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트룩스 로고

솔트룩스 (304100) 주가 및 종목 정보

솔트룩스 실시간 주가

솔트룩스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29,700 원
변동량 ▼ 1100.00 원
변동률 -3.57%
거래량 207,608
거래대금 6,209,797,075 원

솔트룩스 일별 주가

솔트룩스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11/2/2025 33,000 34,950 32,700 33,950 1,255,760 42,754,038,675
11/3/2025 34,150 34,350 32,850 33,500 514,155 17,332,655,350
11/4/2025 32,850 33,450 30,500 31,900 466,256 14,732,580,650
11/5/2025 32,200 32,550 30,100 30,400 349,309 10,781,814,975
11/6/2025 29,500 30,700 29,200 30,400 226,897 6,771,717,550
11/9/2025 30,300 30,600 29,850 30,550 140,082 4,239,769,775
11/10/2025 30,900 31,200 29,550 30,000 240,363 7,275,652,425
11/11/2025 30,050 31,600 29,850 31,450 313,452 9,719,050,250
11/12/2025 31,400 31,400 30,300 30,800 158,575 4,870,892,125
11/13/2025 30,200 30,350 29,650 29,700 207,608 6,209,797,075

관련 테마

  • AI : 인공지능·빅데이터 전문 업체로, 소프트웨어를 개발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 클라우드컴퓨팅 : 인공지능, 빅데이터 전문 업체로,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챗GPT : 인공지능, 빅데이터 솔루션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구축 혹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LG와 같은 국내 글로벌 기업을 넘어 BMW, ANA항공 등 세계적 기업들에게 기술을 제공하고 있음
  • 딥시크 : AI 및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으로, 딥시크의 AI 기술 발전에 따른 자연어 처리(NLP) 및 데이터 기반 서비스 수요 확대가 예상돼 관련주로 평가받음

솔트룩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3,740억 244위 12,593,855 1.16% IT/ICT IT서비스 58,900 18,120

솔트룩스 기업 개요

솔트룩스는 B2B 및 B2G 인공지능, 빅데이터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솔트룩스파트너스, 광주인공지능센터, 솔트룩스벤처스, 플루닛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플랫폼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AIX사업, CLS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당사는 기업 및 공공 등 B2B, B2G부문에서 AI Suite, Big Data Suite, GraphDB Suite및 Cloud Service의 4대 제품 및 사업 영역을 보유하고 있다.

