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피바이오(314140) 종목뉴스

제목 일시 요약
알피바이오 연질캡슐 '듀오메가 프로' 국내 특허 획득 2025-07-02T02:15:03.713987+00:00

알피바이오 ‘듀오메가 프로’. 사진 제공=알피바이오알피바이오(314140)는 국내 최초로 프로바이오틱스와 기능성 오일의 복합 제형 연질캡슐에 대한 국내 특허(상표명 듀오메가 프로)를 취득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 특허는 유산균과 고함량 식용 오일을 동시에 캡슐화하면서도

“하루 수십만 캡슐 생산”…마도공장서 본 연질캡슐 탄생기 2025-05-27T20:03:00+00:00

국내 제약사 생산공장이 여럿 위치한 경기 화성시 서쪽 마도면 마도 IC 인근. 서울에서 약 90분 차를 달리자 초록빛의 네모반...

최병대 알피바이오 상무 “연질캡슐 국내 점유율 60%, 이제 미국·일본 시장 뚫는다” 2025-05-27T20:00:00+00:00

국내 연질캡슐 시장 점유율 1위 알피바이오가 디지털 전환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유일의 글로벌...

알피바이오, 젤리스틱 매출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 2025-05-26T00:34:14+00:00

연질캡슐 특허기술 기반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위탁개발생산 전문기업 알피바이오(314140)는 젤리스틱 제형의 매출이 최근 3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알피바이오의 젤리스틱 제형 매출은 2022년 85억 원, 2023년 132억 원, 2024년 143억 원으로, 연평균 성장률 약 30%, 3년 누적 성장률은 약 68%를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젤리스틱이 건강기능식품 부문에서 차지하는 매출 비중은 2022년 10%, 2023년 15%, 2024년 20%로 확대됐다. 단일 제형 매출로는 연질캡슐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단순 보조 제형을 넘어, 미래 핵심 매출원으로의 전환 가능성을 입증한 셈이다. 알피바이오는 1983년 미국 RP Scherer 박사의 연질캡슐 원천 기술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계승한 기업으로, 40년 이상 축적된 피막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0년부터 젤리스틱 제형으로의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을 본격화했다. 알피바이오가 생산하는 젤리스틱 품목 수는 2020년 17개에서 2024년 49개로 증가하며, 브랜드 파트너사와 협업 범위도 확장했다. 알피바이오 측은 "기존의 정제, 캡슐 제형에서 벗어나 '맛', '편의

동국제약·알피바이오, '식품안전의 날' 기념행사 2025-05-14T05:36:38+00:00

동국제약·알피바이오, '식품안전의 날' 기념행사(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일반의약품·건강기능식품 위탁개발생산 기업 알피바이오[314140]는 14일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품질관리 시스템을 공개하고 투명한 품질경영 실천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알피바이오는 내부 품질 데이터를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생산체계 구축과 고객 신뢰 강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할 것이라고 전했다.알피바이오의 품질관리 시스템은 ▲ 1단계 원료 검사(성상, 중금속, 잔류 용매 등 주요 위해 요소 전수 확인) ▲ 2단계 제조 공정 검사(X-ray, 금속검출기, 자석봉 등 다중 감지 장비를 활용한 이물 혼입 방지) ▲ 3단계 완제품 검사(성분 함량, 붕해도, 외관 정밀 평가)를 기반으로 한다. 작년 원료 및 자재 연평균 불량률 1.13%, 완제품 연평균 불량률 0.07%를 기록했다. 동국제약[086450]의 뉴트리션 브랜드 '마이핏'은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지난 9일까지 이틀간 서울광장에서 진행된 식품안전홍보관에 참여해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동국제약 마

알피바이오, ‘식품안전의 날’ 맞아 ESG 기반 품질력 강화 선언 2025-05-14T04:04:00+00:00

알피바이오가 이달 14일 식품안전의 날을 맞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의 일환으로 품질관리 시스템을 공개하며 ...

