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028300) 종목뉴스
| 제목 | 일시 | 요약 |
|---|---|---|
| 남경숙 HLB 상무 “리보세라닙 내년 美 FDA 승인 기대” | 2025-11-26T04:46:00+00:00 | HLB가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2026년으로 예상하며 글로벌 상업화에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 |
| HLB그룹 제1회 피치데이 마쳐, 유망 바이오기업 협력 본격화 | 2025-11-26T01:25:02+00:00 | 25일 서울 반포 한강변 복합문화공간 '더리버'에서 열린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 'HLB NEW WAVE'의 '2025 제1회 피치데이(2025 1st Pitch Day)'에서 진양곤 HLB그룹 회장(첫 줄 가운데)과 기존 협력 기업 및 이번에 새로 선정된 기업 대표들, HLB그룹 주요 임직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첫 줄 왼쪽부터 양기혁 상트네어바이오사이언스 대표이사, 고준수 아론티어 대표이사, 함정엽 네오켄바이오 대표이사, 진양곤 회장, 이준영 셀렉신 대표이사, 한성구 앱파인더 테라퓨틱스 대표이사, 김철 프로지니어 대표이사. [비즈니스포스트] HLB그룹이 첫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프로젝트 'HLB 뉴 웨이브'를 통해 발굴한 기업들의 기술과 사업 모델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HLB그룹은 25일 서울 반포 한강변 복합문화공간 '더리버'에서 '2025 제1회 피치데이(2025 1st Pitch Day)'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HLB그룹의 오픈이노베이션 성과와 전략을 공유하는 동시에, 기존 협력 기업들의 기술과 협력 사례 및 새롭게 선정된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소개하는 자리로 기획됐다.진양곤 HLB그룹 회장은 기념사에서 "HLB 뉴 웨이브는 연결과 실행, 변화를 통해 함께 길을 만들고 |
| HLB그룹, 제1회 피치데이 성료…유망 바이오 협력 본격화 | 2025-11-26T01:00:00+00:00 | [이 기사에 나온 스타트업에 대한 보다 다양한 기업정보는 유니콘팩토리 빅데이터 플랫폼 '데이터랩'에서 볼 수 있습니다.] HLB그룹은 첫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 'HLB 뉴 웨이브'(HLB NEW WAVE)를 통해 발굴한 유망 기업들의 기술과 사업 모델을 소개하는 '2025 제1회 피치데이'(2025 1st Pitch Day)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25일 서울 반포 한강변 복합문화공간 '더리버'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HLB그룹의 오픈이노베이션 성과와 전략을 공유하고, 기존 협력 기업들의 기술과 협력 사례 및 새롭게 선정된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소개하는 '소통의 장'으로 진행됐다.... |
| HLB그룹, 제1회 피치데이 성료…유망 바이오 협력 본격화 | 2025-11-26T00:56:00+00:00 | HLB그룹은 첫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 ‘HLB 뉴 웨이브(HLB NEW WAVE)’를 통해 발굴한 유망 기업들의 기술과 사업 모델을 소... |
| HLB그룹, 제1회 피치데이 성료…유망 바이오 협력 본격화 | 2025-11-26T00:44:19+00:00 | HLB그룹은 첫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 ‘HLB NEW WAVE’를 통해 발굴한 유망 기업들의 기술과 사업 모델을 소개하는 '2025 제1회 피치데이(2025 1st Pitch Day)'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지난 25일 서울 반포 한강변 복합문화공간 '더리버'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HLB그룹의 오픈이노베이션 성과와 전략을 공유하는 동시에 기존 협력 기업들의 기술과 협력 사례 및 새롭게 선정된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소개하는 등 상호 이해를 넓히고 실질적인 기술 교류를 이끄는 '소통의 장'으로 진행됐다.진양곤 HLB그룹 회장은 기념사에서 "HLB NEW WAVE는 연결과 실행, 변화를 통해 함께 길을 만들고 새로운 파도를 일으켜 인류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고자 하는 연대의 출발점"이라며 "이 시작이 작은 물결이 되어 한국 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성장 모델로 이어지고, 종국에는 'Human Life Better'라는 HLB그룹의 비전을 현실로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먼저 HLB그룹과 협업을 진행 중인 3개 기업이 그간의 협업 성과와 기술 전략을 공유했다.네오켄바이오는 마이크로웨이브 기반 고순도 칸 |
| 기관 매수에 코스피 상승…LG엔솔 2.9% ↑ | 2025-11-26T00:28:43+00:00 | [개장시황] 26일 코스피지수가 장 초반 상승폭을 확대했다. 오전 9시22분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0.95% 오른 3894.25를 나타냈다. 투자자별로 개인이 1259억원 외국인이 321억원 순매도했다. 기관은 1541억원 순매수했다. 앞서 코스피지수는 0.88% 오른 3891.88에 출발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삼성전자(+0.60%) LG에너지솔루션(+2.90%) 삼성바이오로직스(+0.92%) 삼성전자우(+1.47%) 현대차(+1.26%) 두산에너빌리티(+4.49%) HD현대중공업(+1.28%) KB금융(+0.90%) 한화에어로스페이스(+1.75%) 등이 상승세다. 반면 SK하이닉스(-1.73%)는 약세다.... |
| HLB그룹, 제1회 피치데이 성료…유망 바이오 협력 본격화 | 2025-11-26T00:00:39+00:00 | HLB그룹은 첫 오픈이노베이션 프로젝트 'HLB 뉴 웨이브'를 통해 발굴한 유망 기업들의 기술과 사업 모델을 소개하는 '2025 제1회 피치데이(2025 1st Pitch Day)'를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 반포 한강변 복합문화공간 '더리버'에서 열린 행사에서 HLB그룹의 오픈이노베이션 성과와 전략을 공유했다. 기존 협력 기업의 기술과 협력 사례 및 새롭게 선정된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소개했다. 진양곤 HLB그룹 회장은 기념사에서 |
