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기술투자 로고

우리기술투자 (041190) 주가 및 종목 정보

우리기술투자 실시간 주가

우리기술투자 현재가 상세 정보
항목
현재가 10,920 원
변동량 ▼ 100.00 원
변동률 -0.91%
거래량 2,801,615
거래대금 30,969,952,905 원

우리기술투자 일별 주가

우리기술투자의 과거 일별 주가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
9/18/2025 11,270 11,500 11,160 11,200 1,254,669 14,189,863,315
9/21/2025 11,200 11,290 11,020 11,180 632,548 7,058,808,830
9/22/2025 11,130 11,180 10,740 10,830 965,751 10,555,242,765
9/23/2025 10,780 10,920 10,580 10,900 704,678 7,608,710,820
9/24/2025 10,870 11,330 9,500 10,020 8,538,935 87,253,153,430
9/25/2025 10,350 10,490 9,960 10,100 2,151,887 22,042,931,945
9/28/2025 10,790 12,400 10,750 12,160 22,890,930 271,409,246,690
9/29/2025 13,040 13,140 11,990 12,050 9,298,930 115,565,217,600
9/30/2025 12,210 12,280 11,010 11,020 5,842,141 66,833,118,040
10/1/2025 11,310 11,320 10,840 10,920 2,801,615 30,969,952,905

관련 테마

  • 가상화폐 :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두나무가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렉스(Bittrex)와 독점 제휴를 통해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중
  • 창투사 : 벤처 투자, 중소기업 투자, 엔젤 투자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는 점에 관련주로 부각됨
  • 두나무 : 벤처 투자와 금융 사업에 종사하는 한국 기반 창업 투자 회사로 두나무 지분을 7.6% 보유 중임
  • STO : STO 플랫폼 연관 기업인 람다256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인 두나무의 자회사
  • 스테이블코인 : 정부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 기대감과 가상자산 분야 성장 가능성으로 주목받은 바 있음

우리기술투자 회사 정보

시장 시가총액 기업순위 주식수 외국인 비중 산업군 세부 산업군 52주 최고 52주 최저
kosdaq 9,172억 76위 84,000,000 5.19% 금융 창업투자 13,140 5,460

우리기술투자 기업 개요

우리기술투자는 1996년 12월 설립되어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신기술사업금융업, 시설대여업 및 할부금융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매출은 신기술금융수익을 통해 발생하고 있다. 우리타이러스 글로벌 핀테크 투자조합 13호의 결성을 시작으로 총 4개의 신기술투자조합을 결성하였으며 투자주식 회수 및 신기술금융자산 평가익 증가로 인해 당기순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신 우리기술투자 관련 뉴스

송치형 두나무 회장의 주주 표심잡기 행보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선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기업가치가 네이버파이낸셜과 합병 이후에는 최소 1.5배 이상 치솟아 대다수 주주들이 찬성표를 던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합병안건의 특별결의 통과 요건이 참석주주의 3분의 2에 달해 주요주주 이탈 최소화를 위한 송 회장의 굳히기 행보가 예상되고 있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두나무 지분 5.94%를 보유한 한화투자증권은 복수의 글로벌 투자은행(IB)과 접촉해 지분매각 가능성을 타진 중이다. 앞서 한화투자증권은 지난 2021년 583억원을 투자해 두나무 지분을 확보했다. 현재 두나무의 기업가치가 11조~16조원(실거래 기준)으로 평가되는 만큼, 한화투자증권은 최소 10배 이상 평가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한화투자증권의

