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트룩스 로고

솔트룩스 (304100) 주가 및 종목 정보

솔트룩스 실시간 주가

솔트룩스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36,250 원
변동량 ▲ 2450.00 원
변동률 7.25%
거래량 1,740,716
거래대금 63,451,785,800 원

솔트룩스 일별 주가

솔트룩스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8/31/2025 31,150 31,250 30,200 30,200 172,282 5,281,016,150
9/1/2025 30,300 32,200 30,300 31,350 281,206 8,810,778,800
9/2/2025 31,400 31,400 29,900 30,200 303,041 9,168,692,175
9/3/2025 30,300 31,800 30,200 31,450 226,588 7,056,980,700
9/4/2025 31,700 32,950 31,650 32,600 551,795 17,942,573,500
9/7/2025 32,600 32,600 31,900 32,300 207,312 6,674,708,050
9/8/2025 32,300 33,700 31,850 33,550 469,176 15,527,303,625
9/9/2025 34,100 34,500 33,200 33,600 429,505 14,463,954,125
9/10/2025 33,900 34,800 33,100 33,800 532,860 18,142,111,825
9/11/2025 34,000 38,350 33,850 36,250 1,740,716 63,451,785,800

관련 테마

  • AI : 인공지능·빅데이터 전문 업체로, 소프트웨어를 개발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 클라우드컴퓨팅 : 인공지능, 빅데이터 전문 업체로,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비스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챗GPT : 인공지능, 빅데이터 솔루션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구축 혹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LG와 같은 국내 글로벌 기업을 넘어 BMW, ANA항공 등 세계적 기업들에게 기술을 제공하고 있음
  • 딥시크 : AI 및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으로, 딥시크의 AI 기술 발전에 따른 자연어 처리(NLP) 및 데이터 기반 서비스 수요 확대가 예상돼 관련주로 평가받음

솔트룩스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4,399억 191위 12,135,568 1.01% IT/ICT IT서비스 58,900 14,180

솔트룩스 기업 개요

솔트룩스는 B2B 및 B2G 인공지능, 빅데이터 솔루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종속기업은 솔트룩스파트너스, 광주인공지능센터, 솔트룩스벤처스, 플루닛 등이 있다. 주요 매출은 플랫폼 사업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AIX사업, CLS부문이 뒤를 잇고 있다. 당사는 기업 및 공공 등 B2B, B2G부문에서 AI Suite, Big Data Suite, GraphDB Suite및 Cloud Service의 4대 제품 및 사업 영역을 보유하고 있다.

