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인기에 날개 단 ‘K뷰티’ IPO·M&A 시장서 두각
K뷰티 지형이 바뀌고 있다. 경쟁력 있는 중소브랜드들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고 천억원대가 훌쩍 넘는 인수·합병(M&A)도 성사시킨다. 미국발 관세 부과 우려에도 안정적인 해외 실적을 바탕으로 자본시장 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소 K뷰티 기업이 자본시장에서 성공기를 써 내려가면서 K뷰티 산업의 중심축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11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공개(IPO)를 진행 중인 달바글로벌은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청약을 12일 마무리한다. 앞선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성공하며 6만6300원으로 공모가를 확정했다. 코스피 상장 예정일은 오는 22일이다.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약 8000억원에 이른다.2016년 뷰티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달바글로벌은 프리미엄 비건 스킨케어 브랜드 ‘달바(d’Alba)’를 중심으로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매출 성장률 65%를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액 3091억원 중 해외 매출 비중이 45.6%에 달하면서 글로벌 브랜드로 입지를 다졌다. 2028년까지 매출 1조원, 해외 매출 비중 7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IPO 절차에 돌입한 K뷰티 기업에 2012년 시작한 미미박스도 있다. ‘아임미미’, ‘누니’, ‘아이듀케어’ 등 자체 브랜드를 보유한 미미박스는 지난해 5월 삼성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며 기업공개 절차를 밟아 왔다. 미미박스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59% 성장한 330억원을 기록했고, 90% 이상이 해외에서 발생했다.‘넘버즈인’ ‘퓌’ ‘라이아’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비나우도 내년 IPO를 목표로 상장 준비에 한창이다. 2018년 설립된 비나우는 지난해 매출 2664억원으로 2023년보다 배 이상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1년 새 3.1배 뛴 750억원을 기록했다. 비나우를 눈여겨본 국내 사모펀드(PEF)들이 약 600억원을 투자한 데 이어 CJ온스타일도 최근 30억원을 투자했다.상장 후 성장 가도를 달리는 대표적인 기업은 에이피알(APR)이다. 뷰티 디바이스를 앞세운 APR은 지난해 2월 ‘조 단위 대어’로 등장했다. 주가는 지난 9일 기준 10만2700원으로 공모가 대비 배가량 뛰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2023년 코스닥에 성공적으로 입성한 화장품 브랜드 마녀공장은 최근 PEF 케이엘앤파트너스가 인수했다. 마녀공장 운영사 엘앤피 코스메틱은 특수목적법인(SPC) 케이뷰티홀딩스에 지분 51.87%를 약 1900억원에 매각했다.2010년대 사업을 시작해 10년 남짓 성장해 온 중소 브랜드의 성공 배경에는 꾸준한 실적 성장이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발 관세정책 불안 속 경기 둔화, 원가 상승 등 열악한 환경에서도 해외 주요 유통 채널에 입점하며 몸집을 키워가고 있다.업계 관계자는 “자본시장에 진입한 K뷰티 기업들은 품질 경쟁력, 상품 기획력, 소셜미디어 마케팅 역량과 글로벌 유통망을 보유했다”며 “자본시장에서 지속가능성을 증명하고 가치를 인정받는다면 산업의 중심축이 바뀌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