1. 증시 중요 뉴스 1) 뉴욕증시, 셧다운 우려에도 뜨거운 AI 테마…상승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2거래일 연속 강세로 마감.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가능성이 남아 있는 가운데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주가지수는 탄력을 이어가. 2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8.78포인트(0.15%) 오른 46,136.07에 거래를 마감.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7.51포인트(0.26%) 상승한 6,661.21, 나스닥종합지수는 107.09포인트(0.48%) 오른 22,591.15에 장을 마쳐. 지난주 엔비디아와 오픈AI 간 1천억달러 규모 계약에 '순환출자' 의구심이 제기되면서 기술주 투자 심리가 약해진 바 있어. 하지만 엔비디아는 이날 2% 상승하며 AI 테마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보여줬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도 1% 안팎의 상승세를 기록. - 바클레이즈의 베누 크리슈나 미국 주식 전략 총괄은 "AI 설비투자는 둔화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다른 산업들도 AI 인프라 투자 급증의 수혜를 입고 있다"고 주장. 다만 기술주에 대한 경계감도 여전한 듯 기술주

[서울과기대 x 동아닷컴 공동기획]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이하 서울과기대)는 예비·초기창업패키지와 메이커스페이스, 글로벌 협업 등 스타트업의 성장을 돕는 여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나아가 동아닷컴과 함께 스타트업의 해외 홍보와 진출을 도울 글로벌 뉴스를 제공합니다.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을 우리나라 내외에 소개합니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중소기업이 수출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바이어 및 현지 파트너 발굴이다. 중소기업들은 해외 파트너를 찾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한다. 하지만 전시회 참가, 네트워크 등 기존 영업 방식은 거래 성사율이 낮고 소규모 계약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인공지능(AI) 영업 에이전트가 해외영업 시장에서 주목받는 이유다. 인공지능 영업 에이전트는 해외 고객 추천, 영업 메시지 전송, 미팅 연결 등을 자동화해 중소기업 영업 담당자가 직접 발품을 팔지 않고도 바이어 확보가 가능하다. 김진성 딥세일즈 대표 / 출처=IT동아 많은 중소기업이 수출을 시도하지만 바이어와 계약이 성사될 확률은 낮다. 통계개발원이 2024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수출을 시도하는 소상공인 3명 중 1명은 1년 안에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을 판매하고 싶어도 구매해 줄 바이어를 찾지 못한 게 원인 중 하나다. 딥세일즈는 기업 대상(B2B) 해외영업 에이전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글로벌 수출 관련 데이터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 기업의 수출 영업 활동을 지원한다. 이 설루션은 제조사 정보를 학습한 후 거래 성사율이 높은 잠재 바이어를 예측해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다. 딥세일즈는 어떻게 기업의 수출 영업 환경의 혁신을 가져왔을까? 김진성 딥세일즈 대표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쉬지 않고 글로벌 무대를 누비는 AI 영업 에이전트 ‘셀리’ “대학 시절 온라인 마케팅 사업을 시작으로 실리콘밸리, 홍콩, 상하이, 미국, 유럽 등에서 다양한 사업을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영업 활동이 어렵다는 점을 깊이 이해하게 됐습니다. 문제는 해외 영업 구조입니다.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 대다수는 바이어 발굴 단계부터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에 주목했고, 딥세일즈 설립으로 이어지게 됐습니다.” 김진성 대표는 중소기업들이 경쟁력 갖춘 상품과 서비스를 갖췄음에도 해외 진출의 첫 단계인 '바이어 발굴'에서 좌절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문제를 혁신하기 위해 딥세일즈를 설립했다. 김진성 대표는 파편화된 바이어 정보에 주목했다. 전 세계에 흩어진 정보를 모으고 정보 신뢰성을 구축하면 기업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데이터를 찾아 제공하는 게 아니라 이를 의미 있는 영업 기회로 만들어주는 과정이 중요하다 본 것이다. 셀리는 기업의 해외 영업팀원 역할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영업 에이전트다 / 출처=딥세일즈 딥세일즈가 중소기업의 수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해답은 인공지능 영업 에이전트 셀리다. 셀리는 기업의 해외 영업팀원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가상의 영업개발 담당자(BDR - Business Development Representative)인 셈이다. 셀리의 업무 프로세스는 체계적이다. 먼저 고객사 제품과 사업 정보를 학습한 후, 방대한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 가장 이상적인 잠재 바이어를 발굴한다. 이후, 해당 바이어의 모국어로 개인화된 이메일을 작성해 발송하고, 초기 응답을 처리하며 관심 있는 잠재 고객을 선별한다. 마지막으로 유의미한 사업적 논의가 가능한 단계에 이르면 셀리는 고객사와 바이어 간의 미팅을 주선하며 임무를 완수한다. 유연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도록 딥세일즈는 글로벌 B2B 담당자 정보를 포함한 영업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8000만 건 이상 구축했다. 