알약 유통기한 1년 더 늘렸다…年6000t 폐약품 줄이는 제약사 2025-05-11T08:10:22+00:00

국내 제약업계에 ‘친환경 경영’ 바람이 불고 있다. 연간 6000t에 달하는 폐의약품을 줄이기 위해 의약품 유통기한 연장 기술을 개발하고, 포장 간소화에도 나섰다.알피바이오는 11일 통상 1~2년인 유통기한을 3년 이상으로 늘린 연질캡슐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질캡슐은 액체 상태 약물을 피막(젤라틴)으로 감싼 제형이다. 알피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약액 및 피막 특허 기술로 만든 연질캡슐을 감기약, 진통제 등 의약품과 오메가3, 루테인 등 건강기능식품에 적용할 계획이다. 업계에선 의약품 유통기한이 늘어나면 폐의약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환경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매년 나오는 폐의약품 6000t 가운데 규정대로 수거되는 물량은 10% 안팎인 것으로 알려졌다. 폐의약품은 약국, 보건소 등에 비치된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하지만 대다수가 일반 쓰레기통이나 하수구에 버리기 때문이다. 이렇게 폐의약품을 무단으로 버리면 토양, 지하수, 하천을 오염시킬 수 있다.휴온스 등 제약사들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올바른 폐의약품 배출 방법을 알리고 폐의약품 수거율 높이기에 나선 이유다. 휴

'K건기식' 1조3000억 수출 비결은?…'국제인증' 획득한 ODM 2025-04-15T01:19:29+00:00

지난해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수출을 사상 최대치로 이끈 숨은 주역으로 건기식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건기식 국제표준 인증을 사전에 획득해 인증 기준이 제각각인 해외 시장에 발 빠르게 진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기 때문이다.15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건기식 등 미분류 조제식품 수출액은 9억147만달러(약 1조3259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건기식 수출액

알피바이오, 건기식 '영라뉴 파비플로라' 누적생산량 1000만개 돌파 2025-03-30T23:47:19+00:00

알피바이오의 국내 최초 생강 뿌리 장용성 연질캡슐 체중 관리 기능성 건강기능식품 '영라뉴 장용성 파비플로라 PRO'가 출시 3개월 만에 누적 생산량 1000만 개를 넘어섰다. 31일 알피바이오에 따르면 연예인 장영란이 롯데홈쇼핑을 통해 공식 출시한 '영라뉴 장용성 파비플로라 PRO'의 생산 수량은 올해 3월부터 4월까지 약 870만 캡슐의 추가 공급 계약을 체결해 누적 생산량이 약 1465만 캡슐에 달했다. 누적 생산량이 급속히

[0329주요일정] 알피바이오, 엣지파운드리 보호예수 해제 예정 등 2025-03-28T21:00:00+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3월29일 주요일정■ 알피바이오 보호예수 해제 - 알피바이오 주식 4,183,480주(48.27%)가 보호예수에서 해제된다.■ 엣지파운드리 보호예수 해제 - 엣지파운드리 주식 7,181,088주(11.28%)가 보호예수에서 해제된다.■ 폴라리스AI 보호예수 해제 - 폴라리스AI 주식 18,821,343주(26.01%)가 보호예수에서 해제된다.■ 휴먼테크놀로지 보호예수 해제 - 휴먼테크놀로지 주식 5,127,389주(23.83%)가 보호예수에서 해제된다. ▶3월30일 주요일정■ 유럽 서머타임 시행 - 유

알피바이오, '코엔자임 Q10' 동아시아 매출 300억원 자신 2025-03-24T07:37:18+00:00

알피바이오(대표 윤재훈, 박재경)는 코엔자임 Q10(코큐텐)을 동아시아 웰니스 시장 확장세의 수혜 품목으로 지정하고, 매출 3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해외 판로를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알피바이오 측은 “동아시아 중심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코큐텐과 같은 자연 유래 성분의 노화 방지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알피바이오는 건강기능식품 사업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K-건기식의 해외 수출을 꼽으며, 지난 2010년 미국 FDA 시설 등록을 완료한