최신 솔트룩스 관련 뉴스

[IT동아 남시현 기자]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순조롭게 막을 내렸다. APEC 정상회담은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Building a Sustainable Tomorrow)'을 주제로 열렸으며 21개 회원국 정상과 기업인, 언론인 등 2만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는 APEC CEO 서밋이 공동 개최되면서 전 세계 글로벌 기업인들이 내한해 사업상 논의를 가졌다. 2025년 10월 20일부터 오는 11월 23일까지 경주엑스포대공원 내 K-비즈니스 스퀘어에서 APEC 경제전시회가 열린다 / 출처=IT동아 비즈니스 측면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한 ‘글로벌 초격차 테크 콘퍼런스(Global Super-Gap Tech Conference)’와 산업통상부가 주최하는 인베스트 코리아 서밋 2025가 함께 열렸다. 또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는 APEC CEO 서밋과 부대 행사로 퓨처-테크 포럼, K-테크 쇼케이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APEC 경제 전시회(Economic Exhibition)도 각각 추진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APEC 개최를 통해 7조 4000억 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와 2만 3000명의 고용이 발생했다고 집계했다. 외교, 국방뿐만 아니라 기술 산업도 빛난 자리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뉴스분석팀이 지난 10월 23일부터 11월 2일까지 '2025년 APEC 정상회의' 관련 주요 외신보도를 조사한 결과, 전 세계 총 25개국에서 377건의 기사가 발행됐다. 외신들은 이번 APEC 정상회의를 문화와 기술을 결합한 K-전략 외교, 다자무대에서의 실용적 중견국 리더십, AI·반도체·방산·블루오션 외교를 주요 성과로 제시했다. 특히나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의 방한과 APEC CEO 서밋을 계기로 한국의 반도체 기술력에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K-비즈니스 스퀘어 내부에 첨단미래산업관, 지역기업관 등 다섯 종류의 전시관이 마련돼 있다 / 출처=IT동아 한편 반도체 시장의 한 축을 담당하는 시스템 반도체 시장에서도 소기의 성과가 있었다. APEC 기간 동안 경주엑스포대공원에 마련된 ‘K-비즈니스 스퀘어’에서 KOTRA가 주최하는 ‘APEC 경제 전시회’가 함께 열렸다. 이번 전시회는 지난 27일 개막해 오는 11월 23일까지 5주 간 진행된다. 전시장은 대한민국 산업 역사관을 비롯해 첨단미래산업관, 지역기업관, 다섯 종류의 한국 문화 체험 공간 등으로 구성됐으며, 반도체과 AI 기술을 다루는 ‘첨단미래산업관’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대한민국 첨단산업에 초점, IMF 총재 등 방문 이어져 KOTRA 한류첨단미래산업관은 대한민국 반도체 50년 사 전반을 담은 반도체관과 미래 에너지 및 자율주행 등을 담은 모빌리티관, 자율 운항부터 미래형 추진선박 등을 설명하는 조선해양관 등으로 구성된다. 반도체관은 삼성전자와 리벨리온, 퓨리오사AI, 루닛, 엔젤로보틱스가 순서대로 전시장을 꾸몄다. 첨단미래산업관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퓨리오사AI, 리벨리온, 루닛, 엔젤로보틱스가 전시한다 / 출처=IT동아 시스템 반도체와 메모리 반도체, 그리고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두 추진하는 종합반도체기업 삼성전자가 대한민국 반도체 50년 사를 주제로 전시장을 구성했다. 삼성전자는 국내 초기 반도체 개발 과정부터 반도체 8대 공정에 대한 주요 설명을 폭넓게 배치했다. 