| 코스닥...HLB · 케어젠 · 리노공업 · 원익홀딩스 '껑충' | 2025-11-25T07:23:00+00:00 |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5일 코스닥 지수가 개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연준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과 구글을 중심으로 새로운 AI 낙관론 속에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상승 또는 급등했지만 코스닥 지수는 장 막판에 힘을 잃었다. 코스닥 업종별로는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주 등이 상승한 반면 제약바이오, 로봇주 등은 엇갈린 흐름을 나타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펩트론(1.76%), 리가켐바이오(0.76%), HLB(3.74%), 케어젠(5.32%) 등이 올랐 |
| 코스닥...고영 · 로보티즈 껑충, 알테오젠 · 에코프로 '뚝' | 2025-11-24T07:32:00+00:00 |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4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2거래일째 하락하며 850선으로 밀려났다. 미국 연준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이번 주로 예정된 미국의 주요 거시 경제·물가지표 발표를 앞둔 경계감이 한국증시를 압박했다. 특히 알테오젠, 펩트론, 에이비엘바이오 등 코스닥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주들이 하락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중 코스닥 시총 1위 알테오젠은 직전거래일 대비 2.59% 하락한 52만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펩트론이 15.18% 추락했고 에이비엘바이오(-3.19%) |
| 코스닥 급락에도...디앤디파마텍 · 로킷헬스케어 · 에스피지 '껑충' | 2025-11-21T07:33:00+00:00 |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21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3% 넘게 급락하며 860선으로 주저앉았다. 20일(현지시간) 미국증시에서 AI 버블 공포 확대 속에 3대 지수가 하락 또는 급락하면서 국내증시 투자심리를 짓눌렀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9월 고용지표의 혼재된 수치 속에 미국 연준(Fed·연방준비제도)의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한 점, 리사 쿡 연준 이사가 "여러 자산 가격이 고평가돼 있으며, 급락 가능성이 커졌다"고 발언한 점 등도 증시 불안심리를 증폭시켰다. 코스닥 업종별로는 반도체, 2차전 |
| 코스피 3,900선 또 붕괴…SK하이닉스 8% 하락 | 2025-11-21T00:43:01+00:00 | 코스피는 하루 만에 4천 선을 내준 데 이어 낙폭이 확대되며 3,800선까지 밀리고 있다. 간밤 뉴욕 증시가 인공지능(AI) 고평가 우려와 12월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96.15포인트(-2.40%) 내린 3,908.70에 출발했다. 이후 오전 9시 16분 기준 3,869선에서 움직이고 있다.투자자별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개인과 기관이 각각 5,619억 원, 1,457억 원 순매수하고, 외국인만이 7,198억 원 순매도 중이다.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삼성전자(-4.17%)와 SK하이닉스(-8.23%), LG에너지솔루션(-3.40%), 현대차(-1.53%), 두산에너빌리티(-5.53%), KB금융(-0.50%), HD현대중공업(-3.26%), 한화에어로스페이스(-5.02%) 등이 내리고 있다.코스닥도 전 거래일보다 24.49포인트, 2.75% 내린 870선에 움직이고 있다.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은 각각 319억 원, 134억 원 순매도하고 외국인만이 516억 원 순매수하고 있다. 코오롱티슈진(+1.23%)을 제외한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도 일제 |
| [종합] 코스피, AI 거품론 속에 3860대로 밀려…하이닉스 8% 급락 | 2025-11-21T00:26:00+00:00 | 코스피 지수가 인공지능(AI) 거품론 속에 하락하고 있다. 21일 한국거래소에서 이날 오전 9시 16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 |
| HLB사이언스, FDA에 패혈증 치료제 1b·2a상 IND 제출 | 2025-11-20T06:53:48+00:00 | [데일리한국 최성수 기자]HLB사이언스는 지난 18일(현지시간) 패혈증 및 그람음성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DD-S052P’의 1b·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다.이번 임상은 2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1b상에서는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DD-S052P와 기존 항생제인 콜리스틴을 병용 투약했을 때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면역원성을 확인한다.이어지는 2a상에서는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CRAB)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지표들을 평가하 |
| HLB사이언스, 美 FDA에 패혈증 치료제 임상시험계획 제출 | 2025-11-20T06:23:02+00:00 | HLB사이언스는 18일(현지시간) 패혈증 및 그람음성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DD-S052P'의 1b/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FDA(식품의약국)에 제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2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1b상에서는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DD-S052P와 기존 항생제인 콜리스틴을 병용 투약했을 때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면역원성을 확인한다. 이어지는 2a상에서는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CRAB)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지표들을 평가하는 동시에 예비 효력 확인을 위한 탐색적 지표도 검토할 예정이다. HLB사이언스는 지난달 DD-S052P의 임상 1상 최종보고서를 통해 단일투여의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다. 이러한 긍정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환자 치료에서 치료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후속 임상은 병용요법 중심으로 설계해 개발 전략을 한층 강화했다. 패혈증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5000만명이 발병하고 이... |
