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 - 뜻, 계산방법, 영업이익, 주식투자 활용법까지 [주식 재무제표 보는법]
1.개념
주가순자산비율(PBR,Price to Book-value Ratio)은 주가를 기업의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지표로, 기업의 재무상태 대비 주가가 적정한지 판단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PBR은 수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성이 높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PBR이 1이면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이 동일하다는 뜻으로, 1미만이면 회사가 청산 했을 때 주주에게 주가만큼의 돈을 돌려줄 수 있지만 1이상이면 자산의 청산 금액보다 되돌려 받아야하는 주가가 더 크기 때문에 모든 주가를 돌려받을 수 없다.
다만, 낮은 PBR로 저평가된 주식이 항상 좋다고 볼 수는 없다. 경영진이 회사 자본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지 못할 때 PBR가 낮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참고
PBR은 업종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주로 실물 자산이 많은 제조업이나 건설업과 같은 업종에서는 PBR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자산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 주가에 비해 자산이 저평가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기술과 인적 자원이 중요한 IT 업종이나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는 무형자산이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PBR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기업의 혁신력과 브랜드 가치 등이 주가에 반영되어 높은 PBR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3. 활용
A 기업은 제조업, B 기업은 금융업에 속하는 기업으로 A 기업의 PBR은 1.5배이고, B 기업의 PBR은 2.0배이다.
A 기업과 B 기업의 PBR을 단순히 비교하면, A 기업이 B 기업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두 기업이 속한 업종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비교는 옳다고 볼 수 없다.
각 업종의 평균과 비교했을 때, A 기업의 PBR은 제조업 평균 PBR보다 높지만, B 기업의 PBR은 금융업 평균 PBR보다 낮다. 따라서 두 기업의 PBR을 업종 평균과 비교해보면, A 기업이 B 기업에 비해 오히려 고평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업종이 다르면 PBR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두 기업이 속한 업종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4. PBR 핵심 요약
1️⃣ PBR은 기업의 재무상태 대비 주가가 적정한지 판단하는데 도움되는 지표이다.
2️⃣ 일반적으로 1을 기준으로 작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 되었다고 본다.
3️⃣ 동종 업계 혹은 비슷한 산업별로 비교하는 것이 좋다.