특히 12인치 웨이퍼를 비롯해 HBM4 및 GDDR7 등 메모리 반도체, 모바일용 프로세서, 차량용 반도체 및 보안 칩까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제품들을 주력으로 전시했다. 참관객들이 도슨트를 따라 AI 반도체 관련 정보를 보고 있다 / 출처=IT동아 그리고 전시관의 중심에는 우리나라 AI 반도체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는 퓨리오사AI, 리벨리온의 부스가 각각 마련됐다. 퓨리오사AI는 두 대의 두 대의 RNGD 가속기를 활용해 오픈AI의 오픈웨이트 대형언어모델(LLM) gpt-oss 120B를 오프라인으로 구동하는 데모 시스템, 그리고 8장의 RNGD 가속기를 통해 8비트 부동소수점(FP8) 기준 최대 4페타플롭스(PFLOPS)의 성능을 내는 RNGD 서버를 함께 소개했다. 리벨리온은 주력 제품인 리벨 쿼드 및 아톰 맥스 카드, 아톰 칩이 장착된 NPU AI 서버랙 등을 복합적으로 전시했다. 퓨리오사AI는 gpt-oss 120B 모델을 두 대의 RNGD 카드로 구동하는 라이브 데모를 전시했다 / 출처=IT동아 우리나라 산업의 최전선과 첨단 기술을 살펴보기 위한 국내외 주요 인사들도 행사장을 찾았다. 국내 인사로는 김민석 국무총리와 이철우 경북도지사, 강경성 KOTRA 사장,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박재영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 부회장 등 정부 주요 인사 및 기관장 등이 부스를 찾았다. 또 APEC 행사로 한국을 찾은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Kristalina Georgieva) IMF 총재, 폴 그림스(Paul Grims) 호주 무역 투자 위원회(Aus Trade) CEO, 뷔 트란(Vy Tran) 지멘스 헬시니어스 아태지역 사장, 필립 마틴 엠텔 에너지 USA CEO 등의 인사들이 반도체 관을 찾았다. 높아지는 대한민국의 글로벌 위상 엿볼 수 있는 자리 우리나라 AI 및 반도체 산업의 미래는 긍정적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한국은 AI 인프라 역량을 선도하는 국가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이를 이루려면 언어 모델, 로봇공학, 자율주행, 과학 등 다양한 산업에서 다양한 유형의 AI 모델이 필요한데, 대한민국은 놀라운 AI 인프라를 바탕으로 활기찬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향후에는 지역의 AI 허브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AI 허브 중 하나가 될 잠재력이 충분하다”라고 말할 정도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설계, 생산은 물론 이를 활용하는 사례까지 모두 구현할 수 있는 몇 안되는 국가 중 하나다 / 출처=IT동아 소프트웨어 측면에서도 LG AI 연구원의 엑사원을 비롯해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X, 업스테이지 솔라, 솔트룩스 루시아 등 비영어권 계열에서 최상위 성능을 달리며, 제조 분야에서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이 스마트 팩토리를 구현 중이다. 의료나 공공, 법률 등의 분야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다. 스탠퍼드대가 발표한 AI 인덱스 2025를 기준으로 AI 연구 논문 수는 세계 6위, 특허 출원 수는 4위로 매우 높은 편이다. 이번 APEC 회의를 계기로 전 세계 21개 정상을 비롯한 전 세계 주요 각료들이 함께 한국을 찾았고, 수많은 기업인들이 물밑에서 계약과 협상을 추진했다. 구체적인 계약 현황과 앞으로의 파급력을 모두 확인할 순 없지만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기술이 전 세계로 더 널리 인정받을 수 있는 포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IT동아 남시현 기자 (sh@itdonga.com)

