환기용제 등 약품 판매에서 발생하고 있다. 공식 브랜드 쇼핑몰 오픈을 통한 유통 채널 다변화, 치매 치료제 신약 연구·개발을 통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최신 안국약품 관련 뉴스

어진 안국약품 대표이사 부회장. ◆ 생애어진은 안국약품 대표이사 부회장이다. 박인철 부사장과 함께 각자대표로 안국약품을 이끌고 있다. 신약개발 역량 고도화에 힘쓰고 있다. 1964년 3월30일 어준선 전 명예회장의 2남3녀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서울 경성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노트르담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과정을 마쳤다.대신증권에서 직장생활을 시

대선을 앞두고 정책 수혜주로 꼽힌 금융주(株) 등에서 일제히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진 가운데 증권가(街)에선 선거 이후 실적과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금리인하기' 수혜를 볼 수 있는 배당주에 주목하라는 조언이 나온다. 특히 실적이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면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이 있는 기업에 관심을 둘 것을 주문했다.강송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미국과 달리 한국은 금리가 낮아지면 돈이 예금 등에서 다른 자산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배당주는 자금이 갈 수 있는 곳 중 하나"라고 말했다.증시에서 미 관세 리스크가 정점을 통과하긴 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배당주는 안정적인 피난처로 꼽혀왔다. 고배당 매력이 주가 하방을 지지해주면서 주가 변동성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근 대선을 앞두고 금융주와 지주사 주가가 일제히 강세를 나타냈다.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최근 '금리 인하' 전망까지 더해졌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29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25bp(1bp=0.01%

약사들의 반발에도 건강기능식품 판매처로 다이소를 활용하는 제약사가 늘고 있다. 제약업계는 다이소에 그치지 않고 건기식 유통채널을 편의점까지 확대하는 추세다.보령은 자회사 보령컨슈머헬스케어를 통해 반려동물 영양제 6종을 이달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반려동물 전문 브랜드 리베펫을 통해 관절, 눈, 구강 등 영양제를 팔 계획이다. 보령 관계자는 “원래 다이소에서 반려동물 간식을 판매하고 있었는데 영양제로도 판매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달 3일에는 안국약품이 종합비타민과 여성 영양제 등 건기식 3종 판매를 시작했다. 지난달 30일 동국제약도 레티놀 제품 판매를 개시했다. 국내 바이오기업 디엑스앤브이엑스도 지난달 25일 오브맘 브랜드 건기식 6종을 출시했다.다이소는 2월부터 제약사와 손잡고 건기식 판매를 시작했다. 일양약품과 대웅제약, 종근당건강이 포문을 열었지만 이에 반발한 대한약사회가 반대 성명을 내고 일부 약사는 불매운동에 나서기도 했다. 건기식 판매처를 뺏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일양약품은 입점을 철회했지만 대웅제약과 종근당건강은 판매를 지속하고 있다. 기능

다이소 판매로 이슈가 됐던 ‘건강기능식품 논란’이 2라운드로 접어들었다. 정부가 건기식 소비 활성화를 위해 중고거래 규제를 완화하고 맞춤형 건기식 제도를 도입하면서다. 대한약사회는 “국민 건강과 유통 질서를 훼손하는 정책”이라며 반발한다. 제약사와 유통업계는 매출 확대 기회로 삼아 온라인은 물론 편의점·생활용품점까지 매대를 넓히는 모양새다.14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최근 건기식 중고거래 시범사업을 올해 말까지 7개월 연장하며 거래 기준을 완화했다. 기존엔 소비기한 6개월 이상 제품만 거래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소비기한만 남아 있으면 모두 가능하다. 30만원 이내 금액 제한은 완전히 폐지됐다. 표기 역시 ‘건기식 인증 마크나 문구’만 있으면 된다. 실질적 문턱이 거의 사라졌다. 지난 3월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 시행규칙’에 따라 약사나 영양사와의 상담을 거쳐 개인 건강 상태에 맞게 소분·조합해 구매할 수 있는 맞춤형 건기식 제도도 본격 시행됐다.약사회는 잇따른 위반 사례를 근거로 시범사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지난 1월까지 9개월간 건기식 중고거래 위반 사례는 총 1만565건이었다. 당근마켓 7046건, 번개장터 3519건이었다. 위반 유형은 소비기한 임박, 개봉 제품, 표시사항 누락, 냉장 보관 제품의 상온 유통 등이다. 제약업계는 약사회의 반발을 의식하면서도 정부의 가이드라인 변경을 기회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소용량 및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소분 사업 확대, 약국 외 채널 진출 등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약국 중심이었던 판매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접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다이소는 지난 2월 말 종근당건강, 대웅제약, 일양약품 등 제품을 입점시켰지만 일부 약사들의 반발로 일양약품은 닷새 만에 철수했다. 그럼에도 제약사들의 진출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보령은 반려동물용 건기식 ‘리베펫 닥터 시리즈’를 다이소에 입점시켜 제약업계와 펫푸드 시장의 관심을 동시에 끌고 있다. 현재 다이소에 입점한 제약사는 종근당건강, 안국약품, 동국제약 등 총 5곳으로 확대됐다. 대부분 3000~5000원대로 소비자 접근성도 높다.편의점과 생활용품점도 유통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GS25는 하반기부터 전국 3000개 점포에 건기식 전용 매대를 설치해 30여 종의 유산균·비타민·이너뷰티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CU는 상반기까지 진열 강화 매장을 5000개로 확대하고, 하반기엔 제약사 협업 제품도 내놓는다. 현대백화점그룹의 현대바이오랜드는 서울 목동점에 ‘솔가’ ‘바이탈 프로틴’ 등 140여 종을 구성한 헬스케어 복합 매장 ‘네슬레 헬스사이언스 스토어’를 오픈했다.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약 6조440억원이고, 2030년에는 2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가격 접근성이 높아지며 수요는 늘겠지만, 식품·화장품 기업까지 뛰어들며 경쟁 과열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이다연 기자 ida@kmib.co.kr