최신 솔트룩스 관련 뉴스

[IT동아 김영우 기자] 세계에서 AI 혁신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다양한 AI 서비스, 그리고 AI 인프라(데이터센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중요성도 주목받는다. 이에 AI 인프라 공급 기업은 AI 서비스 기업과 파트너십을 적극 구축 중이다. 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레노버 ISG)도 예외가 아니다. 레노버 ISG는 9월 11일 시그니엘 서울에서 AI 전문기업 솔트룩스와 함께 '레노버 테크데이(Lenovo Tech Day - Smarter HPC for All)' 세미나를 열어 양사의 협업 내용을 소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레노버의 차세대 AI 인프라 전략과 솔트룩스의 초거대 언어모델(LLM) 기반 AI 솔루션 '루시아 GPT'가 소개됐으며, 국내 유수 기업의 임원진들이 다수 참석해 AI 인프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왼쪽)와 윤석준 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 부사장(오른쪽) / 출처=IT동아 취재진은 행사 당일 윤석준 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 부사장과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를 만나 양사의 파트너십 배경과 의미, 그리고 향후 비전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Q. 각사는 현재 어떤 시장에서 역할을 하고 있나? 윤석준 레노버 부사장(이하 윤 부사장): 저는 한국 레노버의 ISG(인프라스트럭처 솔루션 그룹) 총괄을 맡고 있다. 데이터센터, 엣지 서버 등을 비롯한 기업용 IT 인프라 사업 전반을 담당한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이하 이대표): "2000년에 창업해서 25년 동안 AI에만 몰두했다. 이를 통해 자연언어 처리, 텍스트 마이닝, 온톨로지 그리고 LLM에 이르기까지 AI에 대한 거의 모든 것, 이른바 ‘풀스택’의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해왔다. Q. 최근 많은 기업들이 AI의 도입을 두고 고민을 하고 있다. 이들의 주요 고민은 무엇일까? 이 대표: 큰 변화가 있고 도전과 기회가 있다는 걸 아는데 무엇부터 시작해야 될지를 잘 모르는 게 가장 큰 고충이다. AI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다. AI는 전반적인 패러다임의 변화,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부른다. 기업의 문화와 시스템을 바꿔야 하니 그게 가장 큰 고민이다." 미국 고용 시장에서는 아주 큰 변화가 일어난다. 카네기 멜론, 스탠포드, MIT 같은 미국 명문대의 작년 전체 졸업생 취업률이 50% 수준이라고 한다. 그리고 지난 2년 동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만 30만 명이 해고됐다는 소식도 들었는데 이 모두가 AI 기술의 대두 이후 벌어진 일이다. 윤 부사장: 해고된 사람이 많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AI 관련 인력은 부족하다. 회사의 요구와 취업하려고 하는 사람들의 요구가 서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러한 인재 부족과 더불어 전문성 부재, 초기 투자 비용 부담, 그리고 AI 모델 인프라 구축의 복잡성 등이 최근 기업들이 갖고 있는 고민이다. Q. AI 도입 과정에서 인프라의 성능이나 특징을 고려하지 없을 수 없다.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까? 이 대표: AI 부문은 소프트웨어, 데이터 기술 뿐만 아니라 인프라가 굉장히 중요하다. 엔비디아 같은 기업이 그렇게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것도 같은 이유다. 최근 들어서는 성능과 더불어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에너지를 아끼기 위한 새로운 아키텍처와 더불어 데이터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병렬 분산 인프라와 플랫폼들에 대한 고민도 커지고 있다. 윤 부사장: 전력소모와 발열이 너무 심하니 에어쿨(공랭식)에서 워터쿨(수랭식)으로 데이터센터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저희는 '넵튠'이라는 액체 관련 워터쿨링 솔루션을 갖고 있다. 최근에 만든 게 아니라 IBM 시절(레노버는 2014년 IBM 서버 사업부 인수)부터 가지고 있던 워터쿨링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Q. 레노버와 솔트룩스는 기업들의 고민 해결을 위해 협업하고 있다고 들었다. 구체적으로 어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나? 윤 부사장: "저희는 글로벌 시장 기준으로 약 150개 이상의 ISV(독립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와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ISV AI 이노베이터 프로그램'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파트너들과 상생 및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솔트룩스는 현재 저희의 AI 이노베이터에 ISV로 등록되어 있고, 함께 협력해서 코마케팅(공동마케팅)이나 PoC(개념 증명)를 하고 있다." 이 대표: 저희가 이번에 레노버와 함께 하며 준비한 것이 있다. 