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피시스템 분석

작성일: 2025-09-12T08:13:53.911614+00:00

1. 차트 기술적 분석

현재가: 3,055원 (-6.57%)
최근 단기 급등 후 첫 음봉 조정 발생 (전일 고점 3,435원 → 금일 조정)
거래량: 단기 폭발적 증가 → 세력 수급 확실
이동평균선: 5일선(2,789원), 10일선(2,461원) 급상승 중 → 단기 추세 살아있음
RSI, MFI 지표: 90 이상 (과매수 구간) → 단기 피로 누적
👉 의미: 급등 후 거래량 동반한 첫 조정은 ‘단타 매물 소화 구간’으로 볼 수 있음.
추세는 살아있지만 단기 추가 상승은 눌림 조정 후 가능성이 높음.

2. 매수/매도 관점
매수 타점
1차: 2,800원~2,900원 (5일선 지지 확인)
2차: 2,500원 전후 (10일선 부근, 강력 지지대)
손절 라인: 2,400원 이탈 (세력선 아래로 붕괴 시 위험)
목표가: 단기 3,600원 / 중기 4,000원 이상 (거래량 유지 시)
👉 지금은 신규 진입보다 눌림목 기다리기가 유리.
👉 기존 보유자는 분할 매도 후 5일선 지지 확인 시 재진입 전략 권장.

3. 뉴스/재료 분석 (씨피시스템)
태양광·ESS(에너지저장장치), 친환경 전력변환 장치 관련주로 묶임
최근 정부 정책/뉴스 흐름:
전력난 대응, 친환경 ESS 확대 정책
AI 데이터센터·반도체 공장 전력 수요 급증 →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탄소중립 정책에 따른 신재생 관련 수혜 기대
즉, 정책 모멘텀 + 친환경 인프라 투자 확대가 재료로 작용 중.
단, 회사 실적 자체는 EPS -300으로 적자 → 테마성 급등주 성격이 강함.

4. 종합 결론
더 갈 여력 있음: 정책 모멘텀이 살아있고 세력 수급 뚜렷 → 추세는 아직 진행형.
다만, 단기 과열 국면이라 눌림목(2,800원 전후) 기다렸다 접근하는 것이 안전.
장기적으로는 실적 부진이 리스크 → 철저히 단기/테마 매매 관점에서만 접근.

👉 요약:
보유자 → 일부 익절, 나머지는 5일선 이탈 여부 보며 홀딩
신규 매수자 → 지금은 추격 금지, 눌림목(2,800원~2,900원)에서만 분할 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