안양대학교가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박물관 2층 국회체험관에서 열린 '제1회 대한민국 인공지능 혁신대상'에서 종합대상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대한민국 인공지능 혁신대상'은 인공지능혁신대상위원회, 국제미래학회,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하고 국회 미래정책연구회와 대한민국 인공지능포럼이 공동 주관한다. K AI 휴머니즘과 혁신을 통해 K이니셔티브를 구현하는 것이 목표다. AI 기술개발 및 활용으로 혁신 활동과 업적을 쌓은 기업과 기관을 선정한다. 이날 행사에 오명 대회장(국가원로회의장), 임문영 대통령직속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상임부위원장, 진대제 자문위원장(전 정보통신부 장관), 안종배 조직위원장, 강병준 집행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축사 영상을 보냈다. 주영섭 심사위원장은 "전국 195개 기업과 기관이 신청했다. AI 기술혁신 성과와 인류 난제 해결, AI 미래선도 비전 등을 기준으로 엄격히 심사해 부문별 혁신대상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안양대는 대학발전 비전...

지난 5일(수) 방송된 한국경제TV ‘진짜 주식 3부’에서는 네 명의 전문가가 ‘내 마음속의 탑픽 종목’을 주제로 현 시점에서 주목할 만한 핵심 종목을 공개했다.이상로 대표는 국내 생성형 AI 시장에서 정책 수혜가 기대되는 마음AI를 탑픽으로 제시했다. 그는 “국내에서도 소버린 AI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보안 문제로 해외 LLM을 활용하기 어려운 기관·공공 부문 수요를 감안할 때, 자체 LLM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이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어 “네이버, 솔트룩스, 코난테크놀로지 등이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지만 마음AI는 초기부터 인공지능 학습 인프라를 갖춰 정책 방향에 가장 부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박우신 대표는 바이오 섹터에서 퓨쳐켐을 꼽았다. 그는 “글로벌 경쟁 약물인 플루빅토 대비 객관적 반응률(ORR)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며 “전이성 전립선암 신약 개발 과정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는 몇 안 되는 기업”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시장 약세 속에서도 하락폭이 제한적인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어 바닥권 매수 관점에서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비자 장벽’을 높인 상황에서 해외 이공계 인재들을 한국으로 유치하기 위한 취업 상담회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렸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컴퓨터역사박물관에서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과 함께 ‘커리어 커넥트 인 AI 웨이브’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현지에 있는 글로벌 기업 재직자나 명문대 이공계생을 대상으로 한국 정부의 해외 인재 유치 정책을 알리고 한국 기업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행사장에는 퓨리오사 AI, 망고부스트, 솔트룩스 등 AI·반도체 분야 한국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아마존, 메타, 구글, 애플 등 실리콘밸리 빅테크 재직자들도 다수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미 정부는 최근 전문직 취업비자(H-1B) 수수료를 기존 1000달러에서 10만 달러(약 1억4000만원)로 100배 인상하고 대면 인터뷰를 강화하는 등 비자 정책을 한층 강화했다. 미국 취업 여건이 악화한 상황에서 글로벌 인재들에게 한국을 유망한 대안으로 소개하는 행사가 열린 것이다.참석자들은 첨단 산업 분야 인재 유치를 목적으로 코트라가 발급하는 ‘케이테크 패스(K-Tech Pass)’에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 도입된 케이테크 패스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로봇 방위산업 AI 첨단모빌리티 등 8대 첨단산업 분야 해외 인재에 대해 ‘탑티어 비자’(F-2)와 국내 정착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사업이다. 세계 순위 100위권 내 대학 석·박사 출신의 8년 이상 경력자가 첨단산업 분야 국내 기업에 취직하면 최대 10년간 근로소득세 50% 감면, 자녀 외국인학교 정원 외 입학 허용 등의 특례를 적용 받을 수 있다.코트라는 지난 2월부터 해외인재유치센터를 설치해 케이테크 패스 발급 포함, 글로벌 인재 유치·정착을 지원해왔다. 권오형 코트라 실리콘밸리 무역관장은 “실리콘밸리 글로벌 인재들이 한국 첨단기업에 적극 도전하고 우리 기업도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현지 맞춤형 인재유치 행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비자 장벽’을 높인 상황에서 해외 이공계 인재들을 한국으로 유치하기 위한 취업 상담회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렸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컴퓨터역사박물관에서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과 함께 ‘커리어 커넥트 인 AI 웨이브’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이번 행사는 현지에 있는 글로벌 기업 재직자나 명문대 이공계생을 대상으로 한국 정부의 해외 인재 유치 정책을 알리고 한국 기업과의 네트워킹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행사장에는 퓨리오사 AI, 망고부스트, 솔트룩스 등 AI·반도체 분야 한국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아마존, 메타, 구글, 애플 등 실리콘밸리 빅테크 재직자들도 다수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미 정부는 최근 전문직 취업비자(H-1B) 수수료를 기존 1000달러에서 10만 달러(약 1억4000만원)로 100배 인상하고 대면 인터뷰를 강화하는 등 비자 정책을 한층 강화했다. 미국 취업 여건이 악화한 상황에서 글로벌 인재들에게 한국을 유망한 대안으로 소개하는 행사가 열린 것이다.참석자들은 첨단 산업 분야 인재 유치를 목적으로 코트라가 발급하는 ‘케이테크 패스(K-Tech Pass)’에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 도입된 케이테크 패스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바이오 로봇 방위산업 AI 첨단모빌리티 등 8대 첨단산업 분야 해외 인재에 대해 ‘탑티어 비자’(F-2)와 국내 정착 혜택을 제공하는 정부 사업이다. 세계 순위 100위권 내 대학 석·박사 출신의 8년 이상 경력자가 첨단산업 분야 국내 기업에 취직하면 최대 10년간 근로소득세 50% 감면, 자녀 외국인학교 정원 외 입학 허용 등의 특례를 적용 받을 수 있다.코트라는 지난 2월부터 해외인재유치센터를 설치해 케이테크 패스 발급 포함, 글로벌 인재 유치·정착을 지원해왔다. 권오형 코트라 실리콘밸리 무역관장은 “실리콘밸리 글로벌 인재들이 한국 첨단기업에 적극 도전하고 우리 기업도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현지 맞춤형 인재유치 행사를 계속하겠다”고 말했다.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솔트룩스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45,944,417,924 49.03% -6,631,928,392 28.63% -5,858,192,125 45.39%
2023.4Q 30,828,903,129 1.70% -9,292,178,997 -374.29% -10,727,358,908 -14.56%
2022.4Q 30,313,562,000 13.27% -1,959,183,700 49.48% -9,363,735,000 -82.94%
2021.4Q 26,762,790,000 23.57% -3,877,938,700 -1190.76% -5,118,493,000 -1096.89%