| HLB사이언스, 패혈증 치료제 ‘DD-S052P’ 美FDA 1b/2a상 IND 신청...'콜리스틴' 병용투여로 안전성 확인 | 2025-11-20T05:23:03+00:00 | HLB사이언스는 18일(현지시간) 패혈증 및 그람음성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DD-S052P’의 1b/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밝혔다.이번 임상은 2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1b상에서는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DD-S052P와 기존 항생제인 콜리스틴을 병용 투약했을 때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면역원성을 확인한다.이어지는 2a상에서는 카바페넴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CRAB) 폐렴 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지표들을 평가하는 동시에 예비 |
| 코스피, 엔비디아 훈풍에 4천선 회복…삼성전자·SK하이닉스 강세 | 2025-11-20T01:11:54+00:00 | 코스피가 다시 4천선을 회복했다. 엔비디아의 사상 최대 실적과 주가 급등이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줬다.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51분 기준으로 코스피는 전장보다 2.51% 오른 4,028.01에 거래되고 있다.투자자별 매매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695억 원, 2,943억 원 순매수하고 있고 개인만 홀로 5,754억 원 순매도하고 있다.코스피 시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3.83%), SK하이닉스(+3.56%), LG에너지솔루션(+2.06%), 현대차(+0.47%), HD현대중공업(+1.74%), 두산에너빌리티(+5.24%), 한화에어로스페이스(+1.55%), KB금융(+0.33%)이 일제히 상승세다.이 같은 상승은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의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힘입은 것이다.전날 엔비디아는 자체 회계연도 3분기(8~10월)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2% 증가해 사상 최대인 570억 1천만 달러(약 83조 4천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이는 시장조사업체 LSEG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49억 2천만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엔비디아는 이 같은 성장세가 4분기(11월~내년 1월)에도 |
| 코스피, 미국발 훈풍에 4030선 회복…삼성전자·SK하이닉스 강세 | 2025-11-20T00:39:24+00:00 | 엔비디아발 훈풍에 20일 코스피는 4030선에서 상승 출발했다. 코스닥도 1% 넘게 오르며 긍정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9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37% 오른 4022.72를 나타내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2.58% 뛴 4030.97로 출발한 뒤 장 초반 4020~4030선에서 등락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66억원, 636억원을 사들이는 가운데 개인은 975억원을 내다 팔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발표된 엔비디아 |
| 코스닥...펩트론 · 에스피지 '껑충', 알테오젠 · HLB '하락' | 2025-11-19T07:25:00+00:00 |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9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의 매도 공세 속에 이틀째 하락하며 870선 초반대로 밀려났다. 18일(현지시간) 미국증시에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AI 관련주에 대한 투자 과열 우려가 지속되면서 3대 지수가 하락 또는 급락했다는 소식이 한국증시 투자심리를 냉각시켰다. 코스닥 업종·테마별로는 로봇주 주가가 상승한 반면 제약바이오, 2차전지, 반도체, 게임, 통신장비주 등이 하락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로봇주 중 에스피지가 26.78% 치솟았고 레인보우로보틱스(2.26% |
| 코스닥...알테오젠 '활짝', HLB · 에코프로 · 윈익홀딩스 '급락' | 2025-11-18T07:26:00+00:00 |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8일 코스닥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공세 속에 2.6% 급락하며 878선에서 마감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증시에서 인공지능(AI) 거품론 재확산 속에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도세가 뚜렷해지면서 한국증시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냉각됐다. 또한 오는 19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엔비디아 실적 경계감, 연준(Fed·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 속에 나스닥 선물도 장중 하락 전환해 변수로 꼽혔다. 코스닥 업종별로는 2차전지, 반도체, 로봇, 통신장비주 등이 하락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약바이오주 |
| 에이비엘바이오 등 바이오주 '장중 뚝'...변수는? | 2025-11-18T01:51:00+00:00 | [초이스경제 이영란 기자] 18일 증시에서 에이비엘바이오 등 제약바이오주 주가가 장중 약세를 기록 중이다. 최근 비만치료제 이슈와 일부 기업의 기술이전 소식 등으로 제약바이오주들이 주목받았지만 이날은 한국증시의 장중 하락 속에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11분 현재 에이비엘바이오는 전일 대비 2.16% 하락한 17만2200원에 거래 중이다. 장중 5거래일 만에 내림세다. 앞서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 12일 일라이릴리에 대한 기술이전 발표 이후 연일 상승해 지난 14일 장중에는 19만5500원으로 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