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볼트(097780) 종목뉴스

제목 일시 요약
에코볼트, 작년 영업손실 214억…전년比 11.89%↑ 2025-02-24T09:01:33+00:00

에코볼트(097780)는 지난해 영업손실이 214억 3113만 8236원으로 전년 대비 11.89% 증가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2251억 1026만 2173원으로 전년 대비 24.95% 증가했다.

오성첨단소재, 210억 규모 유형자산 처분 결정 2024-12-24T06:08:13+00:00

오성첨단소재(052420)는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건물 및 토지를 210억원 규모로 처분하기로 결정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는 자산 총액 대비 7.25%에 해당한다. 취득목적에 대해 회사는 “사업역량 집중 및 현금유동성 확보”이라고 밝혔다. 처분예정일자는 오는 2025년 3월31일이며, 거래 상대방은 관계사인 에코볼트 주식회사다.

에이프로, 에이프로파트너스·에코볼트 흡수합병 2024-09-26T07:56:39+00:00

에이프로(262260)는 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100% 자회사인 에이프로파트너스와 에코볼트를 흡수합병한다고 26일 공시했다. 합병비율은 에이프로 대 에이프로파트너스 1대 0, 에이프로 대 에코볼트 1대 0이다. 합병기일은 오는 12월 2일이다. 회사 측은 “합병 완료 시 에이프로는 존속회사로 남아있고 소멸회사인 에이프로파트너스와 에코볼트는 합병 후 해...

금호에이치티, 자율주행 확대 고성장 실내 무드등 시장 진출…“첫 수주 추진” 2024-09-25T01:11:43+00:00

자동차 전장기업 금호에이치티(214330)가 국내 완성차 업체의 1차 벤더인 ‘S’사로부터 실내 무드등 수주를 추진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금호에이치티는 이미 벤더 등록을 마쳤으며, S사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내 무드등 개발이 막바지 단계에 있다. 금호에이치티는 국내 2차 벤더사 중 유일하게 설계 및 디자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대규모 CA...

에코볼트, 233억 규모 평택시 소재 토지·건물 처분 결정 2024-08-26T06:54:17+00:00

에코볼트(097780)는 경기도 평택시 소재 토지와 건물 등 유형자산을 233억원 규모로 처분했다고 26일 공시했다. 이는 자산 총액 대비 6.97%에 해당한다. 처분목적은 유휴 부동산 매각을 통한 재무건전성 확보다. 처분예정일자는 12월 6일이다.

에코볼트, 지난해 매출액 1800억…“글로벌 시장서 매출 증대 기대” 2024-02-29T01:27:29+00:00

자동차용 조명 전문기업 에코볼트(097780)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800억원 달성 등 자동차 전장부문으로 사업전환 이후에도 안정적인 매출을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에코볼트는 자동차 헤드램프, 실내등, 정지등, 안개등, 방향지시 등에 장착되는 차량용 LED모듈을 개발, 생산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은 차종별 부품 공급업체로 선정되면 배정된 차량의 단...

[올빼미공시] 쏠리드, 15.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등 2024-02-21T23:20:22+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SBI인베스트먼트(019550) - 23년 개별기준 매출액 292.76억원(전년대비 +73.03%), 영업이익 85.39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83.18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EG(037370) - 23년 연결기준 매출액 619.54억원(전년대비 -11.73%), 영업손실 144.5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23.37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BYC(001460) - 23년 연결기준 매출액 1,684.01억원(전년대비 -0.75%), 영업이익 274.98억원(전년대비 +8.5

금호에이치티, 지난해 매출 3643억…해외 수주에 최대 실적 달성 2024-02-07T04:45:19+00:00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 금호에이치티(214330)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3643억원, 영업이익 107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전년 대비 각각 31.2%, 15.9% 증가했다. 역대 최대 매출액으로 해외 진출 성과가 실적으로 나타났다.금호에이치티 관계자는 “해외 수주 확대로 주요 제품 판매량 증대와 BMS(Battery Management Syst...

금호에이치티, 지난해 매출 3643억원 최대 실적 "해외수주 증가" 2024-02-07T04:38:42+00:00

[파이낸셜뉴스] 금호에이치티가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액을 기록하는 등 해외 진출에 성과를 보이고 있다. 7일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 금호에이치티는 지난해 실적을 집계한 결과 연결기준 매출 3643억원, 영업이익 107억원을 기록했다고 전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1.2%, 15.9%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해외 수주 확대로 주요 제품 판매량 증대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PCB ASSY 공급에 따른 신규 매출이 실적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며 “특히 해외 법인의 인도 신규 고객사 확보와 제품 공급이 실적 성장을 견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호에이치티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부문 매출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고 올해 해외 자동차 신흥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됨에 따라 주요 제품 공급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 11

[올빼미공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지피씨알 대상 694,444주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2024-01-14T23:31:00+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 -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지피씨알 대상 694,444주(1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발행가는 2,880원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2월7일이다.■ 성안(011300) - 자산(토지)재평가 실시를 결정했다.■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003060) - 90% 비율의 감자를 결정했다. 기준일은 2024년 3월28일이며, 상장예정일은 2024년 4월16일이다. 또한,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65,753,081주(1,171.71억원) 규모

[코스닥 공시] 원준 / 에코볼트 / 에코앤드림 2024-01-12T08:29:16+00:00

◇원준=에스엠랩과 166억4000만원 규모 열처리 장비 공급 계약. ◇에코볼트=(주)에스에프이노텍 흡수 합병. ◇에코앤드림=1800억원 규모 전구체 생산시설 증설 투자.