순매수량

개인: 74,730

기관: 1,284

외인: -75,684

누적 순매수량

개인: 627,052

기관: 83,503

외인: -729,563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4 74,730 1,284 -75,684
2025-11-13 33,922 3,205 -37,182
2025-11-12 -116,912 2,047 113,865
2025-11-11 23,813 2,025 -26,082
2025-11-10 10,503 1,593 -12,115
2025-11-07 28,969 1,113 -31,447
2025-11-06 69,978 4,767 -73,208
2025-11-05 14,279 -5,816 -8,547
2025-11-04 81,677 5,445 -87,147
2025-11-03 -65,909 14,037 43,817
2025-10-31 -106,778 6,571 99,730
2025-10-30 116,430 1,969 -124,368
2025-10-29 -79,773 2,239 77,621
2025-10-28 30,562 2,710 -34,385
2025-10-27 -114,570 3,082 114,063
2025-10-24 25,605 998 -26,331
2025-10-23 136,962 2,127 -138,525
2025-10-22 33,874 3,569 -39,769
2025-10-21 23,386 1,427 -25,524
2025-10-20 -33,229 2,374 30,260
2025-10-17 -3,699 -230 1,477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1-14 183,820 56,536 -259,481
2025-11-13 109,090 55,252 -183,797
2025-11-12 75,168 52,047 -146,615
2025-11-11 192,080 50,000 -260,480
2025-11-10 168,267 47,975 -234,398
2025-11-07 157,764 46,382 -222,283
2025-11-06 128,795 45,269 -190,836
2025-11-05 58,817 40,502 -117,628
2025-11-04 44,538 46,318 -109,081
2025-11-03 -37,139 40,873 -21,934
2025-10-31 28,770 26,836 -65,751
2025-10-30 135,548 20,265 -165,481
2025-10-29 19,118 18,296 -41,113
2025-10-28 98,891 16,057 -118,734
2025-10-27 68,329 13,347 -84,349
2025-10-24 182,899 10,265 -198,412
2025-10-23 157,294 9,267 -172,081
2025-10-22 20,332 7,140 -33,556
2025-10-21 -13,542 3,571 6,213
2025-10-20 -36,928 2,144 31,737
2025-10-17 -3,699 -230 1,477

솔트룩스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84,576,974,198 25.09% 74.91%

솔트룩스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Big Data Suite 52.1%
AI Suite 26.3%
기타 15.3%
Knowledge Studio [Graph DB Suite] 5.4%
Saltlux, ai, DATAMIXI [Cloud Service] 0.9%

솔트룩스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18,825 (9.07%)

최근 공매도 잔고: 187,404 (1.49%)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1-14 29,700 18,825 9.07%
2025-11-13 30,800 8,242 5.20%
2025-11-12 31,450 3,788 1.21%
2025-11-11 30,000 6,260 2.60%
2025-11-10 30,550 6,952 4.96%
2025-11-07 30,400 8,332 3.67%
2025-11-06 30,400 12,213 3.50%
2025-11-05 31,900 17,489 3.75%
2025-11-04 33,500 9,965 1.94%
2025-11-03 33,950 21,459 1.71%
2025-10-31 31,850 11,738 1.37%
2025-10-30 30,000 20,301 5.87%
2025-10-29 31,600 9,833 1.53%
2025-10-28 30,000 9,622 4.60%
2025-10-27 30,500 126 0.02%
2025-10-24 28,400 2,244 0.52%
2025-10-23 29,250 9,727 2.02%
2025-10-22 30,950 8,024 5.02%
2025-10-21 31,400 5,282 1.81%
2025-10-20 31,600 1,810 1.10%
2025-10-17 30,600 8,730 4.12%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11-12 31,450 187,404 1.49%
2025-11-11 30,000 233,457 1.85%
2025-11-10 30,550 214,631 1.70%
2025-11-07 30,400 197,293 1.57%
2025-11-06 30,400 176,433 1.40%
2025-11-05 31,900 129,451 1.03%
2025-11-04 33,500 130,598 1.04%
2025-11-03 33,950 131,298 1.04%
2025-10-31 31,850 129,079 1.02%
2025-10-30 30,000 142,812 1.13%
2025-10-29 31,600 83,048 0.66%
2025-10-28 30,000 126,338 1.00%
2025-10-27 30,500 118,502 0.94%
2025-10-24 28,400 357,091 2.84%
2025-10-23 29,250 381,841 3.03%
2025-10-22 30,950 322,112 2.56%
2025-10-21 31,400 305,034 2.42%
2025-10-20 31,600 299,491 2.38%
2025-10-17 30,600 323,108 2.63%
2025-10-16 31,400 316,237 2.58%
2025-10-15 32,200 300,229 2.45%

솔트룩스 업종 내 비교

IT서비스 업종(101개) 연간 기준

항목 솔트룩스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3,960.767 4,286.11 15위
PER(최근4분기) -56.898 5.67 87위
PBR 6.274 2.51 8위
ROE(최근4분기) -8.013 -6.6 7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4.435 -10.23 79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2.751 -17.74 7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8.299 95.89 79위
매출액(최근연도) 459.444 5,284.71 59위
영업이익(최근연도) -66.319 294.88 84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58.582 227.44 8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