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로고

삼성전자 (005930) 주가 및 종목 정보

삼성전자 실시간 주가

삼성전자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76,500 원
변동량 ▲ 1100.00 원
변동률 1.46%
거래량 19,908,805
거래대금 1,529,429,370,850 원

삼성전자 일별 주가

삼성전자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1/2025 67,800 69,500 67,800 69,100 10,604,028 731,582,866,980
9/2/2025 69,200 69,800 68,800 69,800 10,283,009 714,517,209,150
9/3/2025 69,500 70,100 69,300 70,100 12,284,414 855,350,153,007
9/4/2025 70,300 70,400 69,500 69,500 11,526,724 804,641,532,850
9/7/2025 69,800 70,500 69,600 70,100 9,263,135 648,524,943,367
9/8/2025 70,100 71,500 70,000 71,500 14,870,245 1,055,356,549,000
9/9/2025 71,800 72,800 71,600 72,600 21,928,565 1,589,672,409,520
9/10/2025 73,200 73,600 72,100 73,400 20,793,501 1,518,036,265,100
9/11/2025 74,600 75,600 74,200 75,400 28,219,678 2,118,000,956,450
9/14/2025 77,200 77,600 75,900 76,500 19,908,805 1,529,429,370,850

관련 테마

  • 스마트홈 : 스마트폰으로 식재료 확인, 대형마트 연계 쇼핑이 가능하며, 냉장고를 이용해 라디오, TV 시청, 각종 정보 확인 등이 가능한 ‘패밀리 허브’ 를 출시
  • 차세대이동통신 : 5G 무선통신용 밀리미터파 무선고주파집적회로 칩 자체 개발에 성공
  • 자율주행 : 신사업으로 자율주행차 관련 사업 추진, 자율주행차량용 반도체 개발 진행 중으로 이탈리아 피아트크라이슬러 오토모티브(FCA)의 부품 계열사 마그네티 마렐리 인수를 추진 중이며 삼성벤처투자를 통해 美 델파이와 자율주행차 핵심부품 개발업체 쿼너지에 공동투자
  • VR : 가상현실 헤드셋인 ‘삼성 기어 VR’을 국내 출시
  • 무선충전 : 갤럭시 S6 모델 부터 무선 충전 기술을 탑재하여 제조
  • OLED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OLED를 적용한 갤럭시 시리즈를 출시 및 OLED TV 생산/판매 중
  • 폴더블폰 : 한국의 글로벌 전자기업으로 18년 11월 출시 예정 폴더블폰 등을 공개, 19년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 20년 상반기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을 출시함
  • 스마트폰 : IM 사업 부문(HHP, 네트워크 시스템,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 생산/판매
  • 시스템반도체 : DS 사업부문(DRAM, NAND Flash, 모바일AP, TFT-LCD, OLED 등)에서 반도체 사업을 영위. 미국 오스틴의 시스템반도체(LSI) 전용라인을 보유. 신규 시스템반도체 라인인 화성 17라인을 보유
  • 냉방 : 냉방 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가전제품을 판매하는 기업
  • NFT : 삼성전자 투자 전문회사 삼성넥스트, 미국의 NFT 거래 플랫폼 업체 "슈퍼레어(SuperRare)"가 모집한 900만 달러(약 102억원) 규모의 시리즈A 펀딩에 투자자로 참여
  • 화웨이 : 반도체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는 기업으로 미국이 화웨이에 대한 제재가 심해지면서 수혜를 받고 있음
  • 마이크로LED : 한국의 대표 글로벌 전자기업으로 2021년 CES 본격 개막에 앞서 "퍼스트룩" 행사를 통해 마이크로 LED TV를 공개함