정부가 건강기능식품 소비 활성화를 위해 중고거래 규제 완화와 맞춤형 건기식 제도 도입 등 정책을 손보면서 약사회와 제약사, 유통기업 간의 셈법이 엇갈리고 있다. 약사회는 “국민 건강과 유통 질서를 훼손하는 정책”이라며 반발 중이다. 반면 제약사 및 유통업계는 매출 확대 기회로 삼아 온라인은 물론 편의점·생활용품점까지 매대를 넓히는 모양새다.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건기식 중고거래 시범사업을 올해 말까지 7개월 연장하며 거래 기준을 완화했다. 기존엔 소비기한 6개월 이상 제품만 거래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소비기한만 남아 있으면 모두 가능하다. 30만원 이내 금액 제한은 완전히 폐지됐다. 표기 역시 ‘건기식 인증 마크나 문구’만 있으면 돼 실질적 문턱이 거의 사라졌다. 지난 3월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 시행규칙’에 따라 약사나 영양사와의 상담을 거쳐 개인 건강 상태에 맞게 소분·조합해 구매할 수 있는 맞춤형 건기식 제도도 본격 시행됐다.대한약사회는 잇따른 위반 사례를 근거로 시범사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올해 1월까지 9개월간 건기식 중고거래 위반 사례는 총 1만565건으로 당근마켓 7046건, 번개장터 3519건에 달했다. 위반 유형은 소비기한 임박, 개봉 제품, 표시사항 누락, 냉장 보관 제품의 상온 유통 등이다.제약업계는 약사회의 반발을 의식하면서도 정부의 가이드라인 변경을 기회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소용량 및 고부가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소분 사업 확대, 약국 외 채널 진출 등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약국 중심이었던 판매 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접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실제로 다이소는 지난 2월 말 종근당건강, 대웅제약, 일양약품 등 제품을 입점시켰지만 일부 약사들의 반발로 일양약품은 닷새 만에 철수했다. 그럼에도 제약사들의 진출은 이어지고 있다. 최근 보령은 반려동물용 건기식 ‘리베펫 닥터 시리즈’를 다이소에 입점시켜 제약업계와 펫푸드 시장의 관심을 동시에 끌고 있다. 현재 다이소에 입점한 제약사는 종근당건강, 대웅제약, 안국약품, DXVX, 동국제약 등 총 5곳으로 확대됐다. 대부분 3000~5000원대로 소비자 접근성도 높다.편의점과 생활용품점도 유통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GS25는 하반기부터 전국 3000개 점포에 건기식 전용 매대를 설치해 30여 종의 유산균·비타민·이너뷰티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CU는 상반기까지 진열 강화 매장을 5000개로 확대하고, 하반기엔 제약사 협업 제품도 내놓는다. 현대백화점그룹의 현대바이오랜드는 서울 목동점에 ‘솔가’ ‘바이탈 프로틴’ 등 140여 종을 구성한 헬스케어 복합 매장 ‘네슬레 헬스사이언스 스토어’를 오픈했다.건기식 수요는 코로나19 이후 ‘헬시플레저’ 트렌드와 맞물려 지속 증가하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기식 시장 규모는 약 6조440억원으로, 오는 2030년에는 2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는 “가격 접근성이 높아지며 수요는 늘겠지만, 식품·화장품 기업까지 뛰어들며 경쟁 과열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이다연 기자 ida@kmib.co.kr

안국약품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271,115,916,678 16.02% 6,701,374,793 32.40% 16,343,180,693 1537.13%
2023.4Q 233,675,500,767 13.77% 5,061,440,940 -47.69% 998,280,290 -85.49%
2022.4Q 205,388,536,295 25.59% 9,675,844,159 992.54% 6,879,328,322 83.76%
2021.4Q 163,533,830,268 14.07% -1,084,081,000 -1671.09% 3,743,653,656 369.65%

