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플러스(310200) 종목뉴스
제목 | 일시 | 요약 |
---|---|---|
역대급 흥행 '귀멸의 칼날'...애니플러스 주가는 왜이래? | 2025-08-26T20:00:00+00:00 | 일본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하 귀멸의 칼날) 극장판이 올해 최고의 성적으로 흥행을 이어가면서 수입유통사 애니플러스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주가는 이익실현에 따른 매도세가 이어지면서 상승세가 꺾인 모습이지만 증권업계는 흥행 장기화에 따른 지식재산권(IP) 활용으로 수익모델이 늘어날 수 있다고 예측한다. ━일본 애니 최다 관객수 동원하나...기대감↑━ 26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귀멸의 칼날의 누적 관객 수는 186만4699명이다. 지난 22일 개봉 첫날 50만명 이상... |
오늘의 메모[8월 27일] | 2025-08-26T01:52:08.778714+00:00 | <코스닥>▲보통주추가상장=나이벡(138610)·애니플러스(310200)·재영솔루텍(049630)·심텍(국내CB) 프로티나(468530)·우듬지팜(403490)(주식매수선택권행사) ▲상호변경=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파라택시스코리아 ▲주권변경상장=드림시큐리티( |
애니플러스, ‘귀멸의 칼날’ 흥행 업고 2%대 강세 | 2025-08-25T01:02:47+00:00 | 방송 프로그램 제작 기업 애니플러스가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흥행에 힘입어 강세다. 25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애니플러스는 전일대비 2.96%(160원) 상승한 5550원에.. |
'흥행 돌풍' 日 애니, 수혜주 있다...코스닥서 '급등' | 2025-08-25T00:35:23+00:00 |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이 극장가에서 크게 흥행하자 코스닥 상장사 애니플러스가 25일 장 초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8분 현재 애니플러스는 전 거래일 대비 6.86% 상승한 5천760원에 거래 중이다. TV채널 운영사인 애니플러스는 일본 애니메이션을 수입해 자사 채널에서 방영하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비롯해 국내외 플랫폼으로 유통하며 굿즈 상품(MD) 판매 및 이벤트 사업도 벌인다.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극장판 귀멀의 칼날: 무한성편'이 극장가에서 흥행 돌풍을 일으키자 주가가 치솟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 영화는 개봉일인 지난 22일 54만3천900여 명, 23일 60만6천300여 명이 관람해 이틀 만에 누적 관객 수 115만 명을 넘겼다. 올해 100만 관객을 넘긴 영화 가운데 가장 빠른 수준이다. 장지혜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애니플러스는 2025년 주요 IP(지식재산권) '진격의 거인'과 '귀멸의 칼날' 극장판 애니메이션 개봉에 따른 콘텐츠 수익 증가와 MD 등 부가 수익 확대로 실적 레벨 업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애니플러스에 대한 기업 분석을 개시하면서 투자 의견 '매 |
[특징주] 아이비젼웍스, 코스닥 거래량 1위 | 2025-08-21T06:49:00+00:00 | 코스닥 거래량 상위 종목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21일 15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아이비젼웍스가 6141만 5051주 이상 거래되며 코스닥 종목 중 실시간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주가는 1399원으로, 거래대금 94억 315만원은 시가총액의 약 19.85%에 달한다. per -10.36, roe -17.05로 재무 지표는 다소 부진하지만, 높은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스트아시아홀딩스는 현재.. |
[특징주] 애니플러스, 올해 ‘진격의 거인’ㆍ‘귀멸의 칼날’ 극장판 개봉 기대감에 상승세 | 2025-08-21T00:42:00+00:00 | 애니플러스가 ‘진격의 거인’, ‘귀멸의 칼날’ 극장판 애니메이션 개봉 등 기대감에 상승세다. 21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애니플... |
[특징주]애니플러스, 日서 1800만 관객 '귀멸의 칼날' 국내 예매율 84% 돌파↑ | 2025-08-21T00:37:57+00:00 | 애니플러스가 강세다. 국내 개봉을 앞둔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예매율이 1위를 기록하고 있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오전 9시35분 기준 애니플러스는 전일 대비 10.61% 상승한 61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일본 영화 오프닝 스코어 역대 1위를 기록한 영화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이 오는 22일 국내 개봉된다.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의 예매율은 전날 오후 7시 기 |
DS투자 "애니플러스 실적 레벨업 가능, '귀멸의 칼날' 극장판 개봉 기대감" | 2025-08-21T00:37:53+00:00 | [비즈니스포스트] 일본 애니메이션 IP(지적재산권) 전문 애니플러스는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개봉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
'진격거'·'귀칼' 개봉 기대감…애니플러스 목표가 7500원 -DS | 2025-08-20T23:24:33+00:00 | DS증권이 21일 애니플러스에 대한 신규 투자의견 '매수', 목표가 7500원을 제시했다. 주요 수입작이 개봉을 앞뒀고 주주환원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장지혜 DS증권 연구원은 "올해 주요 지적재산(IP) '진격의 거인'과 '귀멸의 칼날' 극장판 애니메이션 개봉에 따른 콘텐츠 수익 증가와 MD 등 부가수익 확대로 실적 레벨업이 기대된다"며 "올해 실적은 연결 기준 매출 1580억원(전년동기 대비 21% 증가), 영업이익 290억원(15% 증가)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투자 포인트는 △... |
[클릭 e종목]"애니플러스,'귀멸의 칼날' 극장판 개봉 기대감" | 2025-08-20T22:42:32+00:00 | DS투자증권은 21일 애니플러스에 대해 '귀멸의 칼날' 극장판 개봉을 앞두고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애니플러스는 일본 애니메이션 IP를 수입해 자사 TV채널과 OTT를 비롯해 국내외 플랫폼으로 유통하고 MD와 이벤트 사업까지 운영하는 OSMU(One Source Multi Use) 기업이다. 주요 작품인 과 극장판 개봉을 앞두고 콘텐츠 수익 증가와 MD 등 부가 수익 확대가 예상된다. 장 |
기업 공시[8월 12일] | 2025-08-12T07:44:49.578709+00:00 | <코스피 공시>▲LS(006260)=1712억 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그린케미칼(083420)=대산공장 생산시설 및 저장시설 증설에 300억 원 증설에 300억 원 투자 결정 ▲쏘카(403550)=올해 2분기 매출 987억 원(전년 동기 대비 –3.0%), 영업이 |