코스닥 상승세…,금융·화학·IT서비스 부각 2025-03-18T00:14:49+00:00

● 핵심 포인트 - 코스닥 시장 전반적으로 강한 상승세, 일반 서비스, 금융, 화학, IT서비스, 의료정밀기기 강함. - 상승률 상위 업종 중 일반 서비스 1.47% 상승, 온코닉테라퓨틱스 20%대 급등. - 알테오젠 아스트라제네카 자회사와 계약 체결로 2.84% 상승. - 금융업종에선 에코프로 1.33% 상승, LB인베스트먼트 1.23%, 우리기술투자 0.48% 상승. - 반면 비금속, 섬유의류, 음식료 담배는 하락세. - 시가총액 사이즈별 대형주 중 카페24 5.6%, 디앤디파마텍 4.11%, 티앤엘 3.54% 상승. - 중형주 중 소룩스 10% 이상 상승, 탑머티리얼 5.88%, 엑스게이트 양자 관련주 6.28% 상승. - 소형주 중 알피바이오 20%, 이오플로우 16%, 케이씨에스 13% 상승. - 알티캐스트 하한가, JYP Ent. 6%이상 하락,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 동반 강세 각각 1.8%, 1.5% 상승. ● 코스닥 상승세, 일반 서비스 및 제약 강세 18일 오후 코스닥 시장은 전반적으로 강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일반 서비스, 금융, 화학, IT서비스, 의료정밀기기 등 업종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다. 상승률 상위 업종 중에서는

“아버지 죽음은 필연적 참사”···인우종합건설 추락사’ 항소심 첫 공판 2025-03-13T05:35:00+00:00

서울 마포구 건설현장의 안전 난간 없는 이동식 비계 위에서 작업하다 추락해 사망한 문유식씨의 딸 혜연씨가 지난해 12월26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법 앞에서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문혜연씨 제공 서울 마포구 건설공사 현장에서 추락해 숨진 고 문유식씨(사망 당시 72세)의 유족이 “아버지의 죽음은 필연적 참사였다”며 사측인 인우종합건설과 현장소장을 엄벌에···

K-건기식, '개별인정형 원료' 바탕 글로벌 무대 도전 2025-03-11T00:31:09+00:00

국내 건강기능식품(건기식) 기업들이 개별인정형 원료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도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웰니스 트렌드가 확산하며 국내 건기식 제품의 해외 수출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관세청의 집계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건기식 수출액은 2020년 5억8101만 달러(약 8477억원)에서 2021년 7억2270만 달러(약 1조544억원), 2022년 7억3043만 달러(약 1조657억원), 2023년 8억472

알피바이오 유한양행 마그비이엑스 출시 한 달 만에 650만개 돌파전년대비 37 2025-03-10T02:06:12+00:00

일반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위탁개발생산기업인 알피바이오(314140)는 유한양행의 '마그비이엑스 연질캡슐'이 공식 출시 한 달 만에 초도 물량 650만 개를 돌파하며 추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알피바이오가 단독 생산하는 '마그비이엑스'는 국내 최초로 4종 마그네슘(산화마그네슘, 아스파르트산마그네슘, 글리세로인산마그네슘, 시트르산마그네슘)을 함유한 연질캡슐 제형으로, 국내 마그네슘 영양제 브랜드 1위인 마그비 시리즈의 프리미엄 제품이다. 이번 유한양행과의 추가 공급 계약을 통해 알피바이오는 마그비, 마그비맥스, 마그비이엑스 등 공급망을 다변화하며 매출 안정성을 극대화했다. 알피바이오가 공급하는 유한양행의 마그비 라인업은 지난해 연간 생산량 약 4,500만 캡슐 대비 올해 연간 예상 생산량 약 6,100만 캡슐로 증가하며, 전체 생산 증가율은 37%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9년부터 알피바이오가 생산한 마그비 라인업의 연간 생산량 중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2023년에는 7,100만 캡슐로 전년 대비 약 51% 성장한 사례가 있어, 올해도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성과를 달성할 것이라는 기대감