에코볼트, 에스에프이노텍 흡수합병 결정 2024-01-12T07:19:32+00:00

에코볼트(097780)는 에스에프이노텍을 소규모합병한다고 12일 공시했다. 합병회사인 에코볼트는 존속회사로 남아 있고, 피합병회사인 에스에프이노텍은 합병 후 소멸한다. 합병회사와 피합병회사의 합병비율은 1대 0이다. 이번 합병으로 인해 합병회사가 발행한 신주는 없으며 합병 완료 후 아이윈플러스의 최대주주 변경은 없다. 합병기일은 오는 3월 29일이다. 회...

금호에이치티, 인도법인 설립 완료…"전기차 부품 수요 대비 일환" 2023-11-28T00:06:00+00:00

[파이낸셜뉴스] 금호에이치티가 인도 내 확대 증산될 전기차 부품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인도 법인 설립을 완료했다. 28일 금호에이치티는 인도 첸나이 지역에 현지법인 설립을 완료하고 공장 부지, 건물 확보 및 SMT 공장 설비 투자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첸나이 지역은 국내 완성차 기업, 주요 협력사 등이 생산 시설을 두고 있고 인도 정부가 전기차 생산 촉진을 위해 메가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최근 전기차 관련 투자가 지속되고 있다. 이 회사의 인도 SMT 공장은 LED모듈 생산라인 5개가 설치될 예정으로 향후 설비 증설을 고려해 충분한 공장 면적을 확보했다. 2024년 상반기 설비 공사 및 셋업을 완료하고 자동차용 LED모듈 제품을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연간 3천만 달러 매출액 실현이 기대된다. 금호에이치티는 인

[1122데이터분석] 한국무브넥스, 한국항공우주 등 기술적 분석 특징주 2023-11-22T02:05:01+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오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코스피)코스피 기술적 분석 특징주로 적출빈도가 높은 종목은 한국무브넥스(010100), 한국항공우주(047810), 조일알미늄(018470), 에넥스(011090) 등이 있다.최근 3개월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노루페인트(090350), 롯데웰푸드(280360), 효성(004800), 한국쉘석유(002960), HDC현대EP(089470)다. 최근 1년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에코프로머티(450080), HDC현대산업개발(294870), 금호타이어(073240)이다.최근 10

[특징주]에코볼트, 최대주주 대상 50억 유증 결정에 강세 2023-11-22T00:07:03+00:00

에코볼트가 장 초반 강세다. 최대주주인 오성첨단소재를 대상으로 5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2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오전 9시5분 현재 에코볼트(097780)는 전 거래일보다 27.42% 오른 1380원에 거래되고 있다.에코볼트는 전날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 5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최대주주인 오성첨단소재를 대상으로 3자배정 ...

에코볼트, 최대주주 대상 50억원 유증 2023-11-21T07:27:04+00:00

에코볼트(097780)는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 5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최대주주인 오성첨단소재를 대상으로 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21일 공시했다.신주는 500만주이며 주당 1000원이다.

[0831 데이터분석] CJ, 효성중공업 등 기술적 분석 특징주 2023-08-31T02:29:57+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오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코스피)코스피 기술적 분석 특징주로 적출빈도가 높은 종목은 CJ(001040), 송원산업(004430), 효성중공업(298040) 등이 있다.최근 3개월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JB금융지주(175330), NICE(034310)다. 최근 1년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디와이(013570), 일진전기(103590)다.최근 10일 평균 거래량 대비 당일 거래량 급증 종목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 이수화학(005950), 송원산업(004430), JB금융지주(175330),

[0830 데이터분석] 디와이, 현대오토에버 등 기술적 분석 특징주 2023-08-30T01:59:22+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오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코스피)코스피 기술적 분석 특징주로 적출빈도가 높은 종목은 디와이(013570), 현대오토에버(307950), 이수스페셜티케미컬(457190), SK바이오팜(326030), LG화학(051910), 카카오뱅크(323410), 코스모화학(005420) 등이 있다.최근 3개월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디와이(013570), 세방전지(004490), NICE(034310)다. 최근 1년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SK네트웍스(001740), 한샘(009240)이다.최근 10일 평균 거래

[0829 데이터분석] 동국제강, HMM 등 기술적 분석 특징주 2023-08-29T02:35:11+00:00

[인포스탁데일리=박상철 기자]▷오전장 기술적 분석 특징주(코스피)코스피 기술적 분석 특징주로 적출빈도가 높은 종목은 동국제강(460860), HMM(011200), 셀트리온(068270), 현대모비스(012330), 현대차(005380) 등이 있다.최근 3개월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KT(030200), 기업은행(024110), 더존비즈온(012510), 세방전지(004490), 스틱인베스트먼트(026890), JB금융지주(175330), 대신증권(003540), NICE(034310)다.최근 1년 기준 고점 돌파 종목은 메리츠금융

금호에이치티, 인도 현지법인 설립∙생산 확대 추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도” 2023-08-28T00:15:01+00:00

[파이낸셜뉴스] 금호에이치티가 전기차 부품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인도 법인 설립을 추진한다. 28일 자동차 부품 기업 금호에이치티는 최근 글로벌 완성차 기업의 인도 생산, 판매 확대 등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해외법인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인도 현지법인 설립, 생산시설 확보 등에 약 300억원 규모의 투자를 검토 중이다. 투자 예정 지역의 공장 부지와 인프라 확인을 위해 현지 답사도 완료했다. 금호에이치티는 올해 11월까지 기본 투자를 완료하고 2024년 제품 양산 및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해 인도 승용차 판매량은 457만대, 승용차 생산량은 390만대다. 인도 정부는 탄소배출량 감소와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차 생산확대 및 수요촉진 등 관련 인프라 확충 정책을 발표했다. 오는 2030년까지 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