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8일

Jart님의 게시글
2024-10-08T11:31:17.299727Z

2024년 10월 8일 코스피 최대 2,601.96(24.10.08 14:45) - 0.29% / 고가 2,601.96 코스피 최소 2,592.70(24.10.08 15:15) - 0.06% / 저가 2,581.79 코스닥 최대 780.36(24.10.08 14:46) - 0.27% / 고가 782.85 코스닥최소 777.61(24.10.08 15:05) - 0.08% / 저가 776.20

홍콩의 개혁개방은 제조업의 위축 및 임금 인상에 대한 부담, 홍콩 내의 제조업체들이 공장을 중국 대륙으로 이전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 => 홍콩 제조업의 위축 홍콩의 모든 토지는 정부의 소유이며 개인 사용자에게 임대됨. <인용 출처> https://namu.wiki/w/%ED%99%8D%EC%BD%A9/%EA%B2%BD%EC%A0%9C

- 공유가치창출(CSV)의 부재=> CSV는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와 지역사회의 니즈가 만나는 곳에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여 경제적, 사회적 이익을 모두 추구. - CSV는 가치 창출 과정을 공유함으로써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새로운 방안을 모색 but 홍콩의 경우 모델상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투자에 저해될 것으로 판단됨. - 세계적 경제침체의 장기화와 기업성장의 한계 도달을 통해 사회와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생산하는 기업이 새로운 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는 CSV 주장에 대한 수긍과 수용 분위기 형성 기조. - 한미금리변동에 따른 가계부채의 리스크 확대 => 향후 시장금리 상승 시 홍콩내 가계의 채무상환부담이 커짐. 홍콩은 거주형태가 임대형이기에 전세, 월세의 상승은 홍콩거주민의 체감물가에 악영향을 미침. - 높은 무역 의존도 => 외부 경제 변동에 취약. (대한민국도 해당)

이미지 1
,
이미지 2
,
이미지 3

댓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