한화엔진 등 43개사 2억7천309만주 다음달 의무보유등록 해제 2025-02-28T00:53:24+00:00

한화엔진 등 43개사 2억7천309만주, 다음달 의무보유등록 해제(서울=연합뉴스) 김태균 기자 = 한국예탁결제원은 한화엔진과 지더블유바이텍 등 43개 상장사의 주식 2억7천309만주가 다음 달 의무 보유등록이 해제된다고 28일 밝혔다.의무보유등록은 일반 투자자 보호를 위해 최대 주주가 지분을 일정 기간 처분하지 못하도록 예탁결제원에 등록하는 제도다.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는 선박 엔진 기업 한화엔진[082740]과 환경기술 업체 KC코트렐[119650] 등 2개사의 2천463만주가 의무보유등록이 해제된다.한화엔진은 1천190만주(총발행 주식의 14.26%), KC코트렐은 1천273만주(19.83%)가 풀린다.코스닥 시장에서는 과학기자재 유통사인 지더블유바이텍[036180]과 기계 부품 업체 삼현[437730] 등 41개사의 2억4천846만주가 의무보유등록이 해제된다.해제 주식수가 가장 많은 곳은 지더블유바이텍(2천891만주)이며 차이나크리스탈신소재홀딩스(2천546만주), 삼현(2천420만주) 등이 뒤를 이었다.총발행 주식 수 중 해제 주식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삼현(76.33%), 자람테크놀로지[389020](57.59%), 알피바이오[314140](48.27%) 순으로 나타났

한화엔진 등 43개사 2.7억주 3월 의무보유등록 해제 2025-02-28T00:40:42+00:00

한국예탁결제원은 오는 3월 한화엔진, KC코트렐 등 43개사의 주식 2억7309만주의 의무보유등록이 해제된다고 28일 밝혔다.의무보유등록은 일반투자자 보호를 위해 최대주주 등이 소유한 주식을 일정 기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처분이 제한되도록 전자등록하는 것이다.3월 유가증권시장에서는 한화엔진(082740)(1190만3148주), KC코트렐(119650)(127...

알피바이오태극제약 디펜히드라민 수면유도제 사업 계약 체결 2025-02-17T01:23:41+00:00

대웅제약과 미국 알피쉐러의 합작회사인 알피바이오(314140)는 17년간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점 제조하고 있는 수면유도제 '디펜히드라민' 품목에 대해 태극제약과 신규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발표했다.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은 1940년대에 미국에서 최초로 개발된 항히스타민제로, 수면 유도제로도 널리 사용된다. 알피바이오는 1983년부터 쌓아온 연질캡슐 생산 노하우를 바탕으로 2008년에 미국 오리지널 제품을 국내 최초 개발에 성공하여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제조하고 있다. 이번 태극제약 수면유도제는 일반의약품 수면유도제로 잘 알려진 '독시라민'보다 반감기가 짧아 낮 시간 동안 멍하거나 졸리는 등의 부작용 우려가 적다. 국내 일반의약품 수면유도제 시장에서 디펜히드라민 성분은 2023년에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CRO 기업 아이큐비아(IQVIA)의 데이터에 따르면, 일반의약품 내용고형제 수면유도제 매출에서 독시라민은 2022년도 대비 2023년도에 -1.6%의 성장률을 기록한 반면, 디펜히드라민은 3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42%를 차지했다. 특히 이번 수면유도제는 알피바이오의 고유 네오솔

[0217개장체크] 트럼프, 4월 2일 자동차 관세 부과 시사… 시장 불확실성 지속 2025-02-16T23:16:35+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인포스탁데일리가 매일 아침 전 세계 투자 정보를 담은 ‘읽어주는 뉴스’를 배달해드립니다. 미국증시 마감과 시장 이슈, 주목할만한 인사이트가 담긴 주요 외신, 국내 시장 종목들의 시세를 움직일 뉴스 등을 엄선했습니다. 증시 개장 전 빠르게 변하는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코너입니다.■ 국내증시코스피 지수는 0.31% 상승한 2591.05에 마감했다.수급별로는 기관이 3660억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3205억, 660억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

[기업탐험]②배문형 대표, 적자 늪에 빠진 대원헬스케어 건질까? 2025-02-10T00:32:30+00:00

[인포스탁데일리=안호현 기자] 대원제약(대표이사 백승열, BAEK JONATHAN IN)의 자회사 대원헬스케어가 자본잠식 구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적자가 누적된 탓에 열위한 재무지표가 거듭되고 있다. 증자 등을 통해 위기를 타개하려고 하지만 사업에서의 부진이라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없지 않고서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새 대표를 선임한 대원헬스케어가 구조적 변화를 이룰지 관심이 모아진다.대원헬스케어는 지난 1월 6일 신임 최고경영책임자(CEO)로 배문형 대표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배 신임 대표는 20여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