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누스(013890) 종목뉴스

제목 일시 요약
‘지누스 덕에 날았다’ 현대백화점, 2분기 영업익 869억⋯전년 대비 102.8% 급증 2025-08-06T05:53:00+00:00

매출 1조803억 원, 전년비 5.5% 증가면세점ㆍ지누스 등 자회사 실적 개선 영향백화점, 리뉴얼로 영업 면적 줄어 소폭 감소 현...

현대백화점, 2분기 영업익 869억…102.8%↑ 2025-08-06T05:27:48+00:00

현대백화점은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803억원, 영업이익 869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5%, 102.8%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1,784억원, 1,99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와 비교했을 때 각각 10.3%, 78.5% 증가한 수치다. 사업별로 보면, 백화점 부문은 지난 2분기 매출액은 5,901억원으로 3.6% 감소했으며, 영업이익 역시 693억원으로 2.3% 감소했다. 면세점은 올 2분기 매출액 2,935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증가했다. 같은기간 13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지누스의 매출은 2,29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1.2% 증가했으며 29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전환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면세점·지누스 등 자회사 실적 개선으로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며 "다만, 백화점은 주요 점포 리뉴얼 등 영업 면적 축소로 인해 별도기준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면세점은 운영 효율화 및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매출, 영업이익 등 영업 실적이 개선됐고, 지누스는 미국 등 주요 고객사의 매트리스

현대百, 2분기 면세점·지누스가 실적 견인…영업익 103%↑ 2025-08-06T05:21:00+00:00

현대백화점이 면세점과 지누스의 실적 개선에 힘입어 2분기 대폭 개선된 영업이익을 거뒀다. 주력 백화점 사업은 리뉴얼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자회사들의 호조가 전체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현대백화점은 6일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86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428억원) 대비 102.8%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증권사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804억원을 상회한다. 매출은 1조803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38억원) 대비 5.5% 증가했고,..

현대백화점 지누스 날개 달고 영업익 2배로 '껑충' 2025-08-06T04:59:56+00:00

현대백화점이 면세점과 지누스(메트리스 판매 자회사) 등 자회사 실적개선에 힘입어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가 증가했다. 하지만 본업인 백화점 사업 부문에서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6일 잠정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한 1조803억원의 매출(연결기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69억원으로 102.8%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545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백화점 실적이 부진했으나 지누스와 면세점이 실적개선을 이끌었다. 실제로 별도기준 현대백화점 매출은 5901억원으로 ...

印尼관세 하향에 한숨 돌린 지누스, 멈췄던 사업시계 다시 돌린다 2025-08-05T23:45:07+00:00

미국 관세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멈춰 있던 지누스의 사업 시계가 다시 돌기 시작했다. 주춤했던 비매트리스 제품 생산도 재개하면서 하반기 실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6일 가구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이 교역 상대국들에 부과하는 관세율이 속속 확정되면서 아마존·월마트 등 주요 고객사들의 지누스 제품 주문이 점차 회복되고 있다. 특히 매트리스의 주 생산기지인 인도네시아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이 19%로

지누스 연간 영업이익 1천억 눈앞, 정지선 '글로벌 빅딜 베팅' 3년 만에 결실 2025-08-05T05:52:49+00:00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약 9천억 원을 들여 인수한 지누스가 올해 들어 알짜 계열사로 부상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현대백화점그룹이 '역대급 베팅'으로 품은 가구'매트리스 기업 지누스가 마침내 반등의 고개를 넘고 있다. 2025년 상반기 실적 회복을 시작으로 연간 영업이익 1천억 원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오며, 그룹 내 '효자 계열사'로 자리매김하는 분위기다.정지선 회장이 2022년 단행한 글로벌 인수합병(M&A)이 3년 만에 성과로 이어지며, 지누스는 그룹 내 대표적 성공 인수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내수 중심이던 그룹 포트폴리오도 글로벌 제조'유통 구조로 확장되고 있다는 분석이다.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누스가 올해 눈에 띄는 실적 반등에 성공하며 현대백화점그룹 내 주요 계열사로 단숨에 올라섰다.지누스는 올해 상반기 매출 4794억 원, 영업이익 566억 원을 기록했다. 지

코스피, 1% 상승 출발…삼성전자·SK하이닉스 강세 2025-08-05T00:18:57+00:00

5일 양 시장은 상승 출발했다. 코스피는 1.35% 상승한 3190선, 코스닥은 1% 상승한 793선을 회복했다. 간밤 뉴욕 증시에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살아나면서 뉴욕 증시가 반등했고, 우리 시장도 상승 모멘텀을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는 2.5% 올랐고, SK하이닉스는 2%, KB금융은 2%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상승률 상위 업종은 전기전자와 금융이다. 특히 전기전자 업종에서는 삼성SDI가 6%대 강세를 보였고, 대덕전자가 5% 강세를 시현했다. 금융업종에서는 실적을 발표한 HDC가 6% 강세를 보였고, 제주은행이 6%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하락률 상위 업종은 음식료담배로 나타났다. 농심, 빙그레, 사조씨푸드, KT&G 등 일부 종목은 강보합권에서 이어갔지만,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종목별로는 SK가스가 8% 가까이 상승하며 호실적 모멘텀을 분출했고, 삼성SDI는 8.9% 상승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반면 지누스는 7% 하락했고, 카카오는 1% 밀렸다. ● 핵심 포인트 - 5일 양 시장 상승 출발. 코스피 1.35% 상승한 3190선, 코스