전 세계 약 500개의 공공 데이터 사이트, 커머스 플랫폼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한 결과다. 수집한 데이터는 사내 데이터 엔지니어링팀이 추가로 정제, 전처리, 라벨링하는 과정을 거쳐 신뢰도를 높였다. 바이어를 검색 외에 거래 성사 확률을 예측하는 과정은 딥랭크(DeepRank)라 불리는 독자 개발 알고리즘 내에서 처리된다. 딥랭크는 산업별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는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분야 바이어를 찾을 때는 FDA, CE 등 제품 인증서 보유 여부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패션 분야에서는 브랜드 인지도 관련 지표를 중요하게 평가한다. 이러한 산업별 맞춤 분석은 초기 영업 정확성을 높여준다. 산업별 특화 기능 및 보안 강화에 집중 딥세일즈의 고민은 무엇일까? 김진성 대표는 현재 주요 도전 과제로 인공지능 에이전트 셀리의 산업 분야 확대 적용을 위한 기술 고도화를 언급했다. 일반 영업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아니라 화장품, 전자, 기계, 소프트웨어 등 각 산업 분야의 특성과 영업 방식을 깊이 이해하는 '산업별 전문 영업 에이전트'로 만드는 게 목표다. 또 다른 도전 과제는 높은 데이터 품질 유지와 각국의 규제 준수다.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하려면 국가별로 상이한 데이터 품질 기준과 개인정보보호 규제에 대응 가능한 역량이 필요하다. 딥세일즈는 ▲유럽 개인정보보호 일반 규정(GDPR) ▲캘리포니아 소비자 개인정보 보호법(CCPA) ▲ISO 27001ㆍ27701 등 국제 정보 보호 표준 인증을 따르지만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국제 규제 환경에 능동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딥세일즈는 산업 특성을 학습한 특화 모델 구축에 한창이다 / 출처=딥세일즈 딥세일즈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나섰다. 셀리는 각 산업의 전문 용어, 영업 주기, 고객 특성을 학습한 특화 모델을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고객이 마치 해당 산업의 베테랑 영업 전문가와 함께 일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뒀다. 셀리의 역할을 세분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예를 들어, 바이어를 발굴하는 에이전트, 맞춤형 이메일을 작성하는 에이전트, 발송 및 응답을 관리하는 에이전트가 각자 역할을 수행하며 하나의 팀처럼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방식이다. 김진성 대표는 “셀리가 단일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아닌 여러 전문 에이전트들의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구상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바이어들이 선호하는 언어 지원 확대도 진행 중이다. 현재 셀리는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일본어, 한국어 등 5개 언어를 구사하지만 향후 프랑스어, 아랍어를 추가할 계획이다. 셀리의 북미, 유럽, 중동 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바이어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일에도 속도를 낼 예정이다. 셀리로 기업의 성공적인 글로벌 무역 활동 지원할 것 딥세일즈는 최근 1년간 전체 사용자 수 3배, 유료 고객 수 4배 이상 증가하며 성장 동력을 구축했다. 김진성 대표는 “딥세일즈의 고객들은 일반적인 영업 방식 대비 2배 이상 빠르게 바이어 정보를 확보하고, 영업 기회 전환율을 20%~30% 이상 높이는 등 성과를 냈습니다. 기업들이 더 많은 영업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에 힘쓰겠습니다”라고 말했다. 딥세일즈의 성과는 투자 시장에서도 이어졌다. 딥세일즈는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등으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한 데 이어 예스24, 우리기술투자 등으로부터 20억 원 규모의 프리-A 투자를 유치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수상,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대상, AWS 생성형 인공지능 스포트라이트 프로그램 선정 등 수상 및 지원 사업 선정도 이어졌다. 김진성 딥세일즈 대표 / 출처=IT동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글로벌 지원 프로그램은 딥세일즈의 해외 시장 진출의 촉매제 역할을 했다. AWS 정글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은 딥세일즈는 글로벌 전시회 참가 기회와 현지 바이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었다. 미국 현지 바이어와 직접 연결되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고 매출도 발생했다. 김진성 대표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AWS 정글 프로그램의 도움으로 딥세일즈의 기술력과 사업 모델이 해외에서도 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국내 해외 영업사원 수는 약 20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평균 연봉은 약 5000만 원 정도인데요. 이를 계산하면 해외 영업사원 인건비는 약 10조 원에 달합니다. 저는 이 시장이 점차 에이전트화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에이전트 시장은 연간 40% 이상 성장 중입니다. 딥세일즈는 영업 에이전트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업이 되는 게 목표입니다." 김진성 대표는 모든 기업들이 효율적이고 쉽게 데이터 기반의 글로벌 무역이 가능한 기틀을 다지는 게 목표다. 인공지능 영업 에이전트 셀리가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줄 예정이다. IT동아 강형석 기자 (redbk@itdonga.com)

