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주가 전망 : 실적 개선 기대감

작성일: 2025-08-22T09:02:41.947039+00:00


카카오 주가는 지난 5월부터 6월 사이 불과 한 달 만에 2배 가까이 급등한 뒤 박스권에 진입한 모습입니다.

5월 이전과 비교하면 변동성이 2배 이상 커졌다는 점이 눈에 띄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최근 카카오 주가에 영향을 끼친 주요 이슈 3가지와, 앞으로 주가 전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카카오 최근 이슈 1. / 국가대표 AI 사업자 탈락


8월 5일, 카카오는 국가대표 AI 사업자 선정에서 탈락했습니다.

이 소식이 충격적으로 다가온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카카오 주주 상당수가 “당연히 선정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결과가 달랐다는 점.
둘째, 5월 주가가 단기간에 2배 뛰었던 배경 중 하나가 바로 ‘국가대표 AI 선정 기대감’이었기 때문입니다.

탈락 이유를 두고 여러 소문이 돌았습니다.

특히 연초에 OpenAI와 협력을 발표한 것이 “한국형 AI 사업자”와 맞지 않는 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됐습니다.

하지만 카카오는 빠르게 재정비하면서 “AI 에이전트 생태계에서 앞서 나가겠다”라는 목표를 새로 내세웠습니다.

또한 올해 초 발표했던 OpenAI와의 협업 세부 내용이 오는 11월 공개될 예정이라, 이 부분도 다시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카카오 최근 이슈2. / 톡 피드 전환


최근 카카오의 가장 큰 화두는 카카오톡 메인 개편입니다.
무려 15년 만에 ‘친구 탭’을 인스타그램처럼 피드형 인터페이스로 바꾸겠다는 계획인데요.
업계에서는 사실상 카카오톡의 승부수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이런 변화가 필요한 이유는 MAU 성장성 둔화에 있습니다.

30대 이상 사용자들은 여전히 카카오톡을 쓰지만,
10대·20대 사이에서는 “카톡은 이제 주류 메신저가 아니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이 때문에 카카오는 체류 시간을 늘리고,
젊은 층까지 흡수하기 위해 친구 탭 개편을 우선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만약 인스타그램처럼 피드가 자리 잡는다면 광고 수익 증대와 실적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반대로, 기존 이용자들이 개편에 반발해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카카오에게는 치명타가 될 수도 있습니다.

카카오 최근 이슈3. / 실적 개선 기대감


결국 주가는 실적과 함께 움직입니다.

카카오 역시 지난 5월 한 달 만에 주가가 2배 가까이 오른 배경에는 실적 개선 기대감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2025년 2월, 카카오는 OpenAI와 협업을 발표했습니다.
그때 시장에서는 “OpenAI가 왜 카카오와 손잡지?”라는 의문부터, “조건을 보면 카카오만 손해 보는 거 아니냐”라는 근거 없는 추측까지 온갖 얘기가 나왔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서로에게 필요한 부분이 분명했습니다.

OpenAI는 강력한 LLM(대규모 언어 모델)을 보유

카카오는 전 국민이 사용하는 플랫폼을 보유

즉, OpenAI가 기술을, 카카오는 소비자 접점을 내놓으며 윈윈 구조를 그린 것이죠.

카카오는 카카오톡, 카카오뱅크, 카카오T 등 일상생활에 밀접한 B2C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AI 협업이 제대로 진행되면 자회사 수익성 강화와 함께 그룹 전체 매출 다각화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카카오 매출의 약 60%는 광고 부문에서 나오는데, 메타(인스타그램·페이스북)가 보여준 것처럼 AI 고도화 → 광고 효율 증가 → 매출 극대화라는 선순환이 가능해집니다.

카카오톡 또한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한다면 비용 절감은 물론, 광고 매출 증대와 함께 영업 레버리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물적분할을 많이 해서 일부 투자자들에게 미운털이 박혀 있는 카카오지만,

미우나 고우나 한국에서 몇 안되는 AI사업을 진두지휘 할 수 있는 기업이다보니 기대 반 걱정 반 입니다.

AI패권이 아무리 미국에게 있다고는 하지만, 한국 플랫폼도 일부 AI주도권은 가지고 있어야 추후 한국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한국형 AI의 중심에 카카오도 지분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