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러우전쟁에 북한이 파병을 하였다는 기사를 접하였습니다. 국정원의 보

Jart님의 게시글
2024-10-19T10:05:29.036685Z

최근 러우전쟁에 북한이 파병을 하였다는 기사를 접하였습니다. 국정원의 보도에 의하면 현재 파병이 확인된 병력의 수는 1만 2000명(특수부대 등 4개여단규모)이라고 하네요. 러시아는 국가예산의 40%를 전쟁자금으로 지출하는만큼 북한의 파병이 한반도의 정세에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겠다는 조심스러운 걱정이 앞섭니다. 이번 결정은 2024년 6월 김정은(북한)과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간의 회담에서 논의된 조약의 영향이라는 추측도 있습니다. 조약의 4조에는 쌍방 중 어느 일방이 개별적인 국가 또는 여러 국가들로부터 무력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게 되는 경우 타방은 유엔헌장 제51조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러시아연방의 법에 준하여 지체 없이 자기가보유하고 있는 모든 수단으로 군사적 및 기타 원조를 제공한다"라고 명시하였습니다. 유엔헌장 제51조의 내용이 '국가자위'인만큼 추후 한반도 정세에 러시아가 개입할 수 도 있겠다는 조심스러운 걱정이 드네요. 국제 정세에 맞추어 경제시장을 고려하였을 때 전쟁발발은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는데 달러는 하락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금투자는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금투자가 증가하는 원인은 화폐구매력 및 환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미지 1
,
이미지 2
,
이미지 3
,
이미지 4
,
이미지 5
,
이미지 6

댓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