우리기술투자 매출 정보

날짜 매출액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순이익 증가율
2024.4Q 192,251,177,787 12.60% 175,683,516,935 14.13% 147,737,745,200 21.11%
2023.4Q 170,741,464,684 382.97% 153,930,017,615 135.72% 121,984,148,418 137.21%
2022.4Q 35,352,148,402 -95.71% -430,887,571,032 -154.36% -327,824,767,285 -152.92%
2021.4Q 824,156,954,553 1744.20% 792,614,757,750 2064.86% 619,422,529,993 2065.16%

순매수량

개인: 488,871

기관: -63,681

외인: -432,360

누적 순매수량

개인: -2,028,089

기관: -754,279

외인: 2,585,273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02 488,871 -63,681 -432,360
2025-10-01 1,344,750 -150,225 -706,874
2025-09-30 596,658 -3,140 -687,561
2025-09-29 -1,605,050 360,718 1,410,381
2025-09-26 125,471 86,439 -238,716
2025-09-25 1,550,641 -299,055 -1,237,885
2025-09-24 -7,361 -51,696 44,945
2025-09-23 -41,643 -24,488 29,994
2025-09-22 -142,595 40,109 101,921
2025-09-19 115,459 -18,732 -107,490
2025-09-18 -120,657 -7,873 111,533
2025-09-17 20,561 26,452 -57,847
2025-09-16 -16,932 29,354 17,592
2025-09-15 -77,302 -62,417 81,875
2025-09-12 217,611 30,895 -258,549
2025-09-11 -247,098 23,221 213,344
2025-09-10 -499,382 -6,921 425,783
2025-09-09 736,003 -253,009 -455,005
2025-09-08 50,460 65,903 -129,108
2025-09-05 -589,464 309,509 208,995
2025-09-04 -709,290 -13,844 711,848

누적 순매수

날짜 개인 기관 외인
2025-10-02 1,189,711 17,519 -953,184
2025-10-01 700,840 81,200 -520,824
2025-09-30 -643,910 231,425 186,050
2025-09-29 -1,240,568 234,565 873,611
2025-09-26 364,482 -126,153 -536,770
2025-09-25 239,011 -212,592 -298,054
2025-09-24 -1,311,630 86,463 939,831
2025-09-23 -1,304,269 138,159 894,886
2025-09-22 -1,262,626 162,647 864,892
2025-09-19 -1,120,031 122,538 762,971
2025-09-18 -1,235,490 141,270 870,461
2025-09-17 -1,114,833 149,143 758,928
2025-09-16 -1,135,394 122,691 816,775
2025-09-15 -1,118,462 93,337 799,183
2025-09-12 -1,041,160 155,754 717,308
2025-09-11 -1,258,771 124,859 975,857
2025-09-10 -1,011,673 101,638 762,513
2025-09-09 -512,291 108,559 336,730
2025-09-08 -1,248,294 361,568 791,735
2025-09-05 -1,298,754 295,665 920,843
2025-09-04 -709,290 -13,844 711,848

