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10일

Jart님의 게시글
2024-10-10T07:59:21.544074Z

2024년 10월 10일 코스피 최대 2,605.56(24.10.10 14:48) - 0.25% / 고가 2,613.61 코스피 최소 2,596.86(24.10.10 15:20) - 0.09% / 저가 2,596.86 코스닥 최대 776.52(24.10.10 15:19) - 0.13% / 고가 784.03 코스닥최소 774.94(24.10.10 14:44) - 0.07% / 저가 772.70

민스키 모멘트의 발생가능성(민스키의 금융불안정 가설) - 경제가 안정기에 접어들수록 금융 시스템이 점차 불안정해진다는 내용 - 현금 흐름 단위를 헷지 단위 - 투기적 단위 - 폰지 단위로 구분(폰지 단위로 갈수록 부채상환능력이 저하되는 현금 흐름 단위) - 채무상환능력의 부재의 증가는 가계부채가 한계점에 도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 내 폰지 단위의 현금흐름이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 - 자산가격 하락 충격이나 경기 위축에도 커다란 위기가 오는 민스키 모멘트 발생 가능성 증가 => 경제가 작은 충격에도 크게 변화하는 와블링 이코노미 현상 발생 => 자원절약형, 노동절약형 기술진보의 필요성

레드오션(Red Ocean)전략 - 경쟁에서의 우위 - 기존 수요시장 공략 - 가치-비용 가운데 택일 - 차별화나 저비용 가운데 택일

블루오션(Blue Ocean)전략 - 새 시장 공간 창출 - 경쟁X - 새 수요창출 및 신규루트 개척 - 가치-비용 동시 추구 - 차별화와 저비용을 동시에 추구

블루오션 구축을 위한 ERRC구성표 1. 제거(Eliminate) 2. 감소(Reduce) 3. 증가(Raise) 4. 창조(Create)

댓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