  • LED : 세계적 경제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DS 부문 내 Display 사업에서 LED 조명과 LED TV 등 LED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 중
  • 미니LED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OLED를 적용한 갤럭시 시리즈를 출시하였으며, 베트남 공장에 미니 LED 생산 라인을 구축 중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선두 업체인 삼성 디스플레이를 종속 회사로 보유하고 있음
  • 메모리반도체 : 부품 사업(DS 부문)에서 D램, NAND Flash, 모바일 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 사업으로 구성되었음
  • D램 : 부품 사업(DS 부문)에서 D램, NAND Flash, 모바일 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 사업으로 구성되었음
  • 3D낸드 : 삼성 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업체로 낸드 플래시 시장 점유율 1위 및 3D NAND를 탑재하는 SSD의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음
  • 반도체생산 :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기업으로 주력사업인 플래시메모리와 D램이 세계시장에서 확고한 1위를 차지
  • 차량용반도체 : 전기 자율차용 5나노미터 프로세서의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며, NXP·인피니언·STM 등 시스템 반도체 기업 인수 추진설이 나오고 있음
  • 제습기 : 세트 사업 부분 중 CE 부문에서 다양한 모델의 제습기를 생산 및 판매
  • 공기청정기 : CE 부문 내 생활가전 사업부를 통해 다양한 공기청정기 제품군을 생산 및 판매
  • 고령화/노인복지 : 2013년 미국 CT업체 뉴로로지카 인수 등 M&A를 통해 의료기기사업 확장 중이며 삼성메디슨과 함께 AI 기술이 적용된 영상진단기기 제품군을 공개
  • RFID/NFC : IM 사업 부문에서 NFC 기능이 장착된 스마트폰을 출시하였으며, 고성능 모바일 RFID 리더용 원칩 솔루션을 상용화
  • 통신장비 : DS 부문의 S.LSI 사업부는 모뎀과 이미지 센서, 무선 고주파 집적 회로와 같은 통신에 사용되는 시스템 반도체를 설계함
  • 국제전자제품박람회 : CES에서 부각된 LED 디스플레이 생산과 관련된 사업을 영위
  • 온디바이스AI : 온디바이스AI를 탑재한 갤럭시 시리즈 출시, 온디바이스AI에 특화된 LLW DRAM 양산 예정
  • (e)SSD : 세계 SSD 시장 1위 업체로 SSD에 탑재되는 낸드플래시,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등을 모두 자체 개발 중인 기업
  • NPU : 자체 모바일 프로세서 엑시노스에 NPU를 내장하여 AI 기능 처리를 강화하고 있는 기업. 최신 엑시노스에는 2개 이상의 NPU 코어가 탑재되어 AI 카메라, 음성인식, 실시간 번역 등 스마트폰 기반 AI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며, 스마트폰뿐 아니라 AIoT, 스마트가전, 웨어러블 등 전 분야로 NPU 기술을 확장 중임
  • 엔비디아 : 엔비디아에 HBM3E 12단 메모리 공급을 시작하며, AI GPU용 고성능 메모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기에 엔비디아 관련주로 분류된 바 있음
  • 환율상승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선두주자로 해외 매출 비중이 압도적이며, 환율이 5% 상승 시 3천억원 이상의 순이익 개선 효과를 보는 대표적 반도체 수출 기업이기에 환율 상승에 따른 직접적 수혜주로 부각된 바 있음
  • 엔 캐리 트레이드 : 메모리 반도체의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압도적이며, 엔캐리 청산 시 외국인 자금 이탈로 인한 급락 위험이 크지만 동시에 엔화 강세 시 일본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엔 캐리 트레이드 관련주로 분류

