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3 써클(CRCL)컨콜 요약

📌 인터넷 금융 OS 구축 비전 제시
서클은 블록체인–디지털 자산–애플리케이션 유틸리티로 이어지는 풀스택 인터넷 금융 플랫폼을 구축 중임
USDC·EURC·USYC 등을 기반으로 인터넷 네이티브 금융 시스템 확장을 추진하며, ARK와 CPN을 핵심 축으로 삼음
AI·블록체인 시대에 ‘인터넷 금융 시스템의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 잡겠다는 장기 전략을 강조함
💰 USDC·매출·마진 모두 고성장
3분기 USDC 유통량은 737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8% 증가하며 시장 성장률을 압도함
온체인 거래량은 9.6조 달러(+580%), Visa 기준 스테이블코인 거래 증가율은 +130%, USDC 점유율도 40%로 상승함
총 매출 7억4천만 달러(+66%), 조정 EBITDA 1억6,600만 달러(+78%)로 높은 레버리지 기반 마진 57%를 기록함
기타 매출은 신규 상품과 체인 파트너십 효과로 전년 100만 달러 미만에서 2,900만 달러로 확대됨
🖥네트워크 효과 기반 제품 지표 급성장
플랫폼 내 보관된 USDC는 102억 달러로 전년 대비 14배 성장하며 락업 및 활용성이 확대됨
CCTP는 전년 대비 +640% 성장한 313억 달러로 주요 브릿지 트래픽의 절반 이상을 차지함
USYC는 3배 성장해 세계 2위 토큰화 머니펀드가 되었고 디지털 담보 활용이 급증함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은 29%까지 확대되며 규제·유동성·투명성 기반의 네트워크 경쟁력이 강화됨
🧱 ARK·CPN을 중심으로 글로벌 금융 인프라 확장
ARK는 100여 개 글로벌 기관과 퍼블릭 테스트넷을 운영 중이며 2026년 메인넷을 목표로 네이티브 토큰 도입도 검토함
CPN은 29개 금융기관이 가입했고, 55개가 심사 중이며 전체 파이프라인은 500개로 확대됨
최근 30일 연환산 결제 규모는 34억 달러로 첫 풀월 대비 100배 성장했고, 글로벌 주요 금융 시장으로 빠르게 확장 중임
ARK의 확정 결제·저비용·다중 통화 구조는 CPN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전망임
🏛️ 규제·유동성·상호운용성이 장기 경쟁력
기업 스테이블코인이 쉽게 성공한다는 시장의 오해에 대해, 규제 라이선스·은행 인프라·유동성 네트워크·개발자 생태계가 결합된 강력한 진입장벽을 강조함
Genius Act와 각국 규제 도입으로 국경 간 결제·기업 자금관리·토큰화 결제 등 실물 영역에서 USDC 도입이 확산 중임
CPN은 단기 수익화보다 네트워크 성장을 우선하며, 장기적으로 저비용 대규모 결제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을 유지함
기타 매출 가이던스는 9천만~1억 달러로 상향, 글로벌 확장 및 스톡옵션 관련 비용을 반영해 조정 OPEX도 상향 조정함
핵심 3줄 요약
1. USDC 유통·온체인 거래·수익성 모두 고성장을 이어가며 스테이블코인 시장 점유율을 29%까지 확대함
2. ARK(경제 OS)와 CPN(결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국경 간 결제·토큰화 담보·디파이까지 아우르는 풀스택 금융 인프라로 확장 중임
3. 규제·유동성·네트워크 효과를 기반으로 승자독식 구조에서 장기 우위를 확보하며 인터넷 금융 시스템의 핵심 플랫폼을 목표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