하드웨어 일체형 AI 어플라이언스(통합장비)를 개발해서 고객들이 겪는 초기의 구성 고민과 경제적인 진입 장벽을 해소하고자 했다. 이 제품의 이름은 '루시아 온(LUXIA-ON)'으로,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형태로 제공되며 최적화된 AI 시스템이 통합된다. 현재 레노버의 SR680a v4와 650a v4 서버에서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올해 하반기 정식 출시 예정이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왼쪽)와 윤석준 레노버 글로벌 테크놀로지 코리아 부사장(오른쪽) / 출처=IT동아 Q. AI 관련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는 기업은 정말 많다. 솔트룩스만이 가진 차별화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이 대표: 보통 LLM만 생각하는데. 저희 제품은 추론 AI 기술과 에이전틱 AI(자율 행동 AI), 그리고 딥 리서치(심층 조사)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정도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은 전 세계를 둘러봐도 몇 개 없다. 특히 온프레미스(자체 구축)형으로 공급할 수 있는 건 사실상 저희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몇몇 기업들은 보안 문제 때문에 클라우드를 이용 못하는 경우가 있다. 금융이라든가 공공기관 같은 곳에서는 특히 그렇다. 이름을 밝히기는 힘들지만 솔트룩스의 고객 중에는 은밀한 정보를 많이 다루는 공공기관도 적잖게 있다. 이번 신제품 역시 공공 조달에 등록할 예정이다. 이는 레노버 입장에서도 윈윈 전략이다. 공공 조달 시장은 외국 기업이나 대기업들에게 어느 정도 장벽이 있다. 국내 중소기업과의 협업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Q. 레노버의 파트너 선정 기준은 무엇인가? 솔트룩스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 윤 부사장: "매출액 같은 기계적인 기준보다는 종합적인 가능성을 본다. 다방면의 검토를 통해서 기준을 만족한다면 충분히 협업할 수 있다. 솔트룩스는 당연히 그 기준에 넘친다. 저희 AI 팀에서도 이미 솔트룩스를 잘 알고 있었다. 그 외에도 레노버는 리벨리온, 세이지, 모레, 모티프 등 다양한 국내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들과 협업하고 있다. Q. 중국 기업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레노버를 바라보는 시각도 분명히 있다. 이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윤 부사장: 레노버는 다른 중국 기업들과 분명한 차이가 있다. 저희는 IBM의 PC 및 서버 사업부를 인수했고, 이 과정에서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은 브랜드다. 이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레노버 ISG 본사는 지금도 IBM 시절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건물을 아직도 쓰고 있다. 이 대표: 그다지 신경 쓰지 않는다. 요즘 일정규모 이상의 기업은 대부분 다국적 기업인데 기업의 국적을 따지는 것이 큰 의미가 있지 않다. 실제 비즈니스를 하다 보면 그런 편견보다는 파트너사가 가지고 있는 역량이 더 중요했다. Q. 그 외에 주목할만한 새로운 사업이나 제품이 있다면 소개해 달라 이 대표: 저희는 이미 AWS의 마켓플레이스 등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AI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그 중에는 '구버(goover)'라고 해서 저희 자회사를 통해 선보인 AI 서비스도 있다. 챗봇이 아닌 에이전트 AI 서비스로, 에이전트 스스로가 조사 분석해서 리포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최근 선보인 에이전트 AI 서비스 '구버(goover)' / 출처=솔트룩스 서비스명은 '고오버(go over)'라는 의미인데 비공식적으로는 구글과 네이버를 합친 것만큼 깊게 파고들고 조사한다는 의미도 담았다. 구버는 출시된 지 두 달여 만에 이용자 100만 명을 넘었다. Q. AI 도입을 고민하고 있거나 망설이고 있는 국내 기업에게 조언한다면? 이 대표: 제가 요즘 국내 최고 의사결정자분들을 뵙곤 한다. 대통령님이나 장관님들, 그 외에 누구나 다 알만한 대기업 회장님들도 포함이다. 그분들의 요즘 고민은 “도대체 우리가 뭘 해야지 살아남을 수 있을까, 뭘 시작해야 될까”더라. 이럴 때는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고 앉아 있는 것보다는 뭐라도 조그맣게 시작하는 것이 좋다. 시장에서 경험을 얻으면 실패하든 성공하든지 간에 그 과정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이런 변화기, 혁신기에서는 이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본다. 윤 부사장: "예전에는 HPC(고성능컴퓨팅)나 AI를 일부 전문가만 이용했다. 하지만 지금은 모든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더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도 모든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AI 시대를 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IT동아 김영우 기자 (pengo@itdonga.com)