삼성전자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pi 4,528,523억 1위 5,919,637,922 50.72% 하드웨어/IT장비 반도체/반도체장비 75,600 49,900

삼성전자 기업 개요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된 기업으로 반도체, 전자 제품 제조·판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삼성전자로지텍, 삼성전자서비스, 삼성디스플레이, 스테코, 삼성메디슨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반도체, CE 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TV, 스마트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부문 등에서 글로벌 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메타버스와 로보틱스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M&A를 계획하고 있다.

최신 삼성전자 관련 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24)씨가 15일 해군 장교로 입대했다. 미국 시민권을 포기하고 해군 통역장교로서 39개월의 군 복무에 들어간 것이다.이씨는 이날 오후 경남 창원시 진해기지사령부에 입대했다. 이씨의 입대 현장에는 모친 임세령 대상홀딩스 부회장과 여동생 원주씨 등이 동행했다. 부친 이재용 회장은 업무상 일정으로 아들을 부대까지 배웅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씨와 가족들은 검은색 미니밴을 타고 진해기지 안으로 들어갔다.이씨를 포함해 이날 입영한 해군 학사사관후보생(139기)은 총 84명으로 남자가 63명, 여자가 21명이다. 후보생들은 입영 전 가족, 지인과 함께 생활관, 훈련장소 등을 둘러본 뒤 이순부 해군사관학교 생도연대장(대령) 주관 입영식을 끝으로 가족과 작별인사를 했다. 이씨는 짧게 자른 머리에 검은색 반소매 티셔츠, 청바지, 검은색 운동화 차림으로 입영식에 참여했으며 거수경례를 하는 모습도 포착됐다.이씨는 11주간 장교 교육 훈련을 받고 오는 11월 28일 해군 소위로 임관한다. 이날부터 기초군사훈련이 시작된다. 훈련 기간과 임관 후 의무복무 기간 36개월을 포함해 이씨의 군 생활 기간은 총 39개월이다. 전역 예정 시점은 2028년 12월이다.이씨의 보직은 통역장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씨는 2000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복수 국적을 갖고 있었지만, 병역의 의무를 위해 미국 시민권을 포기했다. 복수국적자가 사병이 아닌 장교로 복무하려면 외국 시민권을 포기해야 한다. 이씨가 먼저 해군 장교로 입대를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이 회장도 아들의 결정을 격려한 것으로 전해졌다.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분야의 세계적 석학들을 초청해 AI 기술을 교류하고 미래 먹거리를 모색했다. 지난해보다 두 달 앞당긴 올해 행사에서는 학계와 업계 전문가 등 200여명이 AI 분야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삼성전자는 15일부터 이틀간 ‘삼성 AI 포럼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 포럼은 올해로 9회째를 맞았다. 전영현(사진)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삼성전자는 다양한 업무영역에 AI 기술을 적용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올해 삼성 AI 포럼은 AI가 사회와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의하고 함께 지혜를 나누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삼성전자 반도체(DS)부문이 주관하는 1일 차 포럼은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경기도 용인 삼성전자 ‘더 유니버스(The UniverSE)’에서 진행됐다.기조 강연에 나선 딥러닝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는 기존 AI 모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를 설명하는 동시에 안전장치 역할을 할 수 있는 ‘과학자 AI’를 말했다. 벤지오 교수는 “AI 모델은 인간을 모방하거나 기쁘게 하려는 의도 없이 검증된 사실과 데이터를 근거로 정직한 답변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반도체 설계 자동화 회사인 지멘스 EDA의 아밋 굽타 부사장은 ‘AI 기반 전자 설계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송용호 삼성전자 DS부문 AI센터장(부사장)과 강석형 포항공대(POSTECH) 강석형 교수, 문일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진행한 기술 세션에서는 반도체 설계와 제조 분야의 최신 AI 응용 연구 성과와 미래 전망이 논의됐다.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이 주관하는 2일 차 포럼은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를 주제로 진행된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사장은 “삼성전자는 본격화되는 에이전틱 AI 시대에 맞춰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AI 기술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정체된 IPTV 시장에서 새로운 수익원을 찾는 통신업계와 TV 사업에서 고전 중인 가전업계의 눈이 동시에 ‘FAST’(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로 향하고 있다. FAST는 광고 시청을 전제로 사용자에게 무료 실시간 TV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유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구독은 부담스럽지만, 다양한 콘텐츠를 시청하길 원하는 이들의 수요를 겨냥한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코로나19 이후 OTT 플랫폼이 일제히 요금을 인상하는 ‘스트림플레이션’이 이어지면서 FAST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LG유플러스는 자체 송출 시스템을 통해 삼성전자의 FAST 플랫폼 ‘TV 플러스’에 12개 채널을 공급한다고 15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2023년 4월 FAST 채널을 출시하며 시장에 발을 들였다. LG전자 스마트TV가 있으면 통신사에 관계 없이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이다.다른 두 통신사 역시 최근 FAST 채널을 확대했다. OTT에 맞서 자사 IPTV 경쟁력을 높이고, 광고를 통한 수익까지 창출하겠다는 전략이다. SK브로드밴드는 모바일용 ‘B TV’에서만 FAST 채널을 송출해오다 지난 2월부터는 IPTV에서도 FAST 채널 시범 운영을 시작했다. KT 스튜디오지니도 지난 8월 삼성전자 TV 플러스에 국내 드라마 채널 10개와 해외 영화·드라마 채널 2개 등 신규 채널을 공급했다.‘TV 위기론’이 제기되는 삼성전자와 LG전자도 FAST에서 사업 활로를 모색한다. 기존에 전 세계로 팔린 수억 대의 자사 스마트 TV가 탄탄한 기반이 되고 있다. 삼성전자 TV 플러스는 현재 27개국에서 3500여개 채널을 확보한 상태이다. LG전자 FAST 플랫폼 ‘LG 채널’은 33개국에서 4000개 이상 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글로벌 FAST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63억 달러(약 8조8000억원)에서 2027년에는 약 120억 달러(약 16조75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