순매수량

개인: -8,785

기관: 55

외인: 7,726

누적 순매수량

개인: -243,152

기관: 740

외인: 228,057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4 -8,785 55 7,726
2025-07-11 -2,635 8 2,629
2025-07-10 -4,789 14 4,275
2025-07-09 -19,618 14 19,104
2025-07-08 1,165 10 -1,975
2025-07-07 -1,322 12 610
2025-07-04 3,525 24 -4,949
2025-07-03 -6,696 -332 7,028
2025-07-02 900 330 -3,730
2025-07-01 -16,358 51 15,036
2025-06-30 2,474 -83 -2,797
2025-06-27 -981 68 858
2025-06-26 1,289 15 -2,505
2025-06-25 -1,985 -72 2,048
2025-06-24 -5,641 78 5,063
2025-06-23 -351 -194 541
2025-06-20 -9,716 250 9,130
2025-06-19 2,237 - -2,358
2025-06-18 -1,072 2 3,903
2025-06-17 8,304 664 -8,968
2025-06-16 -534 1 529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7-14 -60,589 915 51,198
2025-07-11 -51,804 860 43,472
2025-07-10 -49,169 852 40,843
2025-07-09 -44,380 838 36,568
2025-07-08 -24,762 824 17,464
2025-07-07 -25,927 814 19,439
2025-07-04 -24,605 802 18,829
2025-07-03 -28,130 778 23,778
2025-07-02 -21,434 1,110 16,750
2025-07-01 -22,334 780 20,480
2025-06-30 -5,976 729 5,444
2025-06-27 -8,450 812 8,241
2025-06-26 -7,469 744 7,383
2025-06-25 -8,758 729 9,888
2025-06-24 -6,773 801 7,840
2025-06-23 -1,132 723 2,777
2025-06-20 -781 917 2,236
2025-06-19 8,935 667 -6,894
2025-06-18 6,698 667 -4,536
2025-06-17 7,770 665 -8,439
2025-06-16 -534 1 529

안국약품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304,480,711,028 46.86% 53.14%

안국약품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레보텐션 외 38.3%
시네츄라 외 25.1%
기타 21.1%
레토프라 외 11.7%
뉴라일라 외 3.8%

안국약품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641 (2.73%)

최근 공매도 잔고: 0 (0%)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7-14 8,550 1,641 2.73%
2025-07-11 8,330 147 0.55%
2025-07-10 8,300 1,600 3.83%
2025-07-09 8,180 181 0.52%
2025-07-08 8,110 742 4.58%
2025-07-07 8,090 824 3.57%
2025-07-04 8,000 300 1.75%
2025-07-03 8,080 1,077 6.18%
2025-07-02 8,000 171 0.65%
2025-07-01 8,050 130 0.30%
2025-06-30 7,980 983 3.01%
2025-06-27 7,750 1,156 3.19%
2025-06-26 7,830 824 1.41%
2025-06-25 7,990 709 1.53%
2025-06-24 7,910 2,059 3.34%
2025-06-23 8,010 3,500 7.73%
2025-06-20 7,950 1,748 4.33%
2025-06-19 7,900 1,001 3.66%
2025-06-18 7,940 1,777 5.22%
2025-06-17 8,020 2,792 4.58%
2025-06-16 8,000 4,877 12.29%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7-10 8,300 0 0.00%
2025-07-09 8,180 0 0.00%
2025-07-08 8,110 0 0.00%
2025-07-07 8,090 0 0.00%
2025-07-04 8,000 0 0.00%
2025-07-03 8,080 0 0.00%
2025-07-02 8,000 0 0.00%
2025-07-01 8,050 0 0.00%
2025-06-30 7,980 0 0.00%
2025-06-27 7,750 0 0.00%
2025-06-26 7,830 0 0.00%
2025-06-25 7,990 0 0.00%
2025-06-24 7,910 0 0.00%
2025-06-23 8,010 0 0.00%
2025-06-20 7,950 0 0.00%
2025-06-19 7,900 0 0.00%
2025-06-18 7,940 0 0.00%
2025-06-17 8,020 0 0.00%
2025-06-16 8,000 0 0.00%
2025-06-13 7,880 0 0.00%
2025-06-12 7,940 0 0.00%

안국약품 업종 내 비교

제약/건강기능식품 업종(141개) 연간 기준

항목 안국약품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1,086.434 13,595.59 93위
PER(최근4분기) 8.601 0.81 68위
PBR 0.582 6.54 122위
ROE(최근4분기) 10.603 -3.4 2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5.282 1.82 3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2.472 -7,838.77 70위
순이익률(최근연도) 6.028 -8,460.51 41위
부채비율(최근연도) 83.64 75.44 46위
매출액(최근연도) 2,711.159 3,597.29 38위
영업이익(최근연도) 67.014 254.03 61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63.432 155.42 35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