정부가 글로벌 AI(인공지능) 3대 강국을 목표로 AI 대전환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금융투자업계에서 AI 소프트웨어 종목에 투자하는 ETF를 잇따라 내놓는다. 기존 상장된 AI ETF들이 AI 반도체, 장비, 인프라 중심이라면 새로 등장하는 상품은 국내 AI 에이전트, 클라우드 등 소프트웨어 관련주들을 주로 담는다. 11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신한자산운용은 이달 SOL 한국AI소프트웨어 ETF를 상장할 예정이다. 하나자산운용도 이르면 이달 말 1Q K소버린AI ETF를 출시한다. 삼성자산운용도 소버린 AI 지수를 활용한...

와우넷에서 활동 중인 안인기 전문가(강호투자컨설팅), 현상준 전문가(벤투스인베스트먼트), 유일한 전문가(퀀트홀딩스)는 지난 9월 9일(화) 방송된 ‘진짜 주식 2부’에 출연해 “9월 증시는 정책 모멘텀과 신성장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며 각자의 탑픽 종목을 공개했다. 안인기 전문가는 AI 소프트웨어 대표주로 솔트룩스(304100)를 제시하며 “생성형 AI와 빅데이터 기반 성장 가능성이 크고, 최근 외국인과 기관 매수세 유입으로 반등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엔터 업종에서는 JYP Ent.(035900)를 언급하며 “K-팝 글로벌 성과와 정책적 교류 확대 기대가 겹쳐 긍정적인 흐름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현상준 전문가는 첫 종목으로 미투온(201490)을 꼽으며 “블록체인 메인넷과 STO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으로, 정기국회 관련 모멘텀이 부각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심 종목으로 핑거(163730)를 소개하며 “디지털 뱅킹 플랫폼과 CBDC 연계 경험을 바탕으로, 2분기 흑자 전환과 매출 성장세가 확인됐다”고 평가했다. 유일한 전문가는 정책 모멘텀을 강조하며 미래에셋증권(006800)을 탑픽으로 제시했다. 그는 “자사주 소각 법안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솟아오르던 엔비디아를 비롯한 인공지능(AI) 관련 미국 주식들의 상승세가 주춤해졌다. 지난달 샘 올트먼의 'AI 버블' 발언과 MIT의 'AI 성과 부족' 보고서, 그리고 최근 중국의 'AI 반도체 칩 독립 선언'까지 악재가 이어졌다. 서학개미들의 근심을 산 AI 주식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증시 전문가들은 AI에 대한 우려가 과장된데다, 미국과 중국의 'AI 디커플링'은 예견됐다면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AI 주식

한국경제TV 와우넷에서 활동 중인 박우신 전문가(제이트랜드 투자연구소), 김용덕 전문가(상한사령부), 김민재 전문가는 지난 9월 5일(금) 방송된 ‘진짜 주식 3부’에 출연해 “9월은 지수보다 종목별 모멘텀에 집중해야 한다”며 AI, 바이오, 로봇 등 핵심 업종에서 투자 전략을 제시했다. 박우신 전문가는 AI 소프트웨어 대표주로 솔트룩스(304100)를 꼽았다. 그는 “자체 엔진과 글로벌 이용자를 확보한 기업으로, 유료화 전환 시 빠른 수익 전환이 가능하다”며 “재무구조도 건실해 금리 인하 국면에서 가성비 높은 종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두 번째 관심 종목으로 뷰노(338220)를 제시하며 “의료 AI 분야에서 루닛과 함께 대표주로 꼽히며, 올해 흑자 전환 기대와 기관 수급 유입으로 본격적인 반등 구간에 들어섰다”고 강조했다. 김용덕 전문가는 바이오 대표 종목으로 리가켐바이오(141080)를 선택했다. 그는 “10조 원대 기술 수출 계약과 항종양 성과 발표를 앞두고 기대감이 높다”며 “알테오젠을 뛰어넘는 시총 도약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또한 두 번째 종목으로 삼천당제약(000250)을 언급하며 “황반변성 치료제 글로벌 허가와 비만치료

솔트룩스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45,944,417,924 49.03% -6,631,928,392 28.63% -5,858,192,125 45.39%
2023.4Q 30,828,903,129 1.70% -9,292,178,997 -374.29% -10,727,358,908 -14.56%
2022.4Q 30,313,562,000 13.27% -1,959,183,700 49.48% -9,363,735,000 -82.94%
2021.4Q 26,762,790,000 23.57% -3,877,938,700 -1190.76% -5,118,493,000 -1096.89%