코스피가 15일 사상 처음으로 3400선을 돌파했다. 코스피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른 기술주 상승과 국내 자본시장 부양과 관련한 정책 기대감으로 4거래일 연속 급등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1.77포인트(0.35%) 오른 3407.31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2일부터 10거래일 연속 상승이자 사상 첫 3400선 돌파다. 이달에만 8.41% 급등했다.시가총액 1, 2위인 삼성전자(+1.46%)와 SK하이닉스(+0.76%) 모두 올랐다. 삼성전자는 장중 3%대 상승하면서 52주 신고가를 경신했고 SK하이닉스는 장중 34만1500원까지 오르며 처음으로 ‘34만닉스’를 찍었다. 국내 반도체 업종의 강세는 미국 등 글로벌 증시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기술주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영향이다.외국인 투자자의 ‘한국 주식 쇼핑’은 이날에도 이어졌다.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약 2670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면서 지난 8일부터 6거래일 연속 순매수 행진을 보였다.개장 직전 국회 당정협의회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기준인 대주주 요건을 현행 50억원으로 유지한다고 밝힌 점도 증시 상승에 힘을 보탰다.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 조정 가능성도 언급되면서 금융과 지주 업종이 상승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세제 개편안 발표 이후 정부의 자본시장 부양 의지에 대해 제기된 의구심에 마침표가 찍혔다”고 평가했다.다만 전문가들은 한국 증시가 신고가 랠리를 펼치고 있지만 하락 요인이 다수 존재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합의문이 필요 없을 정도로 잘 된 회담”이라던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점과 현재 상수가 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실제 인하가 단행된 이후 시장에 어떻게 반영될지 등이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고 미국의 금리 결정을 앞두고 경계감이 이어지면서 보합권에서 등락을 반복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장은현 기자 eh@kmib.co.kr

삼성전자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300,870,903,000,000 16.20% 32,725,961,000,000 398.34% 34,451,351,000,000 122.45%
2023.4Q 258,935,494,000,000 -14.33% 6,566,976,000,000 -84.86% 15,487,100,000,000 -72.17%
2022.4Q 302,231,350,000,000 8.09% 43,376,630,000,000 -15.99% 55,654,077,000,000 39.46%
2021.4Q 279,604,800,000,000 18.07% 51,633,858,000,000 43.45% 39,907,450,000,000 51.12%

순매수량

개인: -5,419,485

기관: 1,660,236

외인: 3,396,333

누적 순매수량

개인: -109,400,562

기관: 6,782,235

외인: 60,351,481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9-15 -5,419,485 1,660,236 3,396,333
2025-09-12 -16,962,744 6,015,158 10,543,324
2025-09-11 -6,067,129 5,558,618 -76,406
2025-09-10 -10,482,254 4,582,471 5,280,895
2025-09-09 -6,511,482 1,864,337 3,847,532
2025-09-08 -1,389,241 -167,019 682,321
2025-09-05 749,207 -103,239 -1,550,793
2025-09-04 -674,788 -645,230 415,114
2025-09-03 -1,234,611 -1,111,477 1,387,860
2025-09-02 -2,003,591 -805,050 1,914,612
2025-09-01 2,861,486 -1,078,375 -2,707,270
2025-08-29 1,064,906 -165,432 -1,779,463
2025-08-28 3,327,050 -793,042 -3,462,829
2025-08-27 61,784 -82,081 -848,232
2025-08-26 2,329,333 -905,157 -2,271,718
2025-08-25 1,501,511 -506,058 -1,921,680
2025-08-22 -1,365,611 34,024 428,499
2025-08-21 -1,480,837 -1,325,464 1,914,069
2025-08-20 -2,824,161 1,906,578 75,217
2025-08-19 -522,582 714,443 -1,045,143
2025-08-18 1,924,747 -298,892 -2,483,669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9-15 -43,118,492 14,349,349 11,738,573
2025-09-12 -37,699,007 12,689,113 8,342,240
2025-09-11 -20,736,263 6,673,955 -2,201,084
2025-09-10 -14,669,134 1,115,337 -2,124,678
2025-09-09 -4,186,880 -3,467,134 -7,405,573
2025-09-08 2,324,602 -5,331,471 -11,253,105
2025-09-05 3,713,843 -5,164,452 -11,935,426
2025-09-04 2,964,636 -5,061,213 -10,384,633
2025-09-03 3,639,424 -4,415,983 -10,799,747
2025-09-02 4,874,035 -3,304,506 -12,187,607
2025-09-01 6,877,626 -2,499,456 -14,102,219
2025-08-29 4,016,140 -1,421,081 -11,394,949
2025-08-28 2,951,234 -1,255,649 -9,615,486
2025-08-27 -375,816 -462,607 -6,152,657
2025-08-26 -437,600 -380,526 -5,304,425
2025-08-25 -2,766,933 524,631 -3,032,707
2025-08-22 -4,268,444 1,030,689 -1,111,027
2025-08-21 -2,902,833 996,665 -1,539,526
2025-08-20 -1,421,996 2,322,129 -3,453,595
2025-08-19 1,402,165 415,551 -3,528,812
2025-08-18 1,924,747 -298,892 -2,483,669

