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 - 뜻, 계산방법, 영업이익, 주식투자 활용법까지 [주식 재무제표 보는법]

작성일: 2024-03-27T09:00:07+00:00


1.개념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EPS)은 기업의 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지표이다.
주식수 당 어느 정도의 이익이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며, 쉽게 말해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얼마만큼 분배하는 지를 나타낸다. 주당순이익(EPS)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에서 우선주 배당금을 제한 후 가중평균유통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당기순이익이 증가하게 되면 주당순이익(EPS)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식 전환이나 증자로 주식 수가 증가하게 되면 가중평균유통주식수도 증가하게 되므로, EPS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 상향 EPS, 투자자에게 주는 의미는?
높은 EPS는 강력한 경영실적을 시사하며, 주식의 가치 상승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EPS 상승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2.참고

2-1. 우선주 배당금

EPS 계산시 사용하는 우선주 배당금은 주식 종류 중 하나인 우선주에게 지급되는 배당금을 의미한다. 이 배당금은 주식 발행 시 우선주 주주에게 먼저 지급되며, 일반 주주에게는 남은 이익에서 배당한다.

우선주 배당금은 기업마다 다르게 결정되며, 이는 각 기업의 이익 분배 방식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주당순이익을 계산할 때에는 우선주 배당금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주주들이 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2-2. 가중평균유통주식수

다음으로 주당순이익(EPS) 계산시 사용되는 지표는 가중평균유통주식수이다.

가중평균유통주식수특정 기간 동안 기업이 발행한 주식 수를 일정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한 값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주식이 동등한 가치를 갖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중평균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가중평균유통주식수는 주식 발행, 주식 취득, 주식 소각 등의 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조정되며, 해당 기간 동안의 주식 수를 정확하게 반영한다. 이를 통해 EPS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기업의 주당 이익을 판단할 수 있다.

3.활용

EPS를 투자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음은 EPS를 투자에 활용하는 몇 가지 방법이다.


파란선 : EPS / 녹색선 : 주가 (그래프 - ZACKS)


해당 예시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파란선(EPS)과 녹색선(주가), 두 그래프를 장기적으로 살펴봤을 때, EPS는 주가에 어느 정도 반영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가와 EPS의 상관 관계를 통해 주가의 고평가 및 저평가 여부도 확인해볼 수 있다.
2018 ~ 2019년 구간에는 주가가 EPS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고, 2020 ~ 2021년 구간에는 주가프가 EPS보다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하고 있어 주가가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4. EPS 핵심 요약

1️⃣ EPS는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들에게 이익을 얼만큼 분배하는 지를 나타낸다.
2️⃣ 높은 EPS는 강력한 경영실적을 시사하며, 주식의 가치 상승과 관련이 있다.
3️⃣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EPS 상승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주가 대 EPS 비율을 계산하여 기업의 주가가 현재 EPS에 비해 고평가되었는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종목필터 쓰러가기 →


종목필터 튜토리얼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