순매수량

개인: -146,993

기관: 65,007

외인: 78,291

누적 순매수량

개인: 226,612

기관: 212,730

외인: -416,434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9-12 -146,993 65,007 78,291
2025-09-11 9,240 22,155 -29,857
2025-09-10 106,646 14,183 -122,600
2025-09-09 -8,797 6,902 1,892
2025-09-08 54,973 -1,213 -53,314
2025-09-05 52,290 1,669 -53,322
2025-09-04 -50,191 1,437 48,245
2025-09-03 110,896 25 -110,811
2025-09-02 30,508 539 -31,045
2025-09-01 -16,162 853 15,296
2025-08-29 9,094 -559 -8,476
2025-08-28 -5,126 1,744 3,327
2025-08-27 37,059 1,209 -38,329
2025-08-26 14,682 -3,357 -11,648
2025-08-25 11,321 1,186 -13,097
2025-08-22 -2,686 -6,514 8,429
2025-08-21 -11,584 -1,092 13,285
2025-08-20 -34,406 913 30,074
2025-08-19 -27,252 8,100 21,168
2025-08-18 -19,883 570 19,270
2025-08-14 -4,163 -9,071 13,070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09-12 109,466 104,686 -220,152
2025-09-11 256,459 39,679 -298,443
2025-09-10 247,219 17,524 -268,586
2025-09-09 140,573 3,341 -145,986
2025-09-08 149,370 -3,561 -147,878
2025-09-05 94,397 -2,348 -94,564
2025-09-04 42,107 -4,017 -41,242
2025-09-03 92,298 -5,454 -89,487
2025-09-02 -18,598 -5,479 21,324
2025-09-01 -49,106 -6,018 52,369
2025-08-29 -32,944 -6,871 37,073
2025-08-28 -42,038 -6,312 45,549
2025-08-27 -36,912 -8,056 42,222
2025-08-26 -73,971 -9,265 80,551
2025-08-25 -88,653 -5,908 92,199
2025-08-22 -99,974 -7,094 105,296
2025-08-21 -97,288 -580 96,867
2025-08-20 -85,704 512 83,582
2025-08-19 -51,298 -401 53,508
2025-08-18 -24,046 -8,501 32,340
2025-08-14 -4,163 -9,071 13,070

솔트룩스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84,576,974,198 25.09% 74.91%

솔트룩스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Big Data Suite 52.1%
AI Suite 26.3%
기타 15.3%
Knowledge Studio [Graph DB Suite] 5.4%
Saltlux, ai, DATAMIXI [Cloud Service] 0.9%

솔트룩스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5,483 (0.31%)

최근 공매도 잔고: 307,860 (2.54%)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09-12 36,250 5,483 0.31%
2025-09-11 33,800 7,294 1.37%
2025-09-10 33,600 23,908 5.57%
2025-09-09 33,550 7,458 1.59%
2025-09-08 32,300 3,608 1.74%
2025-09-05 32,600 6,488 1.18%
2025-09-04 31,450 3,502 1.55%
2025-09-03 30,200 36,393 12.01%
2025-09-02 31,350 31,561 11.22%
2025-09-01 30,200 19,464 11.30%
2025-08-29 31,400 18,075 11.76%
2025-08-28 31,200 14,644 13.23%
2025-08-27 31,750 20,780 13.96%
2025-08-26 31,650 15,335 11.99%
2025-08-25 31,850 22,409 10.14%
2025-08-22 30,450 14,736 10.44%
2025-08-21 30,600 2,409 2.47%
2025-08-20 30,650 5,383 3.47%
2025-08-19 31,350 2,022 1.48%
2025-08-18 31,800 1,241 1.03%
2025-08-14 32,400 6,076 4.35%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9-10 33,600 307,860 2.54%
2025-09-09 33,550 234,682 1.93%
2025-09-08 32,300 239,635 1.97%
2025-09-05 32,600 230,125 1.90%
2025-09-04 31,450 211,404 1.74%
2025-09-03 30,200 221,857 1.83%
2025-09-02 31,350 168,535 1.39%
2025-09-01 30,200 160,885 1.33%
2025-08-29 31,400 152,059 1.25%
2025-08-28 31,200 139,170 1.15%
2025-08-27 31,750 128,640 1.06%
2025-08-26 31,650 110,573 0.91%
2025-08-25 31,850 96,540 0.80%
2025-08-22 30,450 77,005 0.63%
2025-08-21 30,600 80,118 0.66%
2025-08-20 30,650 88,281 0.73%
2025-08-19 31,350 96,971 0.80%
2025-08-18 31,800 111,199 0.92%
2025-08-14 32,400 116,038 0.96%
2025-08-13 32,200 120,223 0.99%
2025-08-12 32,100 119,180 0.98%

솔트룩스 업종 내 비교

IT서비스 업종(101개) 연간 기준

항목 솔트룩스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4,101.822 4,155.89 16위
PER(최근4분기) -61.149 5.72 94위
PBR 6.743 2.5 8위
ROE(최근4분기) -8.013 -6.6 72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14.435 -10.23 79위
순이익률(최근연도) -12.751 -17.74 79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8.299 95.89 79위
매출액(최근연도) 459.444 5,284.71 59위
영업이익(최근연도) -66.319 294.88 84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58.582 227.44 8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