한국투자 "지누스 하반기 성장세 지속될 전망, 글로벌 매출 흐름 양호" 2025-08-04T23:33:58+00:00

[비즈니스포스트] 지누스가 글로벌 시장의 안정적 매출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클릭 e종목]"지누스, 하반기 상반기보다 무조건 개선" 2025-08-04T23:07:16+00:00

한국투자증권은 5일 지누스가 오는 9월부터 제조업자개발생산(ODM)의 매출이 정상화되며 실적 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분석했다. 2분기 지누스의 연결 기준 매출은 229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91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관세 환입금액 효과를 제외한 순수 영업이익이 92억원을 기록하며 추정치를 상회했는데, 관세 불확실성에도 미국 매출이 견조한 성장을 보인 영향이다. 전유나 한국투자증권 연

지누스, 사업구조 개편 적중…2분기 ‘흑전’ 2025-08-04T07:51:00+00:00

현대백화점그룹의 가구·매트리스 제조사 지누스가 매트리스 수요 증가로 올해 2분기 판매 호조를 보이며 흑자전환했다. 재고 효율화와 비용 개선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누스는 2분기 연결 기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2% 증가한 매출액 2295억원, 영업이익 291억원을 거두며 흑자전환했다. 당기 순이익은 70억원을 기록했다.올해 상반기 누적 매출액은 479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3.7% 늘..

'흑자 전환' 현대백화점 지누스, 사업구조 개편 성과 낸다 2025-08-04T07:40:59+00:00

현대백화점그룹의 매트리스 계열사 지누스가 올해 2분기에 재고 효율화와 비용 개선 등 사업구조를 개편한 효과로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했다. 지누스는 4일 공시를 통해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한 29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2295억원으로 11.2% 늘었고, 당기순이익도 70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이를 포함한 올 상반기 매출도 4794억원으로 33.7% 늘었고, 영업이익이 566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지누스는 2022년 현대백화점이 인수한 매트리스, 가구 전문 기업...

지누스, 2분기 영업이익 291억원…흑자 전환 2025-08-04T06:40:22+00:00

현대백화점의 매트리스·가구 계열사 지누스가 올해 2분기 연결 영업이익이 291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한 것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295억원으로 11.2% 전년 대비 증가했고 당기 순이익은 70억원을 기록, 흑자로 올라섰다. 올해 상반기 누적 매출액은 47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7% 늘었고, 영업이익은 566억원으로 역시 흑자 전환했다. ...

지누스, 2분기 영업익 291억…흑자전환 2025-08-04T06:33:49+00:00

매출 2295억…전년비 11.2% 증가

[마켓파워] 실적 효자 된 지누스…현대백화점 기업가치 상승 이끌었다 2025-08-03T08:29:00+00:00

현대백화점의 '아픈손가락'으로 꼽혀왔던 매트리스·가구 계열사 지누스가 올해 들어 분위기가 반전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주요 매출처인 미국의 소비 위축, 과잉재고, 물류대란 등을 겪으며 쓴 맛을 본 지누스는 고진감래 끝에 미국에서의 판매가 회복됐기 때문이다. 이에 생산 공장도 확대하고, 미국 관세에 대한 리스크도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하반기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지누스의 지분 38%를 갖고 있는 현대백화점 또한 지누스의..

현대백화점 '아픈 손가락' 지누스 상반기 실적 효자 탈바꿈, 하반기엔 본업도 빛 볼까 2025-08-01T08:56:32+00:00

[비즈니스포스트] 현대백화점이 올 상반기 실적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본업이 부진한 가운데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2022년 3월 역대급 배팅으로 인수한 가구'매트리스 계열사 지누스가 전사 실적 개선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百그룹, 집중호우 피해복구 성금 3억원 기부 2025-07-22T04:51:10+00:00

현대백화점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복구를 지원하기 위해 성금 3억원을 기부한다고 22일 밝혔다.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전달된 성금은 이재민들의 생필품 지급과 대피 시설 운영 등에 쓰일 예정이다. 현대백화점그룹은 고객과 임직원들이 참여하는 모금 캠페인을 통해 구호 성금을 추가로 기부할 예정이다. 이달 31일까지 그룹 통합멤버십 H포인트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수해 이웃돕기 포

[Why&Next]고민 깊은 신동빈…롯데지주, 자사주 딜레마 2025-07-21T02:15:00+00:00

롯데그룹이 지주사인 롯데지주의 자사주를 놓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부분 계열사가 업황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되며 롯데지주 자사주를 매각해 유동성 확보에 나섰는데, 주주권리를 대폭 강화한 개정된 상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제동이 걸릴 공산이 커졌다. 여기에 정치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담긴 더욱 강력한 상법 개정안이 추진되며 '진퇴양난'에 빠진 모습이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이달 초 국회를 통과한 상법 개

KB증권 "지누스 3분기 매출 확대 예상, 아마존 프라임데이 성과 기대 이상" 2025-07-16T23:38:58+00:00

[비즈니스포스트] 지누스가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누스, 미국-인도네시아 무역 협상 타결에 5%대 강세[이런국장 저런주식] 2025-07-16T01:21:40.816934+00:00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이자 온라인 매트리스 판매업체 지누스(013890) 주가가 장 초반 강세다. 주요 생산기지인 인도네시아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매수세고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9분 기준 지누스는

[특징주]지누스, 생산기지 '인니' 관세 합의에 5%대↑ 2025-07-16T00:20:49+00:00

16일 지누스가 장초반 강세다. 주요 생산기지인 인도네시아가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이날 오전 9시19분 기준 지누스는 전 거래일 대비 1010원(5.41%) 오른 1만9680원에 거래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인도네시아는 우리(미국)에게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19%의 관세를 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