[0731주요일정] 美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 등 | 2025-07-30T21:00:00+00:00 |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美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한 - 미국의 무역 상대국별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현지시간으로 7월31일 종료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4월2일 무역 상대국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바 있으며, 4월9일(현지시간) 90일 유예를 결정했다. 이어 7월4일부터 각국에 상호 관세율을 서한으로 일방 통보하겠다고 밝혔으며, 해당 관세율은 8월1일(현지시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美 애플 실적발표 - 현지시간으로 31일(한국시간 8월1일 오전 6시) 애플(Apple)이 2025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
애니플러스, 기다린 자에게 복이…CB 투자자 수익률 '50%' | 2025-07-15T21:51:00+00:00 | 애니플러스 4회차 전환사채(CB) 투자자들이 50% 넘는 수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의 흥행 기대감 등으로 주가가 2달여 만에 60% 넘게 상승한 덕분이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애니플러스는 이달 14일 75억원 규모의 4회차 CB가 주식으로 전환된다고 공시했다. 전환가액은 3636원으로 총 발행 주식은 전체주식의 4.21%에 해당하는 206만2706주다. 4회차 CB의 상장 예정일은 |
NH투자증권 "애니플러스, '귀멸의 칼날' 극장판 흥행 기대…벨류에이션 매력 높아" | 2025-07-13T22:45:00+00:00 | NH투자증권은 14일 애니플러스에 대해 '귀멸의 칼날' 극장 흥행과 다양한 모델을 통해 전사적인 시너지가 발전할 전망이라며,... |
[0711마감체크] 코스피, 3200 돌파 후 차익매물에 하락... 코스닥은 상승 | 2025-07-11T08:19:51+00:00 |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23% 하락한 3175.77에 마감했다.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도 낙관론 지속, 엔비디아 훈풍 지속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3186.35로 강보합 출발했다. 장초반 상승폭을 키워 3216.6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축소하다 약보합세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였다. 오전 중 반등에 성공하기도 했지만, 이내 하락세로 돌아섰고 3171선으로 밀려나는 모습을 보였다. 오후 들어 낙폭을 만회해 |
[0710마감체크] 코스피, 연고점 재경신하며 3200선 눈 앞 | 2025-07-10T08:24:32+00:00 |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1.58% 상승한 3183.23에 마감했다.밤사이 뉴욕증시가 엔비디아 장중 한때 시총 4조달러 돌파 속 기술주 강세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144.14로 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상승폭을 축소해 3133.81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상승폭을 확대하며 오전 중 3170선을 넘어서는 모습을 보였다. 오후 들어 3160선 아래로 상승폭이 둔화되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장마감까지 고점을 높인 지수는 결국 |
[0709마감체크] 코스피, 자사주 의무 소각 기대감... 3년 10개월 만에 최고치 | 2025-07-09T08:23:31+00:00 |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0.60% 상승한 3133.74에 마감했다.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발언 소화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123.22로 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상승폭을 축소해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3111.02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했다. 이내 반등에 성공한 지수는 오전 중 3132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지만, 상승폭을 반납하며 정오 무렵 3120선 부근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다. 오후 들어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31 |
[0708마감체크] 국내증시, 관세 서한·삼성전자 어닝쇼크에도 상승 | 2025-07-08T08:20:12+00:00 |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1.81% 상승한 3114.95에 마감했다.밤사이 뉴욕증시가 트럼프 관세 서한 발송 속 관세 불확실성 재부각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미국-EU 간 협상 기대감 속 대부분 상승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071.74로 상승 출발했다. 장초반 3066.03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상승폭을 키워 오전 한때 3108선 위로 올라서기도 했다. 이후 일부 상승폭을 반납해 3080선 아래로 밀려나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재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장후반 3115 |
[0707마감체크] 이재명 정부 30.5조원 추경 확정… 소비쿠폰·지역화폐 관련주 동반 강세 | 2025-07-07T08:12:25+00:00 |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독립기념일(Independence Day)로 휴장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무역 협상 불확실성 속 일제히 하락했다.美 관세 유예 종료를 앞두고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눈치 보기 장세를 보이다 코스피지수는 소폭 상승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0.17% 상승한 3059.47에 장을 마감했다.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시간으로 8일 새벽 1시부터 무역 상대국들에 상호관세의 세율이 적힌 서한을 순차적으로 보내겠다고 밝힌 가운데, 경계 심리가 이어지는 모습이다. 다만, 관세 발효 시점 |
[0704마감체크] 국내증시, 트럼프 관세 서한 발송 우려에 하락 | 2025-07-04T08:10:05+00:00 | [인포스탁데일리=윤서연 기자]▶마감체크■ 코스피 지수코스피 지수는 1.99% 하락한 3054.28에 마감했다.지난밤 뉴욕증시가 고용지표 호조 속 경기둔화 우려 완화 등에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다.이날 코스피지수는 3122.28로 강보합 출발했다. 장 초반 3123.8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 오전중 3060선까지 하락했다. 오후 들어 3079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재차 낙폭을 키웠고, 장 막판 3052.91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결국 3054.28에서 거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