우리기술투자 자산 비율

자산총계 부채비율 자본비율
980,763,432,685 17.43% 82.57%

우리기술투자 매출 구성

구성 요소 비율
신기술금융수익 99.55%
기타영업수익 0.37%
투자조합수익 0.08%

우리기술투자 공매도 현황

최근 공매도 거래량: 66,154 (1.28%)

최근 공매도 잔고: 859,495 (1.02%)

공매도 거래량

날짜 종가 공매도량 공매도비중
2025-10-02 10,920 66,154 1.28%
2025-10-01 11,020 151,834 1.47%
2025-09-30 12,050 145,598 0.84%
2025-09-29 12,160 133,556 0.32%
2025-09-26 10,100 137,127 3.35%
2025-09-25 10,020 142,032 0.99%
2025-09-24 10,900 23,255 1.95%
2025-09-23 10,830 20,793 1.20%
2025-09-22 11,180 13,477 1.16%
2025-09-19 11,200 29,006 1.32%
2025-09-18 11,210 9,791 0.41%
2025-09-17 11,040 43,250 2.28%
2025-09-16 11,030 54,592 1.84%
2025-09-15 11,030 29,545 1.55%
2025-09-12 10,880 36,811 1.77%
2025-09-11 10,970 33,164 1.78%
2025-09-10 10,810 31,559 1.01%
2025-09-09 10,230 85,133 1.87%
2025-09-08 10,960 37,381 3.11%
2025-09-05 10,990 34,852 1.11%
2025-09-04 10,700 24,753 0.77%

공매도 잔고

날짜 종가 공매도 잔고 공매도 비중
2025-09-30 12,050 859,495 1.02%
2025-09-29 12,160 803,507 0.96%
2025-09-26 10,100 1,034,398 1.23%
2025-09-25 10,020 873,697 1.04%
2025-09-24 10,900 769,317 0.92%
2025-09-23 10,830 763,601 0.91%
2025-09-22 11,180 776,254 0.92%
2025-09-19 11,200 789,459 0.94%
2025-09-18 11,210 841,575 1.00%
2025-09-17 11,040 859,887 1.02%
2025-09-16 11,030 877,053 1.04%
2025-09-15 11,030 901,881 1.07%
2025-09-12 10,880 919,350 1.09%
2025-09-11 10,970 934,682 1.11%
2025-09-10 10,810 1,025,547 1.22%
2025-09-09 10,230 1,043,848 1.24%
2025-09-08 10,960 1,047,907 1.25%
2025-09-05 10,990 1,047,565 1.25%
2025-09-04 10,700 1,045,405 1.24%
2025-09-03 10,120 1,155,450 1.38%
2025-09-02 10,090 1,162,091 1.38%

우리기술투자 업종 내 비교

창업투자 업종(17개) 연간 기준

항목 우리기술투자 업종 평균 업종 내 순위
시가총액 9,172.8 1,706.61 1위
PER(최근4분기) 4.255 21.49 13위
PBR 1.05 1 8위
ROE(최근4분기) 24.886 5.95 1위
배당수익률(최근연도) - - -위
영업이익률(최근연도) 91.382 27.24 1위
순이익률(최근연도) 76.846 24.45 1위
부채비율(최근연도) 20.653 30.21 8위
매출액(최근연도) 1,922.512 454.66 2위
영업이익(최근연도) 1,756.835 165.46 1위
당기순이익(최근연도) 1,477.377 141.83 1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