삼성전자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504,875,185,000,000 20.86% 79.14%

삼성전자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스마트폰,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등 [DX부문] 65.7%
DRAM, NANDFlash, 모바일AP등 [DS부문] 25.7%
스마트폰용OLED패널등 [SDC] 12%
디지털콕핏, 카오디오, 포터블스피커등 [Harman] 5.6%
부문간내부거래제거등 [기타] -9%

삼성전자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73,700 (0.62%)

최근 공매도 잔고: 2,351,291 (0.04%)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9-15 76,500 173,700 0.62%
2025-09-12 75,400 327,531 0.87%
2025-09-11 73,400 575,664 2.25%
2025-09-10 72,600 573,839 2.11%
2025-09-09 71,500 387,504 2.07%
2025-09-08 70,100 307,169 2.75%
2025-09-05 69,500 242,698 1.84%
2025-09-04 70,100 316,689 2.33%
2025-09-03 69,800 301,750 2.53%
2025-09-02 69,100 442,222 3.26%
2025-09-01 67,600 339,858 1.95%
2025-08-29 69,700 344,458 2.54%
2025-08-28 69,600 568,925 4.03%
2025-08-27 70,600 279,513 2.17%
2025-08-26 70,300 482,350 2.77%
2025-08-25 71,500 730,821 5.63%
2025-08-22 71,400 596,232 5.16%
2025-08-21 70,600 1,525,457 6.38%
2025-08-20 70,500 1,659,148 7.51%
2025-08-19 70,000 502,660 3.86%
2025-08-18 70,000 315,893 1.83%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9-11 73,400 2,351,291 0.04%
2025-09-10 72,600 2,060,817 0.03%
2025-09-09 71,500 1,505,612 0.03%
2025-09-08 70,100 1,475,315 0.02%
2025-09-05 69,500 1,615,970 0.03%
2025-09-04 70,100 1,616,741 0.03%
2025-09-03 69,800 1,645,589 0.03%
2025-09-02 69,100 1,909,493 0.03%
2025-09-01 67,600 1,913,298 0.03%
2025-08-29 69,700 1,910,333 0.03%
2025-08-28 69,600 1,794,149 0.03%
2025-08-27 70,600 1,772,598 0.03%
2025-08-26 70,300 1,683,633 0.03%
2025-08-25 71,500 1,648,260 0.03%
2025-08-22 71,400 1,484,828 0.03%
2025-08-21 70,600 1,489,828 0.03%
2025-08-20 70,500 1,491,048 0.03%
2025-08-19 70,000 1,598,287 0.03%
2025-08-18 70,000 1,594,564 0.03%
2025-08-14 71,600 1,471,734 0.02%
2025-08-13 71,900 1,422,216 0.02%

삼성전자 업종 내 비교

반도체/반도체장비 업종(153개) 연간 기준

항목 삼성전자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4,463,406.993 49,265.17 1위
PER(최근4분기) 14.613 17.67 60위
PBR 1.297 10.62 90위
ROE(최근4분기) 9.027 -3.62 47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1.918 1.29 13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0.877 -6.91 34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1.451 -14.75 3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7.932 74.14 104위
매출액(최근연도) 3,008,709.03 26,011.73 1위
영업이익(최근연도) 327,259.61 3,832.01 1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344,513.51 3,643.72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